증황치원(贈黃巵園) -완당 김정희- 증황치원(贈黃巵園) 가뭇한 좁쌀 신세 높고 트인 산중 집에 / 眇然一粟敞山茨 만년 푸른 솔빛은 눈썹 위에 올라오네 / 萬古松靑靑上眉 강서라 종파보를 거슬러 올라갔고 / 直溯江西宗派譜 원우라 죄인 시를 곁으로 참증했네 / 旁參元祐罪人詩 기어에 마음 비어 세 가지 독이 없고 / 心空綺.. ▒ 완당김정희 ▒ 2007.03.13
전초산의 제경을 주화하다[走和全椒山霽景] -완당 김정희- 전초산의 제경을 주화하다[走和全椒山霽景] 개고 나니 비가 내린 공덕을 어찌 알리 / 霽時爭識雨時功 농가라 월령 속에 소식을 들어 보소 / 消息田家月令中 태평의 기상은 눈에 가득 감싸이고 / 滿眼太平涵有象 장래의 배부를 일 한없이 즐겁구려 / 來頭不托樂無窮 창사이 갠 뫼는 새론 푸름 전해주고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시요선(示堯仙) -완당 김정희- 시요선(示堯仙) 진병인가 가병인가 비야에게 증명하세 / 病眞病假證毗耶 부질없이 게으름만 날로 차츰 더해 가네 / 嬾漫公然日漸加 쟁기 너머 비 덕택은 곳곳을 따라가고 / 犁外雨膏隨處處 젓대 속의 봄 뜻은 집집마다 한가질세 / 篴中春意盡家家 시름에 익었어라 천 길의 하얀 머리 / 工.. ▒ 완당김정희 ▒ 2007.03.13
부질없이 홍설초에게 화답하다[漫和洪雪蕉] -완당 김정희- 부질없이 홍설초에게 화답하다[漫和洪雪蕉] 어느새 귀밑머리 사뭇 희어 분 같으니 / 朅來華髮白粉如 천축봉 구름인냥 몽환의 나머질레 / 天竺峯雲夢幻餘 하마야 육십이라 한 갑자 지났는데 / 已把六旬一甲過 일흔이라 두 갈매기 거느리고 사는구만 / 相將七十二鷗居 어여뻐라 묵은 비에 푸른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실제(失題) [1] -완당 김정희- 실제(失題) [1] 금즉이라 옛 다리 동쪽이 내 집이라 / 我家金鯽舊橋東 붉은꽃이 흰꽃과 어울려 피었으리 / 紅者開兼白者同 여윈 뇌를 지탱하는 수선과 마주 앉고 / 獨對水仙支瘦腦 봄바람에 웃음짓는 옥비를 못따르네 / 未從玉妃笑春風 황혼이라 얕은 물에 꿈의 혼이 돌아오고 / 夢廻淺水黃昏際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우작(偶作) -완당 김정희- 우작(偶作) 속이 달고 갓이 씀을 계산조차 하지 않고 / 不算甛中與苦邊 하늘 바람 한 삿갓은 역시 인연 따라설레 / 天風一笠亦隨緣 백발이 휘날려라 삼 천의 길이라면 / 飄零白髮三千丈 홍진에 허덕여라 육십 년이 이 아닌가 / 折磨紅塵六十年 내 침명을 좋아하여 자주 술을 맞는 건데 / 我愛沈冥頻中聖.. ▒ 완당김정희 ▒ 2007.03.13
계문설중(薊門雪中) -완당 김정희- 계문설중(薊門雪中) 하늘 땅에 답쌓인 티끌 먼지 간 곳 없고 / 斷送漫天匝地埃 아득아득 수레발[車簾]은 공중 향해 열렸구려 / 車簾漠漠向空開 잘아지는 먼 사람 분명히 보이는데 / 遠人漸細分明見 외론 새 앞을 당해 또렷이 날아오네 / 孤鳥當前的歷來 비자의 사당 가에 구슬이 깨지고자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차황산운(次黃山韻) 2수 -완당 김정희- 차황산운(次黃山韻) 2수 하얀꽃 붉은꽃이 시새운 듯 벌어지니 / 旋開群白又叢紅 차례로 돌고돌아 봄빛이 안배되네 / 春色安排次第中 유명한 좋은 철 곡우를 만났는데 / 佳節有名逢穀雨 봄빛은 번풍을 아니 부는 날이 없네 / 韶光無日不番風 눈앞의 탈바꿈이 응당이 이럴진대 / 眼前幻相應如是 분수 밖.. ▒ 완당김정희 ▒ 2007.03.13
