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현의 서술[諸賢?述]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제현의 서술[諸賢?述] 정삼봉 금남잡제 서 병진 [鄭三峯錦南雜題序 丙辰] 연성(連城)의 구슬은 곤강(崑岡 곤륜산(崑崙山))이라 해서 항상 나는 것이 아니고, 천리마(千里馬)는 기야(冀野 말이 많이 나는 기주(冀州))라고 항상 나는 것이 아니다. 하늘이 주는 성품을 타고난 생물(生物)로서는 사람보다 더 .. ▒ 목은자료실 ▒ 2007.06.15
사실(事實)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삼봉집 제7권 습유(拾遺) 기(記) 백암산 정토사기(白巖山淨土寺記) 없어졌다. 【안】 이색(李穡)의 정토사(淨土寺) 쌍계루기(雙溪樓記)에 “삼중대광(三重大匡) 복리군(福利君) 운암(雲巖) 징공(澄公) 청수(淸?)가 절간(絶磵) 윤공(倫公)을 통하여 그 누의 이름을 지어 달라 하고 또 삼봉 정씨(三峯鄭氏)가 .. ▒ 목은자료실 ▒ 2007.06.15
약재유고 서(若齋遺稿序)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약재유고 서(若齋遺稿序) 갑자년 이후 작임. 도전(道傳)이 하루는 망우(亡友) 약재(若齋 김구용(金九容) 자는 경지(敬之))의 유고(遺稿) 몇 권을 얻어서 눈물을 지으며 읽고는 이내 붓에 먹을 묻혀서 그 책 머리에 쓰기를, ‘동국 시인 김경지(金敬之)의 소작이다.’하였다. 그 글씨가 끝나기도 전에 손님.. ▒ 목은자료실 ▒ 2007.06.15
전교 김 부령에게 주는 시의 서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서(序) 전교 김 부령에게 주는 시의 서[贈典校金副令詩序] 선비가 이 세상에 나와서 그 출처와 거취(去就)가 어찌 일정하겠는가? 마땅히 크게 쓰이게 되면 크게 행하고, 적게 쓰이게 되면 적게 행하며 쓰이지 못하게 되면 행하지 못할 것이니, 이와 같이 할 따름이지만, 실제가 몸에 배어서 참으로 내외(.. ▒ 목은자료실 ▒ 2007.06.15
도당에게 올리는 글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서(書) 도당에게 올리는 글 신미 [上都堂書 辛未 ] 재상(宰相)의 직책은 모든 책임이 모이는 곳입니다. 그러므로 석개보(石介甫)가 말하기를, ‘재상은 위로는 음양(陰陽)을 조화하고 아래로는 여러 백성을 편안히 어루만지며 작상(爵賞)과 형벌(刑罰)이 경유하는 바이고, 정화(政化)와 교령(敎令)이 나오.. ▒ 목은자료실 ▒ 2007.06.15
공양왕에게 올리는 소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소(疏) 공양왕에게 올리는 소 신미 4월 [上恭讓王疏 辛未四月 ] 【안】 공양왕이 구언(求言) 교서(敎書)를 내렸는데 다음과 같다. “재앙을 그치게 하는 방법은 덕을 닦음이 제일이고, 정치를 잘하는 요령은 바른말을 구하는 데 있다. 옛날에 송경공(宋景公)이 말 한 마디를 잘함으로써 형혹성(熒惑星)이 .. ▒ 목은자료실 ▒ 2007.06.15
양촌부(陽村賦)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삼봉집 제1권 부(賦) 양촌부(陽村賦) 【안】 권근은 고려 말 옥사에 연좌되어 충주로 유배당했다. 양촌(陽村)에 살았기 때문에 인하여 호(號)를 삼았다. 이색(李穡)의 《양촌기(陽村記)》도 역시 이 부(賦)의 뜻[義]을 취하였다. 아 깊고 멀다 이 양이여 / 於穆惟陽 나라가 열리자면 꼭 먼저 내네 / 有開必.. ▒ 목은자료실 ▒ 2007.06.15
