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751

전초산의 제경을 주화하다[走和全椒山霽景] -완당 김정희-

전초산의 제경을 주화하다[走和全椒山霽景] 개고 나니 비가 내린 공덕을 어찌 알리 / 霽時爭識雨時功 농가라 월령 속에 소식을 들어 보소 / 消息田家月令中 태평의 기상은 눈에 가득 감싸이고 / 滿眼太平涵有象 장래의 배부를 일 한없이 즐겁구려 / 來頭不托樂無窮 창사이 갠 뫼는 새론 푸름 전해주고 ..

부질없이 홍설초에게 화답하다[漫和洪雪蕉] -완당 김정희-

부질없이 홍설초에게 화답하다[漫和洪雪蕉] 어느새 귀밑머리 사뭇 희어 분 같으니 / 朅來華髮白粉如 천축봉 구름인냥 몽환의 나머질레 / 天竺峯雲夢幻餘 하마야 육십이라 한 갑자 지났는데 / 已把六旬一甲過 일흔이라 두 갈매기 거느리고 사는구만 / 相將七十二鷗居 어여뻐라 묵은 비에 푸른 ..

석경루에서 여러 제군과 운을 나누다[石瓊樓與諸公分韻] -완당 김정희-

석경루에서 여러 제군과 운을 나누다[石瓊樓與諸公分韻] 십 년이라 달갑게 계수(桂樹)의 무리되니 / 十載甘爲靑桂群 돌도 말을 아는 듯 새도 글을 능히 하네 / 石如解語鳥能文 정자엔 구우 모여 금우가 아니라면 / 亭還舊雨非今雨 처마엔 아침 구름 잔 구름과 교대하네 / 簷放朝雲遞宿雲 심상한 ..

우신ㆍ사의ㆍ경언과 더불어 함께 지음[與右申士毅景言共賦] -완당 김정희-

우신ㆍ사의ㆍ경언과 더불어 함께 지음[與右申士毅景言共賦] 이상한 꿈은 자주 서혈거를 놀랬어라 / 異夢頻驚鼠穴車 진속에 오래사니 진여를 깨닫겠네 / 久於塵俗悟眞如 잔 휘둘러 얼마 없는 햇볕을 붙잡고자 / 揮觴欲挽無多景 서가에 찬 못 본 책 속절없이 부끄럽네 / 充架空慙未觸書 얘기 밖에 학의 ..

취장이 연중의 여러 명사와 더불어 주고받은 시어와 담수를 주체하여 이뤘는데 -완당 김정희-

취장이 연중의 여러 명사와 더불어 주고받은 시어와 담수를 주체하여 이뤘는데 좋이 한번 웃을 만하다[湊砌翠丈 與燕中諸名士 贈酬詩語談藪 而成好覺噴飯] 붉은 노을 하늘 끝에 이내 정을 어찌하리 / 朱霞天末若爲情 다농(茶農)의 시어를 씀. 기럭 발톱 역력한데 또 다시 이 걸음을 / 歷歷鴻泥..

자하의 상산시 운에 차하다[次紫霞象山詩韻] -완당 김정희-

자하의 상산시 운에 차하다[次紫霞象山詩韻] 그대는 시경에서 진여를 찾았지만 / 君從詩境叩眞如 문조는 오히려 옛터를 증명하네 / 文藻猶能證舊墟 들었어라 공산에서 우설을 참조했고 / 已聞空山參雨雪 푸른 바다를 향해 고래를 끌어내네 / 且須碧海掣鯨魚 신운에 힘 쏟으니 찾아도 곳이 없고..

초여름에 박옹이 마침 오다[夏初泊翁適至] -완당 김정희-

초여름에 박옹이 마침 오다[夏初泊翁適至] 한묵의 덤불 속에 칠십 년을 살았는데 / 七十年來翰墨林 상기도 각심하여 쉬지 않고 노래읊네 / 尙能刻意不休吟 꽃만 있고 술 없어 몇 번이나 막혔던고 / 有花無酒幾多阻 그대와 정 논하니 갈수록 깊어지네 / 對子論情一往深 탑에 오른 파란 이끼 모두가 구우..