수락산사(水落山寺) -완당 김정희- 수락산사(水落山寺) 세상 도는 바람 바퀴 뭇 미흑의 길잡인데 / 轉世風輪導衆迷 표말을 앞에 두고 동쪽 서쪽 긴가민가 / 却將表所眩東西 말 잊은 지 오래라 사방 산이 고요한데 / 久忘言說千山寂 기연을 뉘 보내어 새 한 마리 우짖느냐 / 誰遣機緣一鳥啼 열관이랑 정계는 밝게 보면 평등이라 / 平等熱關.. ▒ 완당김정희 ▒ 2007.03.13
석경루에서 여러 제군과 운을 나누다[石瓊樓與諸公分韻] -완당 김정희- 석경루에서 여러 제군과 운을 나누다[石瓊樓與諸公分韻] 십 년이라 달갑게 계수(桂樹)의 무리되니 / 十載甘爲靑桂群 돌도 말을 아는 듯 새도 글을 능히 하네 / 石如解語鳥能文 정자엔 구우 모여 금우가 아니라면 / 亭還舊雨非今雨 처마엔 아침 구름 잔 구름과 교대하네 / 簷放朝雲遞宿雲 심상한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우신ㆍ사의ㆍ경언과 더불어 함께 지음[與右申士毅景言共賦] -완당 김정희- 우신ㆍ사의ㆍ경언과 더불어 함께 지음[與右申士毅景言共賦] 이상한 꿈은 자주 서혈거를 놀랬어라 / 異夢頻驚鼠穴車 진속에 오래사니 진여를 깨닫겠네 / 久於塵俗悟眞如 잔 휘둘러 얼마 없는 햇볕을 붙잡고자 / 揮觴欲挽無多景 서가에 찬 못 본 책 속절없이 부끄럽네 / 充架空慙未觸書 얘기 밖에 학의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양주도중(楊州途中) -완당 김정희- 양주도중(楊州途中) 잎 지는 서리 새벽 길손이 처량한데 / 霜晨搖落歎征衣 눈 끝진 저 한벌에 가을 풀이 드물구나 / 極目平原秋草稀 천지는 으시으시 허뢰가 어울리고 / 天地蕭蕭虛籟合 산천은 역력한데 두어 기럭 돌아가네 / 山川歷歷數鴻歸 묽은 연기 솟은 나무 외딴집을 에웠는데 / 淡煙喬木.. ▒ 완당김정희 ▒ 2007.03.13
환성도중(歡城道中) -완당 김정희- 환성도중(歡城道中) 소외양 돼지우리 인가는 몇몇이냐 / 牛宮豚柵幾人家 흐늘어진 능수버들 한 길이 아스랗네 / 官柳依然一路賖 자욱한 뫼 멀리 연대 구름은 말과 같고 / 煙嶂遙連雲似馬 무논에 비껴 비쳐 흰 해는 수레마냥 / 水田斜映日如車 거듭 보는 고목나무 새 혹 하나 더 생기고 /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서엄(西崦) -완당 김정희- 서엄(西崦) 서엄이라 적막한 한구석에 붙여 사니 / 幽寄西崦寂寞濱 푸른 그늘 꿈 같아라 또 한번 봄이로세 / 綠陰如夢一番春 거사가 옹으로된 그 세월을 헛 보내라 / 虛抛居士稱翁歲 유마의 병든 몸이 오래도록 애석하이 / 久惜維摩示病身 조약돌 여윈 꽃은 작은 집에 덤이 되고 / 拳石瘦.. ▒ 완당김정희 ▒ 2007.03.13
산사(山寺) -완당 김정희- 산사(山寺) 기운 봉 비낀 고개 여기가 진경인데 / 側峯橫嶺箇中眞 열 길이라 홍진 속에 잘못 들어 헤매었네 / 枉却從前十丈塵 감불은 사람보고 얘기를 하자는 듯 / 龕佛見人如欲語 산새는 새끼 낀 채 절로 와서 가까운 양 / 山禽挾子自來親 흠대의 맑은 물에 차를 끓여 마신다면 / 點烹筧竹冷冷水.. ▒ 완당김정희 ▒ 2007.03.13