서(序) 권근(權近) -삼봉집 정도전(鄭道傳)- 삼봉집 서(三峯集序) 서(序) 서(序) 권근(權近) 문자가 천지의 사이에 있어, 사도(斯道)와 서로 운명을 함께하므로 도가 위에서 시행되면 문장이 예악(禮樂)과 정교(政敎)의 사이에 나타나고, 도가 아래에서 밝아지면 문장이 서적(書籍)과 필삭(筆削)에 의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모(典謀)ㆍ 서명(誓命).. ▒ 목은자료실 ▒ 2007.06.15
이 집의(李執義) 계정(季町) 형(兄)을 보내면서 서거정 -사가시집- 시류(詩類) 서거정 제주(濟州)의 분사(分司)로 나가는 이 집의(李執義) 계정(季町) 형(兄)을 보내면서 겸하여 이 안무 동년(李安撫同年)에게 적어 부치다. 3수 남쪽 지방의 큰 고을이 바닷가에 눌러 있어 / 南服雄州鎭海涯 어사대서 엄선하여 재능 있는 이에게 맡겼네 / 烏臺盛選仗才華 목지도 옛날 분사.. ▒ 목은자료실 ▒ 2007.06.15
춘풍가(春風歌) 서거정 -사가시집- 시류(詩類) 서거정 춘풍가(春風歌). 연경(燕京)에 가는 명중(明仲)을 보내다. 춘풍가 / 春風歌 봄바람은 장안의 꽃들을 두루 다 피우고 / 春風開遍長安花 봄 강물은 포돗빛 푸른 물결이 벌창하는데 / 春江綠漲葡萄波 봄바람이 나를 등지고 돌아가려고 하니 / 春風背我欲歸去 가는 봄 보내는 나의 시름을 .. ▒ 목은자료실 ▒ 2007.06.15
후관어대부(後觀魚臺賦) 서거정 -사가시집 - 후관어대부(後觀魚臺賦) 내가 일찍이 목은(牧隱)의 관어대부(觀魚臺賦)를 읽고 이 관어대가 천하에 뛰어난 경관(景觀)이라는 것을 알고부터는 직접 한번 보지 못한 것을 평생의 한으로 삼아 왔었다. 그러다가 지금 다행히 이 광릉 세우(李廣陵世祐), 유 문성 계분(柳文城桂芬), 이 전성 인석(李全城仁錫).. ▒ 목은자료실 ▒ 2007.06.15
사가집 서(四佳集序) -임원준- 사가집서(四佳集序) 서(序) 임원준 사가집 서(四佳集序) 문장(文章)이 천하(天下)에 있어 비록 고금 시대(古今時代)에 따라서 다름이 있기는 하나, 그 고하 성쇠(高下盛衰)는 세도(世道)의 승강(升降)과 정치(政治)의 융체(隆替)에 따라서 드러나는 것이다. 그러나 글 중에는 시(詩)보다 어려운 것이 없으.. ▒ 목은자료실 ▒ 2007.06.15
문헌서원(文獻書院)에 대한 기 -백사 이항복(李恒福)- 문헌서원(文獻書院)에 대한 기 옛날 무왕(武王)이 주(紂)를 정벌할 적에 주공(周公)과 소공(召公)은 왕업을 협찬하였는데, 백이(伯夷)는 서산(西山)에서 고사리를 캐어 먹었고, 광무제(光武帝)가 천명을 받을 적에 경감(耿?)과 가복(賈復) 은 공훈을 세웠는데, 자릉(子陵) 은 창파(滄波)에서 낚시질만 하.. ▒ 목은자료실 ▒ 2007.06.15
미수 허선생 연보(眉?許先生年譜)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미수 허선생 연보(眉?許先生年譜) 제1권 연보(年譜) 갑오년(1654, 효종5) 선생 60세 문간공(文簡公)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행장을 완성하다. ○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화상기(畵像記)를 짓다. ○ 문성공(文成公) 안유(安裕)의 여표비(閭表碑)를 짓다. ○ 파산(坡山)에 가서, 충간공(忠簡公.. ▒ 목은자료실 ▒ 2007.06.15
토산 현감(兎山縣監) 묘갈명(墓碣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토산 현감(兎山縣監) 이공(李公)의 묘갈명(墓碣銘) 한산(韓山) 이경항(李景沆) 공은 곧 고려 때의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의 11세손이다. 증조부는 영의정에 추증된 오(澳)이고, 조부는 한흥군(韓興君) 덕연(德演)이며, 아버지는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성원(性源)인데 돈독한 행실로 이름이 났었다. .. ▒ 목은자료실 ▒ 2007.06.15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묘갈명(墓碣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이공(李公)의 묘갈명(墓碣銘) 공의 휘는 행원(行源), 자는 백초(百初)로, 한산군(韓山郡) 사람이다. 