이유여가 차를 찾기에 수답하다. 이때 북경에서 돌아오다[酬李幼輿索茶 時自燕還] -완당 김정희-

이유여가 차를 찾기에 수답하다. 이때 북경에서 돌아오다[酬李幼輿索茶 時自燕還] 집닭과 들따오기 다르다 구분 마소 / 休分鷄鶩野殊家 금산(錦山) 잎은 종래로 건안다(建安茶)와 비교하네 / 錦葉由來賽建芽 열수는 일찍이 양자의 품과 한가진데 / 洌水曾同楊子品 소재에선 도리어 고려 꽃을 찾는다네..

서오자의 운을 차하며 희롱삼아 그 체를 본받다[次書娛子韻戲效其體] 4수 -완당 김정희-

서오자의 운을 차하며 희롱삼아 그 체를 본받다[次書娛子韻戲效其體] 4수 남녘 머리 북녘 끝이 상사로 감겼으니 / 南頭北尾繚相思 성긴 죽석 서늘한 등 밤조차 길어졌네 / 疎簞涼燈度夜遲 맑은 꿈 알맞아라 대숲을 이웃하고 / 淸夢政須隣竹樹 깊은 정은 구슬가지 준단들 아까우리 /..

사람과 함께 복파정 아래서 배를 띄우다[同人泛舟伏波亭下] -완당 김정희-

사람과 함께 복파정 아래서 배를 띄우다[同人泛舟伏波亭下] 배 깃대 나풀나풀 잠두로 내려가니 / 船旗獵獵下蠶頭 하늘과 물 고루 연해 달빛은 가을 같네 / 天水平連月似秋 황정이라 화도는 참으로 광탕한데 / 黃鼎畫圖眞曠蕩 전랑의 시구는 부질없이 맑은 시름 / 錢郞詩句謾淸愁 삼강이..

연경에 가는 이재 상서를 보내다[送彛齋尙書赴燕] -완당 김정희-

연경에 가는 이재 상서를 보내다[送彛齋尙書赴燕] 황화라 이월달에 신선 무리 웅성웅성 / 皇華二月擁仙曹 서추를 대리하다 사신길을 떠나가네 / 暫攝西樞碧落高 가사 일러 백 번 가도 오히려 싫잖은데 / 縱使百廻猶不厭 이제 겨우 거듭이라 수고롭다 어찌하리 / 如今重到詎云勞 그 누가 쌓인 물..

가군을 모시고 삼막사에 올라가는데 중제 및 김계량ㆍ함성중이 함께 갔다. -완당 김정희-

가군을 모시고 삼막사에 올라가는데 중제 및 김계량ㆍ함성중이 함께 갔다. 이때에 설암ㆍ난운 두 중도 역시 기약을 아니하고 왔는데 모두 근일의 이름난 중들이다[陪家君上三藐寺 仲弟及金季良咸聖中偕之 時雪庵懶雲二釋亦不期而至 皆近日名宿也] 절간에 한 밤 자니 인연 중에 기쁜 인연 / 招..

심설과 함께 삼도로 놀이를 가는 도중에 입으로 부르다[與沁雪 作三島之遊 途中口號] -완당 김정희-

심설과 함께 삼도로 놀이를 가는 도중에 입으로 부르다[與沁雪 作三島之遊 途中口號] 미투리 베 버선에 좋은 인연 드물다서 / 靑鞵布襪勝因稀 하늘가 개인 구름 특별히 빛 보내네 / 天際晴雲特放暉 한 길에 처음으로 가을 물을 지나가니 / 一路初過秋水去 이 마음 구름 되어 멀리 날고자 하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