취장이 연중의 여러 명사와 더불어 주고받은 시어와 담수를 주체하여 이뤘는데 -완당 김정희- 취장이 연중의 여러 명사와 더불어 주고받은 시어와 담수를 주체하여 이뤘는데 좋이 한번 웃을 만하다[湊砌翠丈 與燕中諸名士 贈酬詩語談藪 而成好覺噴飯] 붉은 노을 하늘 끝에 이내 정을 어찌하리 / 朱霞天末若爲情 다농(茶農)의 시어를 씀. 기럭 발톱 역력한데 또 다시 이 걸음을 / 歷歷鴻泥.. ▒ 완당김정희 ▒ 2007.03.13
자하의 상산시 운에 차하다[次紫霞象山詩韻] -완당 김정희- 자하의 상산시 운에 차하다[次紫霞象山詩韻] 그대는 시경에서 진여를 찾았지만 / 君從詩境叩眞如 문조는 오히려 옛터를 증명하네 / 文藻猶能證舊墟 들었어라 공산에서 우설을 참조했고 / 已聞空山參雨雪 푸른 바다를 향해 고래를 끌어내네 / 且須碧海掣鯨魚 신운에 힘 쏟으니 찾아도 곳이 없고.. ▒ 완당김정희 ▒ 2007.03.13
초여름에 박옹이 마침 오다[夏初泊翁適至] -완당 김정희- 초여름에 박옹이 마침 오다[夏初泊翁適至] 한묵의 덤불 속에 칠십 년을 살았는데 / 七十年來翰墨林 상기도 각심하여 쉬지 않고 노래읊네 / 尙能刻意不休吟 꽃만 있고 술 없어 몇 번이나 막혔던고 / 有花無酒幾多阻 그대와 정 논하니 갈수록 깊어지네 / 對子論情一往深 탑에 오른 파란 이끼 모두가 구우.. ▒ 완당김정희 ▒ 2007.03.13
하야초집(夏夜初集) -완당 김정희- 하야초집(夏夜初集) 문 닫고 들앉아도 언제나 만 리 마음 / 閉戶常存萬里心 구름 날고 물 흘러라 어느 뉘 말리리까 / 雲飛水逝有誰禁 여름날 외론 꽃 상기 남아 어여쁜데 / 尙憐夏日孤花在 봄 산이라 갖가지 새노래 다 겪었네 / 閱罷春山百鳥吟 푸른 눈이 백안으로 도는 것을 보았으니 / 已看靑眸回白眼.. ▒ 완당김정희 ▒ 2007.03.13
이유여가 차를 찾기에 수답하다. 이때 북경에서 돌아오다[酬李幼輿索茶 時自燕還] -완당 김정희- 이유여가 차를 찾기에 수답하다. 이때 북경에서 돌아오다[酬李幼輿索茶 時自燕還] 집닭과 들따오기 다르다 구분 마소 / 休分鷄鶩野殊家 금산(錦山) 잎은 종래로 건안다(建安茶)와 비교하네 / 錦葉由來賽建芽 열수는 일찍이 양자의 품과 한가진데 / 洌水曾同楊子品 소재에선 도리어 고려 꽃을 찾는다네.. ▒ 완당김정희 ▒ 2007.03.13
추사(秋思) 2수 -완당 김정희- 추사(秋思) 2수 지난밤 별이 총총 지난밤 찬서리라 / 昨夜星辰昨夜霜 남녘성 한가을에 온갖 생각 길고 기네 / 南城秋思攪人長 천풍이라 인뢰는 가르침이 아님 없고 / 天風人籟無非敎 묵소라 시림은 반드시 방향 있네 / 墨所詩林必有方 뜻했으랴 한 기러기 세모와 관계될 걸 / 豈意一鴻關歲暮 갑.. ▒ 완당김정희 ▒ 2007.03.13
서오자의 운을 차하며 희롱삼아 그 체를 본받다[次書娛子韻戲效其體] 4수 -완당 김정희- 서오자의 운을 차하며 희롱삼아 그 체를 본받다[次書娛子韻戲效其體] 4수 남녘 머리 북녘 끝이 상사로 감겼으니 / 南頭北尾繚相思 성긴 죽석 서늘한 등 밤조차 길어졌네 / 疎簞涼燈度夜遲 맑은 꿈 알맞아라 대숲을 이웃하고 / 淸夢政須隣竹樹 깊은 정은 구슬가지 준단들 아까우리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사람과 함께 복파정 아래서 배를 띄우다[同人泛舟伏波亭下] -완당 김정희- 사람과 함께 복파정 아래서 배를 띄우다[同人泛舟伏波亭下] 배 깃대 나풀나풀 잠두로 내려가니 / 船旗獵獵下蠶頭 하늘과 물 고루 연해 달빛은 가을 같네 / 天水平連月似秋 황정이라 화도는 참으로 광탕한데 / 黃鼎畫圖眞曠蕩 전랑의 시구는 부질없이 맑은 시름 / 錢郞詩句謾淸愁 삼강이.. ▒ 완당김정희 ▒ 2007.03.13
