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은 언제부터 시작 되여 전수되었을까? 【1】;주역에는 복희[伏羲]팔 괘도와 문 왕 팔괘도, 정 역 팔괘도가 있습니다.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역대---이기불능------ ♧,문 왕은 유리[ 里]에서 384효[爻]를 해석하였다고 하고 태공[太公]은 위수[渭水]에서 3,600개의 낚시를 벌렸다는데 문 왕의 도술은 먼저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고 .. ▒ 역경자료실 ▒ 2007.05.25
주역 64괘 도해 주역 주역이란? 주역(周易)은 점(点)이라는 명제아래 통계를 바탕으로 쌓은 학문으로서 예로부터 선조들도 즐겨 사용하던 점을 겸비한 학문이다. 주역은앞날을 점친다기보다는 '인간의 운명은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변함을 기본 전재로하여 주역의 점괘로 자기 자신을 다스리고 통제함으.. ▒ 역경자료실 ▒ 2007.05.15
역경( 易經 ) 역경( 易經 ) 가장 큰 보배는 천자의 위(位)다. 그 위(位)를 어떻게 하면 지킬 수 있을까. 그 길을 인(仁)이라 한다. -역경 건(乾)의 법칙은 남(男)을 이루고 곤(坤)의 법칙은 여(女)를 이룬다. 가령 처음 시작하고 해내는 힘은 남자가 많지만 이것을 받아서 완성하고 지키는 힘은 여자가 많이 지닌다. -역경 .. ▒ 역경자료실 ▒ 2007.05.15
음양오행의 원리 (陰陽五行의 原理) 음양오행의 개요 (陰陽五行의 槪要) 동양철학에서는 우주의 본원(本源)을 에너지(Energy)인 기(氣)로 여긴다. 이 기가 작용하여 만물을 형성하는데, 그 과정은 음양과 오행의 법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우주의 생성과 변화과정을 음양오행(陰陽五行)이 관장하고 있는 것이다. 동양철학에서는 인간을 .. ▒ 역경자료실 ▒ 2007.05.03
64.화수미제(火水未濟) 64.화수미제(火水未濟) 未濟(미제) : 미제는 亨(형) : 형통하니 小狐&#27732;濟濡其尾(소호흘제유기미) : 작은 여우가 거의 건너서 그 꼬리를 적심이니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바가 없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未濟亨柔得中也(미제형유득중야) : '미제형'은 <유>효가 중정을 얻음이요, 小.. ▒ 역경자료실 ▒ 2007.05.03
63.수화기제(水火旣濟) 63.수화기제(水火旣濟) 旣濟(기제) : 기제는 亨小(형소) : 형통할 것이 적으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初吉終亂(초길종란) : 처음은 길하고 마침은 어지러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旣濟亨小者亨也(기제형소자형야) : '기제형'은 작은 것이 형통함이니, 利貞剛柔正而位當也(이정강.. ▒ 역경자료실 ▒ 2007.05.03
62.뇌산소과(雷山小過) 62.뇌산소과(雷山小過) 小過(소과) : 소과는 亨(형) : 형통하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可小事(가소사) : 작은 일은 가능하고 不可大事(부가대사) : 큰 일은 가능하지 못하니, 飛鳥遺之音(비조유지음) : 나는 새가 소리를 남김에 不宜上(부의상) : 올라가는 것은 마땅하지 않고 宜下大吉(의하대.. ▒ 역경자료실 ▒ 2007.05.03
61.풍택중부(風澤中孚) 61.풍택중부(風澤中孚) 中孚(중부) : <중부>는 豚魚吉(돈어길) : 돼지와 물고기까지 하면 길하니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를 건넘이 이롭고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中孚(중부) : <중부>는 柔在內而剛得中(유재내이강득중) : <유>효가 안에 있고 강.. ▒ 역경자료실 ▒ 2007.05.03
60.수택절(水澤節) 60.수택절(水澤節) 節(절) : <절>은 亨(형) : 형통하니, 苦節不可貞(고절부가정) : 쓴 절은 가히 바르지 못하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節亨(절형) : '절형'은 剛柔分而剛得(강유분이강득중) : <강>효와 <유>가 나뉘어지고 강이 중을 얻음이요, 苦節不可貞(고절부가정) : '苦節不可貞'은 .. ▒ 역경자료실 ▒ 2007.05.03
59.풍수환(風水渙) 59.풍수환(風水渙) 渙(환) : 환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이 묘당에 이르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내를 건넘이 이로우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渙亨剛來而不窮(환형강래이부궁) : '환형'은 <강>효가 와서 궁하지 않고, 柔得位乎外而上.. ▒ 역경자료실 ▒ 2007.05.03
