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고사 1) 자기의 속마음까지 알아주는 진정한 친구나 그러한 사귐. ① 知音(지음) : 백아(伯牙)와 종자기(鍾子期) 사이의 고사로부터 (거문고) 소리를 알아 듣는다는 뜻에서 유래. ※ 보충) 伯牙絶鉉(백아절현)은 ‘친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 ② 水魚之交(수어지교) : 고기와 물과의 관.. ▒ 고사성어집 ▒ 2014.12.16
交友關係 四字成語 와 그 由來 交友關係 四字成語 와 그 由來 관포지교(管鮑之交): 옛날 중국(中國)의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처럼 친구(親舊) 사이가 다정(多情)함을 이르는 말로, ①친구(親舊) 사이의 매우 다정(多情)하고 허물없는 교제(交際) ②우정(友情)이 아주 돈독(敦篤)한 친구(親舊)... 막역지우(莫逆之友): 마음.. ▒ 고사성어집 ▒ 2014.08.31
"목계지덕(木鷄之德)"에 대하여 목계지덕(木鷄之德) 이병철 삼성그룹 전 회장은 자신의 집 거실에 목계(木鷄)를 걸어놓고, 자신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대로부터 어떠한 모욕을 당하더라도 흔들림이 없이 평정심을 유지해야 한다며 마음을 경계했다고 한다. 목계(木鷄)란 장자(莊子)의 달생편(達生篇)에 나오는 .. ▒ 고사성어집 ▒ 2012.10.19
고사성어(故事成語)(4) <고사성어> 家家戶戶(가가호호) 家給人足(가급인족) 街談巷說(가담항설) 可東可西(가동가서) 苛斂誅求(가렴주구) 家無擔石(가무담석) 佳人薄命(가인박명) 苛政猛虎(가정맹호) 刻鵠類鶩(각곡유목) 刻骨難忘(각골난망) 刻舟求劒(각주구검) 肝膽相照(간담상조) 竿頭之勢(간두지세) 間世之材(간세지재.. ▒ 고사성어집 ▒ 2007.05.25
욕같은 고사성어들 ... 趙溫馬亂色氣 (조온마난색기) 욕같은 고사성어 ○ 趙溫馬亂色氣 (조온마난색기) 이 고사성어는 '사람들 틈에서 경거망동한 행동을 삼가라'는 깊은 교훈을 담고 있다. 옛날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조씨성을 가진 사람이 살고 있었다. 조씨에게는 만삭인 부인이 있었는데, 어느 날 아침 부인이 말하길 “여보! 어젯밤 꿈에 말 한 마리가.. ▒ 고사성어집 ▒ 2007.05.23
화장실 관련된 유모어 고사성어 분명히 떨궜는데 일어나 보니 흔적이라곤 없을 때 오리무중 티슈든 신문지든 컬러인쇄된 것만 이용하는 것 허례허식 들고 있던 화장지가 화장실에 빠졌을 때 오호 통재 담배 세대 피울 동안 용만 쓰다가 손톱만한 거 달랑 나오면 ? 지리멸렬 거창하게 시작했지만 끝이 영 찜찜할 때, 용두사미 옆칸에 .. ▒ 고사성어집 ▒ 2007.05.23
고사성어(故事成語)(3) ▣ 가 ▣ 家家戶戶(가가호호) 집집마다 街談巷說(가담항설) 길거리에 떠도는 소문 苛斂誅求(가렴주구) 세금 같은 것을 가혹하게 받고 국민을 못살게 구는 일 佳人薄命(가인박명) 아름다운 사람은 운명이 기박함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자세한 것은 여기를| 家和萬事.. ▒ 고사성어집 ▒ 2007.05.22
고사성어(故事成語)(2) [ ㄱ ] 가인박명(佳人薄命)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각주구검(刻舟求劍) 간담상조(肝膽相照) 간장막야(干將莫耶) 강구연월(康衢煙月) 강노지말(强弩之末) 개과천선(改過遷善) 개권유익(開卷有益) 거안제미(擧案齊眉) 거재두량(車載斗量) 건곤일척(乾坤一擲) 걸해골(乞骸骨) 격물치지(格物致知) 견금여석.. ▒ 고사성어집 ▒ 2007.05.22
ㅎ ■ 하/햐 ■■■■■ 하로동선(夏爐冬扇)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란 말로서, 시기를 놓쳐 필요없는 사물 ↔ 하선동력(夏扇冬曆). 하석상대(下石上臺) 아랫돌 빼서 웃돌 괴기.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맞춤. 하선동력(夏扇冬曆) 여름철의 부채와 겨울철의 책력. 곧 선사품이 철에 맞음. 하학상달(下學..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ㅍ ■ 파/퍄 ■■■■■ 파 경 (破 鏡) 깨어진 거울이라는 뜻으로, 부부의 이별을 이르는 말 파란만장(波瀾萬丈) 일의 진행에 변화가 심함 파란중첩(波瀾重疊) 일의 진행에 있어서 온갖 변화나 난관이 많음. 파사현정(破邪顯正) 그릇된 것을 깨뜨리고 올바르게 바로 잡음. 파안대소(破顔大笑) 즐거운 표정으..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ㅌ 타산지석(他山之石) 착하지 못한 사람도 착한 사람의 수양에 도움이 된다는 데 비유하는 말. 타상하설(他尙何說) 한 가지 일을 보면 다른 일도 다 알 수 있다는 말. 탁상공론(卓上空論) 실현성이 없는 공상론. 궤상공론. 탄주지어(呑舟之漁) 배를 사킬 만한 큰 고기. 큰 인물. 탐관오리(貪官汚吏) 탐욕이 ..