고려 때의 판문하(判門下)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예(後裔)로, 증조부는 이조 판서에 추증된 아산군(鵝山君) 뇌(?)이고, 조부는 영의정으로 추증된 한안군(韓安君) 오(澳)이며,.. ▒ 목은자료실 ▒ 2007.06.15
죽천(竹泉) 이공(李公)의 묘지명(墓誌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우찬성(右贊成) 죽천(竹泉) 이공(李公)의 묘지명(墓誌銘) 공의 휘는 덕형(德泂), 자는 원백(遠白), 성은 이씨(李氏)로 본은 한산(韓山)이다. 크고 오래된 가문이니, 고려(高麗) 말엽에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색(李穡)이 있었고, 시중의 5세손으로는 좌의정 유청(惟淸)에 이르렀으며, 좌의정의 큰아들인 호남.. ▒ 목은자료실 ▒ 2007.06.15
복천(復泉) 강공(姜公)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복천(復泉) 강공(姜公)의 묘명(墓銘) 복천(復泉) 강자구(姜子久) 선생의 휘(諱)는 학년(鶴年)인데, 그 선대는 본디 진양(晉陽) 사람으로 대사헌 강첨(姜?)의 아들이요, 부제학 신담(申湛)의 외손이다. 자구는 젊어서 《소학(小學)》, 《심경(心經)》을 읽어 일찍부터 학문하는 방법을 알았으며, 현명한 공자.. ▒ 목은자료실 ▒ 2007.06.15
이 지평(李持平)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이 지평(李持平)의 묘명(墓銘) 공은 이름은 성원(性源)이요, 자(字)는 복초(復初)이며, 성은 이씨(李氏)인데, 그의 선조는 본디 한산(韓山) 사람이다. 고려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색(李穡)의 10세손이요, 조선 성종(成宗) 때의 공신 한성군(韓城君) 이훈(李塤)의 증손이며, 한흥군(韓興君) 이덕연(李德演)의 .. ▒ 목은자료실 ▒ 2007.06.15
만각(晩覺) 이 선생(李先生)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만각(晩覺) 이 선생(李先生)의 묘명(墓銘) 이 선생(李先生)은 휘는 정호(挺豪), 자는 영언(英彦)으로 고려(高麗) 때 문하시중이었던 이색(李穡)의 6세손이다. 고조부 이계정(李季町)은 사헌부 집의였고 증조부 이균(李均)은 홍문관 부제학이었으며, 조부 이선복(李善福)은 일찍 작고하였다. 아버지 이습(李.. ▒ 목은자료실 ▒ 2007.06.15
이 저작(李著作)의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이 저작(李著作)의 묘명(墓銘) 공은 휘는 적(嫡), 자는 대유(大有), 성은 이씨(李氏)이다. 선조는 본래 한산인(韓山人)으로 선정(先正)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관찰사(觀察使) 이청(李淸)의 4대손이다. 증조부의 휘는 공로(公潞)인데 충좌위 사과(忠佐衛司果)를 지냈고, 조부의 휘는 홍제(弘.. ▒ 목은자료실 ▒ 2007.06.15
양온동(良?洞)의 고적기(古蹟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 양온동(良?洞)의 고적기(古蹟記) 《여지승람(輿地勝覽)》 개경고적(開京古蹟)에, “태사(太師) 강감찬(姜邯贊), 중찬(中贊) 안유(安裕), 시중(侍中) 이색(李穡), 상당(上黨) 한수(韓脩)의 고택(古宅)이 모두 양온동에 있으니, 지금의 태평관(太平館) 서쪽이요, 옛날 국자감(國子監) 아래다.” 하였다. 《여지.. ▒ 목은자료실 ▒ 2007.06.15