58.태위택(兌爲澤) 58.태위택(兌爲澤) 兌(태) : 태는 亨(형) : 형통하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兌說也(태열야) : 태는 기뻐하는 것이니, 剛中而柔外(강중이유외) : <강>효가 중정하고 <유>효가 바깥해서, 說以利貞(열이이정) : 기뻐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是以(시이) :.. ▒ 역경자료실 ▒ 2007.05.03
57.손위풍(巽爲風) 57.손위풍(巽爲風) 巽(손) : <손>은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重巽(중손) : 거듭한 손으로써 以申命(이신명) : 명을 펴나니, 剛巽乎中正而志行(강손호중정이지행) : <강>효가 중.. ▒ 역경자료실 ▒ 2007.05.03
56.화산여(火山旅) 56.화산여(火山旅) 旅(여) : 여는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고 旅貞吉(여정길) : 나그네가 바르게해서 길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旅小亨(여소형) : '旅小亨'은 柔得中乎外而順乎剛(유득중호외이순호강) : <유>효가 밖에서 중앙의 지위를 얻어 <강>효에 순응하고, 止而麗乎明(지이려호명).. ▒ 역경자료실 ▒ 2007.05.03
55.뇌화풍(雷火豊) 55.뇌화풍(雷火豊) 豊(풍) : 풍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之(왕가지) : 왕이 그러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勿憂宜日中(물우의일중) : 근심치 않아도 마땅히 해가 중천에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豊大也(풍대야) : 풍은 큰것이니, 明以動(명이동) : 밝음으로써 움직임이라. 故豊(고풍) : 그러므로 .. ▒ 역경자료실 ▒ 2007.05.03
54.뇌택귀매(雷澤歸妹) 54.뇌택귀매(雷澤歸妹) 歸妹(귀매) : 시집보내기는 征凶(정흉) : 적극적으로 보내려하면 흉하다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것이 없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歸妹(귀매) : <歸妹>는 天地之大義也(천지지대의야) : 천지의 큰 의리니, 天地不交(천지부교) : 천지가 사귀지 않으면 而萬物不興(이만.. ▒ 역경자료실 ▒ 2007.05.03
53.풍산점(風山漸) 53.풍산점(風山漸) 漸(점) : 점은 女歸吉(여귀길) : 여자가 시집가는 것이니 길하다 利貞(이정) :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漸之進也(점지진야) : 점의 나아감이 女歸吉也(여귀길야) : 여자가 시집가는 것의 길함이라. 進得位(진득위) : 나아가서 자리를 얻으니 往有功也(왕.. ▒ 역경자료실 ▒ 2007.05.03
52.간위산(艮爲山) 52.간위산(艮爲山) 艮其背(간기배) : 그 등에 그치면 不獲其身(부획기신) : 그 몸을 얻지 못하며, 行其庭(행기정) : 그 뜰에 행하여도 不見其人(부견기인) : 그 사람을 보지 못하여 无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艮止也(간지야) : <간>은 그침이니, 時止則止(시지칙지) : 때가.. ▒ 역경자료실 ▒ 2007.05.03
51.진위뇌(震爲雷) 51.진위뇌(震爲雷) 震(진) : 진은 亨(형) : 형통하니, 震來&#34409;&#34409;(진래혁혁) : 우뢰가 옴에 놀라고 놀라면 笑言啞啞(소언아아) : 웃는 소리가 깔깔거리니, 震驚百里(진경백리) : 우뢰가 백리를 놀라게 함에 不喪匕(부상비) : 시창을 잃지 아니하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震亨(진형) : 진.. ▒ 역경자료실 ▒ 2007.05.03
50.화풍정(火風鼎) 50.화풍정(火風鼎) 鼎(정) : 정은 元吉亨(원길형) : 크게 길하여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鼎象也(정상야) : <정>은 형상이니, 以木巽火亨&#39146;也(이목손화형임야) : 나무로써 불을 들여서 밥을 삶으니 聖人亨(성인형) : 성인이 삶아서 以享上帝(이향상제) : 상제께 제사 올리고, 而大.. ▒ 역경자료실 ▒ 2007.05.03
49.택화혁(澤火革) 49.택화혁(澤火革) 革(혁) : <개혁>은 已日乃孚(이일내부) : 끝나는 날이라야 곧 믿음이 가니, 元亨利貞(원형이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革水火相息(혁수화상식) : 개혁은 물과 불이 서로 멸하며, 二女同居(이녀동거) : 두 .. ▒ 역경자료실 ▒ 2007.05.03
