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자료실 ▒ 176

약재유고 서(若齋遺稿序)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약재유고 서(若齋遺稿序) 갑자년 이후 작임. 도전(道傳)이 하루는 망우(亡友) 약재(若齋 김구용(金九容) 자는 경지(敬之))의 유고(遺稿) 몇 권을 얻어서 눈물을 지으며 읽고는 이내 붓에 먹을 묻혀서 그 책 머리에 쓰기를, ‘동국 시인 김경지(金敬之)의 소작이다.’하였다. 그 글씨가 끝나기도 전에 손님..

전교 김 부령에게 주는 시의 서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서(序) 전교 김 부령에게 주는 시의 서[贈典校金副令詩序] 선비가 이 세상에 나와서 그 출처와 거취(去就)가 어찌 일정하겠는가? 마땅히 크게 쓰이게 되면 크게 행하고, 적게 쓰이게 되면 적게 행하며 쓰이지 못하게 되면 행하지 못할 것이니, 이와 같이 할 따름이지만, 실제가 몸에 배어서 참으로 내외(..

이 집의(李執義) 계정(季町) 형(兄)을 보내면서 서거정 -사가시집-

시류(詩類) 서거정 제주(濟州)의 분사(分司)로 나가는 이 집의(李執義) 계정(季町) 형(兄)을 보내면서 겸하여 이 안무 동년(李安撫同年)에게 적어 부치다. 3수 남쪽 지방의 큰 고을이 바닷가에 눌러 있어 / 南服雄州鎭海涯 어사대서 엄선하여 재능 있는 이에게 맡겼네 / 烏臺盛選仗才華 목지도 옛날 분사..

문헌서원(文獻書院)에 대한 기 -백사 이항복(李恒福)-

문헌서원(文獻書院)에 대한 기   옛날 무왕(武王)이 주(紂)를 정벌할 적에 주공(周公)과 소공(召公)은 왕업을 협찬하였는데, 백이(伯夷)는 서산(西山)에서 고사리를 캐어 먹었고, 광무제(光武帝)가 천명을 받을 적에 경감(耿?)과 가복(賈復) 은 공훈을 세웠는데, 자릉(子陵) 은 창파(滄波)에서 낚시질만 하..

미수 허선생 연보(眉?許先生年譜)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미수 허선생 연보(眉?許先生年譜) 제1권 연보(年譜) 갑오년(1654, 효종5) 선생 60세 문간공(文簡公)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행장을 완성하다. ○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화상기(畵像記)를 짓다. ○ 문성공(文成公) 안유(安裕)의 여표비(閭表碑)를 짓다. ○ 파산(坡山)에 가서, 충간공(忠簡公..

토산 현감(兎山縣監) 묘갈명(墓碣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토산 현감(兎山縣監) 이공(李公)의 묘갈명(墓碣銘) 한산(韓山) 이경항(李景沆) 공은 곧 고려 때의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의 11세손이다. 증조부는 영의정에 추증된 오(澳)이고, 조부는 한흥군(韓興君) 덕연(德演)이며, 아버지는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성원(性源)인데 돈독한 행실로 이름이 났었다. ..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묘갈명(墓碣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이공(李公)의 묘갈명(墓碣銘) 공의 휘는 행원(行源), 자는 백초(百初)로, 한산군(韓山郡) 사람이다. 고려 때의 판문하(判門下)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예(後裔)로, 증조부는 이조 판서에 추증된 아산군(鵝山君) 뇌(?)이고, 조부는 영의정으로 추증된 한안군(韓安君) 오(澳)이며,..

죽천(竹泉) 이공(李公)의 묘지명(墓誌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우찬성(右贊成) 죽천(竹泉) 이공(李公)의 묘지명(墓誌銘) 공의 휘는 덕형(德泂), 자는 원백(遠白), 성은 이씨(李氏)로 본은 한산(韓山)이다. 크고 오래된 가문이니, 고려(高麗) 말엽에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색(李穡)이 있었고, 시중의 5세손으로는 좌의정 유청(惟淸)에 이르렀으며, 좌의정의 큰아들인 호남..

복천(復泉) 강공(姜公)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복천(復泉) 강공(姜公)의 묘명(墓銘) 복천(復泉) 강자구(姜子久) 선생의 휘(諱)는 학년(鶴年)인데, 그 선대는 본디 진양(晉陽) 사람으로 대사헌 강첨(姜?)의 아들이요, 부제학 신담(申湛)의 외손이다. 자구는 젊어서 《소학(小學)》, 《심경(心經)》을 읽어 일찍부터 학문하는 방법을 알았으며, 현명한 공자..