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ㅊ ■ 차/챠 ■■■■■ 차래지식(嗟來之食) 사람을 업신여기면서 주는 음식. 차(嗟)는 무례한 태도로 말하는 소리. [차래의식] 이란 [어서 와서 먹어라.]로 무리한 태도로 주는 식사를 말한다. 차문지락불사촉(此問之樂不思蜀) 즐거움에 고향생각을 잊는다. 이것에서 눈앞의 즐거움에 근본을 잊는 것을 말..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ㅈ ■ 자/쟈 ■■■■■ 자가당착(自家撞着) 자기의 언행이 전후 모순되어 들어맞지 않는 것. 자강불식(自强不息)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아니함. 자과자존(自誇自尊) 제 스스로를 자랑하고 높임. 자격지심(自激之心) 제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한 생각을 가지다. 자괴지심(自愧之心) 스스로 부끄럽게 ..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ㅇ ■ 아 ■■■■■ 아가사창(我歌査唱) 내가 부를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는 뜻으로, 나무람을 받을 사람이 도리어 나무란다는 말. 책망을 들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 - 유사어 : 적반하장(賊反荷杖), 주객전도(主客顚倒) 아동주졸(兒童走卒) 철없는 아이들과 어리석은 사람들 아비규환(阿鼻叫..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ㅅ ■ 사/샤 ■■■■■ 사고무친(四顧無親) 의지할 사람이 아주 없음. 사군자 (四君子) 동양화에서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는 매화·난초·국화·대나무를 일컫는 말 사농공상(士農工商) 선비·농부·장인·상인의 네 가지 신분을 아울러 일컫는 말 사단취장(捨短取長) 단점은 버리고 장점은 취함 ..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ㅂ ■ 바/뱌 ■■■■■ 박물군자(博物君子) 모든 사물에 능통한 사람. 박이부정(博而不精) 널리 알기는 하나 자세히 알지는 못함. 박장대소(拍掌大笑) 손바닥을 치면서 크게 웃음 박지약행(薄志弱行) 뜻과 행실이 약하여 어려움을 견디지 못함. 반계곡경(盤溪曲徑) 정당하고 평탄한 방법으로 하지 아니하.. ▒ 고사성어집 ▒ 2007.05.16
ㅁ ■ 마/먀 ■■■■■ 마각노출(馬脚露出) 숨기려던 큰 흠이 부지 중에 나타나다. 마고소양(麻故搔痒) 일체의 일이 뜻대로 되는 것. 마부위침(磨斧爲針) 아무리 이루기 힘든 일이라도 끊임없는 노력과 끈기 있는 인내만 있으면 성공하여야 만다는 뜻 마부작침(磨斧作針) - 상세설명보기 도끼를 갈아서 바.. ▒ 고사성어집 ▒ 2007.05.16
ㄹ ■ 라/랴 ■■■■■ 람우충수(藍芋充數) 재능없는 사람이 적위에 앉는다. 람(濫)은 실제와 다르다는 것. 우(芋)는 대나무로 만든 악기. 실력이 없는 우의 주자가 머릿속에 들어있다는 데서 재능이 없는데 그 지위에 있다는 것. 람전출옥(藍田出玉) 천재는 천재를 낳는다. 람전(藍田)은 중국 협서성 람전.. ▒ 고사성어집 ▒ 2007.05.16
ㄷ ■ 다/댜 ■■■■■ 다기망양(多岐亡羊) - 달아난 양을 찾는데 길이 여러 갈래로 갈려서 양을 잃 었다는 뜻. 곧 ① 학문의 길이 다방면으로 갈려 진리를 찾기 어려움의 비유. ② 방침이 많아 갈 바를 모름. 많은 갈래의 것을 하려 하면 결국 아무것도 못한다는 뜻으로 쓰이며 많이 알면 얻으려던 것을 얻.. ▒ 고사성어집 ▒ 2007.05.16
ㄴ ■ 나 ■■■■■ 낙극애생(樂極哀生)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김 낙담상혼(落膽喪魂) 몹시 놀라 정신이 없음. 낙락장송(落落長松) 가지가 아래로 축축 늘어진 키 큰 소나무 낙생어우(樂生於憂) 즐거움은 근심하는 가운데에서 생긴다는 말 낙양지귀(洛陽紙貴), 낙양지가귀(洛陽紙價貴) 인기있는.. ▒ 고사성어집 ▒ 2007.05.16
ㄱ ■ 가 ■■■■■ 가가대소(呵呵大笑) 큰 소리로 껄껄 웃음. 몹시 우서워 큰소리를 내어 웃음. - 비 : 박장대소(拍掌大笑) roars of laughter. a loud laughter. a guffaw. 가가문전(家家門前) 집집마다의 문 앞 가가호호(家家戶戶) 집집마다. 가감승제(加減乘除) 사칙으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를 말함 가급인.. ▒ 고사성어집 ▒ 2007.05.16
고사성어(故事成語)란 고사성어(故事成語)란 [ 고사를 바탕으로 하여 이뤄진 관용 어구 ]라고 할수 있다. 한마디로 고사(古事)에서 연유한 말이라고 하지만, 여기에는 신화·전설·역사·고전·문학 작품 등에서 나온 말이 포함된다. 이러한 말들은 교훈·경구·비유·상징어 등으로 기능하고, 또 관용구나 속담으로 쓰이.. ▒ 고사성어집 ▒ 2007.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