48.수풍정(水風井) 48.수풍정(水風井) 井(정) : <정>은 改邑不改井(개읍부개정) : 고을은 고치되 우물은 고치지 못하니, 无喪无得(무상무득) : 잃는 것도 없고 얻는 것도 없으며, 往來井井(왕래정정) : 가고 오는 이가 우물하고 우물하나니, &#27732;至亦未&#32344;井(흘지역미율정) : 거의 이르름에 또 우물에 닿지 못함.. ▒ 역경자료실 ▒ 2007.05.03
47.택수곤(澤水困) 47.택수곤(澤水困) 困(곤) : <곤>은 亨貞(형정) : 형통하고, 바르니 大人(대인) : 대인이라. 吉无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으니, 有言不信(유언부신) : 말이 있으면 믿지 않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困剛&#25564;也(곤강엄야) : <곤>은 <강>이 가리워짐이니. 險以說(험이열) : 험하.. ▒ 역경자료실 ▒ 2007.05.03
46.지풍승(地風升) 46.지풍승(地風升) 升(승) : <승>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 用見大人勿恤(용견대인물휼) : 대인을 보되 근심치 말고 南征吉(남정길) : 남으로 가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柔以時升(유이시승) : <유>가 때로 올라가서, 巽而順(손이순) : 겸손해서 순하고, 剛中而應(강중이응) : 강.. ▒ 역경자료실 ▒ 2007.05.03
45.택지췌(澤地萃) 45.택지췌(澤地萃) 萃(췌) : <췌>는 亨王假有廟(형왕가유묘) : 형하니 왕이 사당을 둠에 지극히 함이니, 利見大人亨利貞(이견대인형이정) : 대인을 봄이 이롭고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用大牲吉(용대생길) : 큰 희생을 쓰는 것이 길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갈 바를 둠이 이로우니라. 彖.. ▒ 역경자료실 ▒ 2007.05.03
44.천풍구(天風姤) 44.천풍구(天風&#23012;) &#23012;(구) : 구는 女壯(여장) : 여자가 장함이니 勿用取女(물용취녀) : 여자를 취하지 말지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23012;遇也(구우야) : 구는 만남이니, 柔遇剛也(유우강야) : <유>가 <강>을 만남이라. 勿用取女(물용취녀) : '물용취녀'는 不可與長也(부가여.. ▒ 역경자료실 ▒ 2007.05.03
43.택천쾌(澤天夬) 43.택천쾌(澤天&#22828;) &#22828;(쾌) : 쾌는 揚于王庭(양우왕정) : 왕의 뜰에서 드날림이니, 孚號有&#21426;(부호유려) : 미덥게 부르짖어 위엄이 있게 한다 告自邑(고자읍) : 읍으로부터 고함이요, 不利卽戎(부리즉융) : 군사에 나아가는 것이 이롭지 아니하며, 利有攸往(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 ▒ 역경자료실 ▒ 2007.05.03
42.풍뢰익(風雷益) 42.풍뢰익(風雷益) 益(익) : <익>은 利有攸往(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益損上益下(익손상익하) : <익>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이니 民說无疆(민열무강) : 백성의 기뻐함이 지경이 없음이요, 自上下.. ▒ 역경자료실 ▒ 2007.05.03
41.산택손(山澤損) 41.산택손(山澤損) 損(손) : <손>은 有孚元吉(유부원길) : 믿음을 두면 크게 길하고 无咎可貞(무구가정) : 허물이 없어서 가히 바름이라. 利有攸往曷之用(이유유왕갈지용)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 어디에 쓰리요, 二&#31755;可用享(이궤가용향) : 두 대그릇에 가히 써 제사지내느니라. 彖曰(단왈) : .. ▒ 역경자료실 ▒ 2007.05.03
40.뇌수해(雷水解) 40.뇌수해(雷水解) 解(해) : <해>는 利西南(이서남) : 서남이 이로우니, 无所往(무소왕) : 갈 바가 없느니라. 其來復吉(기래복길) : 그 와서 회복함이 길하니, 有攸往夙吉(유유왕숙길) : 갈 바가 있거든 빨리하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解險以動(해험이동) : <해>는 험하고 움직임이니.. ▒ 역경자료실 ▒ 2007.05.03
39.수산건(水山蹇) 39.수산건(水山蹇) 蹇(건) : 건은 利西南不利東北(이서남부리동북) : 서남은 이롭고 동북은 이롭지 아니하나 利見大人貞吉(이견대인정길) : 대인을 버면 이로우니, 바르게 하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蹇難也(건난야) : 건은 어려움이니 險在前也(험재전야) : 험한 것이 앞에 있으니, 見險而.. ▒ 역경자료실 ▒ 2007.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