이 지평(李持平)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이 지평(李持平)의 묘명(墓銘) 공은 이름은 성원(性源)이요, 자(字)는 복초(復初)이며, 성은 이씨(李氏)인데, 그의 선조는 본디 한산(韓山) 사람이다. 고려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색(李穡)의 10세손이요, 조선 성종(成宗) 때의 공신 한성군(韓城君) 이훈(李塤)의 증손이며, 한흥군(韓興君) 이덕연(李德演)의 ..

만각(晩覺) 이 선생(李先生)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만각(晩覺) 이 선생(李先生)의 묘명(墓銘) 이 선생(李先生)은 휘는 정호(挺豪), 자는 영언(英彦)으로 고려(高麗) 때 문하시중이었던 이색(李穡)의 6세손이다. 고조부 이계정(李季町)은 사헌부 집의였고 증조부 이균(李均)은 홍문관 부제학이었으며, 조부 이선복(李善福)은 일찍 작고하였다. 아버지 이습(李..

이 저작(李著作)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이 저작(李著作)의 묘명(墓銘) 공은 휘는 적(嫡), 자는 대유(大有), 성은 이씨(李氏)이다. 선조는 본래 한산인(韓山人)으로 선정(先正)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관찰사(觀察使) 이청(李淸)의 4대손이다. 증조부의 휘는 공로(公潞)인데 충좌위 사과(忠佐衛司果)를 지냈고, 조부의 휘는 홍제(弘..

양온동(良?洞)의 고적기(古蹟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양온동(良?洞)의 고적기(古蹟記) 《여지승람(輿地勝覽)》 개경고적(開京古蹟)에, “태사(太師) 강감찬(姜邯贊), 중찬(中贊) 안유(安裕), 시중(侍中) 이색(李穡), 상당(上黨) 한수(韓脩)의 고택(古宅)이 모두 양온동에 있으니, 지금의 태평관(太平館) 서쪽이요, 옛날 국자감(國子監) 아래다.” 하였다. 《여지..

고려 서 장령(徐掌令)의 묘석기(墓石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고려 서 장령(徐掌令)의 묘석기(墓石記) 고려(高麗) 때 장령을 지낸 서견(徐甄)은 이천인(利川人)으로 고려 말엽에 국운이 위태함을 보고도 떠나지를 않았다. 공양왕(恭讓王) 4년에 장령이 되어 성헌(省憲) 김진양(金震陽)ㆍ이확(李擴), 그리고 여러 간관(諫官)들과 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

한강선생문집(寒岡先生文集)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한강선생문집(寒岡先生文集)》 서(序) 선생은 성주(星州) 사월(沙月) 마을에서 태어났으니, 때는 명(明) 나라 숙황제(肅皇帝) 가정(嘉靖) 22년(1543, 중종38) 7월 임자일이다. 휘(諱)는 구(逑), 자(字)는 도가(道可), 성(姓)은 정씨(鄭氏)인데,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지은 ‘정씨가전(鄭氏家傳)’에 ‘서원(..

우 시중(禹侍中) 유사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우 시중(禹侍中) 유사 우 시중(禹侍中)은 휘가 현보(玄寶), 자가 원공(元功)으로 단양군인(丹陽郡人)이다. 《고려사》 세가(世家)와 본전(本傳)을 상고하면, “공민왕 때에 문학(文學)으로 춘추관 검열(春秋館檢閱)이 되었다가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에 이르고, 우왕 2년(1376)에는 밀직제학(密直提學)으..

간이당(簡易堂) 묘갈(墓碣)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간이당(簡易堂) 묘갈(墓碣) 공은 휘가 립(?), 자가 입지(立之), 성이 최씨(崔氏)이며, 아버지 자양(自陽)은 국자 진사(國子進士)였다. 공은 어려서 어버이를 여의고 말도 잘 못하여 난 지 10년 만에 처음으로 글을 읽었으나, 겨우 성동(成童)에 태학(太學)에 오르고 문장이 날로 세상에 유명해졌으며, 20세에..

운곡 선생(耘谷先生)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운곡 선생(耘谷先生) 묘명(墓銘) 선생은 원주인(原州人)으로, 성은 원씨(元氏), 휘는 천석(天錫), 자는 자정(子正)이다. 고려의 국자 진사(國子進士)로 고려의 정치가 어지러움을 보고 은거하여 지절(志節)을 지키며 호를 운곡 선생이라고 하더니, 고려가 망하자 치악산(雉嶽山)에 들어가 종신토록 나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