연경에 가는 이재 상서를 보내다[送彛齋尙書赴燕] -완당 김정희- 연경에 가는 이재 상서를 보내다[送彛齋尙書赴燕] 황화라 이월달에 신선 무리 웅성웅성 / 皇華二月擁仙曹 서추를 대리하다 사신길을 떠나가네 / 暫攝西樞碧落高 가사 일러 백 번 가도 오히려 싫잖은데 / 縱使百廻猶不厭 이제 겨우 거듭이라 수고롭다 어찌하리 / 如今重到詎云勞 그 누가 쌓인 물.. ▒ 완당김정희 ▒ 2007.03.13
가군을 모시고 삼막사에 올라가는데 중제 및 김계량ㆍ함성중이 함께 갔다. -완당 김정희- 가군을 모시고 삼막사에 올라가는데 중제 및 김계량ㆍ함성중이 함께 갔다. 이때에 설암ㆍ난운 두 중도 역시 기약을 아니하고 왔는데 모두 근일의 이름난 중들이다[陪家君上三藐寺 仲弟及金季良咸聖中偕之 時雪庵懶雲二釋亦不期而至 皆近日名宿也] 절간에 한 밤 자니 인연 중에 기쁜 인연 / 招.. ▒ 완당김정희 ▒ 2007.03.13
초의에게 주다[贈草衣] -완당 김정희- | 초의에게 주다[贈草衣] 너의 방참 내맡겨라 백 마당 웃어대니 / 任爾傍參笑百場 걸림 없는 그곳이 바로 내 고향일레 / 了無礙處卽吾鄕 사람 곁한 산새는 지저귀다 고요하고 / 依人山鳥空喧寂 손님 맞는 시냇구름 따뜻타 서늘하네 / 款客溪雲自煖凉 가장 이 한 침상에 별다른 꿈 없는데 / 最是一.. ▒ 완당김정희 ▒ 2007.03.13
우점(又拈) -완당 김정희- 우점(又拈) 오늘날 임천놀이 부끄럽지 않고말고 / 今日林泉便不慙 몇 해 동안 먼지 속에 견뎌내기 어려웠네 / 幾年埃壒久難堪 걸음 걸음 산과 물은 도기가 이뤄지고 / 行行山水成圖記 이곳 저곳 구름 안개 필담을 메워주네 / 處處雲煙補筆談 주점이 가까우니 갈증 잡는 매화 같고 / 店近眞同梅止.. ▒ 완당김정희 ▒ 2007.03.13
이천도중(利川道中) -완당 김정희- 이천도중(利川道中) 두어 나무 너울너울 관가를 둘렀는데 / 婆娑數樹帶官家 가는 말 채질해라 산마루에 또 물가로 / 策馬山顚復水涯 예부터 좋은 밭은 상서 이삭 바쳤거니 / 自昔良田呈瑞穗 이 땅 벼가 일찍 누르러서 금년에는 유독 흉년을 면했음. 지금도 폐한 탑엔 하늘 꽃이 내린다오 / 秪今.. ▒ 완당김정희 ▒ 2007.03.13
심설과 함께 삼도로 놀이를 가는 도중에 입으로 부르다[與沁雪 作三島之遊 途中口號] -완당 김정희- 심설과 함께 삼도로 놀이를 가는 도중에 입으로 부르다[與沁雪 作三島之遊 途中口號] 미투리 베 버선에 좋은 인연 드물다서 / 靑鞵布襪勝因稀 하늘가 개인 구름 특별히 빛 보내네 / 天際晴雲特放暉 한 길에 처음으로 가을 물을 지나가니 / 一路初過秋水去 이 마음 구름 되어 멀리 날고자 하네 / .. ▒ 완당김정희 ▒ 2007.03.13
북원상춘(北園賞春) -완당 김정희- 북원상춘(北園賞春) 이 해라 이 동산에 거듭 봄을 찾아오니 / 此歲此園重覓春 우는 새 조잘조잘 사람 아니 놀라누나 / 啼禽款款不驚人 높은 땅 올랐어라 대부는 부를 짓고 / 大夫作賦登高地 계 일을 닦는 때라 내사는 잔 띄우네 / 內史流觴祓稧辰 산기운 온통 받아 한 집에 하 많은데 / 恰.. ▒ 완당김정희 ▒ 2007.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