양촌집(陽村集)서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양촌집(陽村集)》의 중간(重刊)에 대한 서 우리나라 문헌(文獻) 가운데 옛것은 당초부터 고람(考覽)할 데가 없지만, 은(殷) 나라가 망할 적에 기자(箕子)가 조선에 옴으로써 시ㆍ서ㆍ예ㆍ악의 가르침이 그에게서 시작되었다. 경계를 바르게 하고 팔정(八政)을 시행하였으니, 그 교화로 밤에도 문을 닫.. ▒ 목은자료실 ▒ 2007.06.15
고려 서 장령(徐掌令)의 묘석기(墓石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고려 서 장령(徐掌令)의 묘석기(墓石記) 고려(高麗) 때 장령을 지낸 서견(徐甄)은 이천인(利川人)으로 고려 말엽에 국운이 위태함을 보고도 떠나지를 않았다. 공양왕(恭讓王) 4년에 장령이 되어 성헌(省憲) 김진양(金震陽)ㆍ이확(李擴), 그리고 여러 간관(諫官)들과 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 ▒ 목은자료실 ▒ 2007.06.15
한강선생문집(寒岡先生文集)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한강선생문집(寒岡先生文集)》 서(序) 선생은 성주(星州) 사월(沙月) 마을에서 태어났으니, 때는 명(明) 나라 숙황제(肅皇帝) 가정(嘉靖) 22년(1543, 중종38) 7월 임자일이다. 휘(諱)는 구(逑), 자(字)는 도가(道可), 성(姓)은 정씨(鄭氏)인데,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지은 ‘정씨가전(鄭氏家傳)’에 ‘서원(.. ▒ 목은자료실 ▒ 2007.06.15
우 시중(禹侍中) 유사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우 시중(禹侍中) 유사 우 시중(禹侍中)은 휘가 현보(玄寶), 자가 원공(元功)으로 단양군인(丹陽郡人)이다. 《고려사》 세가(世家)와 본전(本傳)을 상고하면, “공민왕 때에 문학(文學)으로 춘추관 검열(春秋館檢閱)이 되었다가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에 이르고, 우왕 2년(1376)에는 밀직제학(密直提學)으.. ▒ 목은자료실 ▒ 2007.06.15
간이당(簡易堂) 묘갈(墓碣)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간이당(簡易堂) 묘갈(墓碣) 공은 휘가 립(?), 자가 입지(立之), 성이 최씨(崔氏)이며, 아버지 자양(自陽)은 국자 진사(國子進士)였다. 공은 어려서 어버이를 여의고 말도 잘 못하여 난 지 10년 만에 처음으로 글을 읽었으나, 겨우 성동(成童)에 태학(太學)에 오르고 문장이 날로 세상에 유명해졌으며, 20세에.. ▒ 목은자료실 ▒ 2007.06.15
운곡 선생(耘谷先生) 묘명(墓銘)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운곡 선생(耘谷先生) 묘명(墓銘) 선생은 원주인(原州人)으로, 성은 원씨(元氏), 휘는 천석(天錫), 자는 자정(子正)이다. 고려의 국자 진사(國子進士)로 고려의 정치가 어지러움을 보고 은거하여 지절(志節)을 지키며 호를 운곡 선생이라고 하더니, 고려가 망하자 치악산(雉嶽山)에 들어가 종신토록 나오지.. ▒ 목은자료실 ▒ 2007.06.15
목은 이색선생의 일대기 -목은고(牧隱藁)- 이색은 어려서부터 뛰어나게 총명하여 스스로 글을 읽을 줄 알았고, 한번 보기만 하면 다 외웠다. 지정(至正) 신사년에 이색의 나이 겨우 14세였는데, 본국의 성균시에 합격하여 우뚝하게 이미 명성이 있었다. 막 관례를 하고 혼인을 해야 할 시기에 한때의 고문 망족(高門望族)으로 사위를 가리는 이들.. ▒ 목은자료실 ▒ 2007.06.15
목은사실편 면암집(勉菴集) -최익현(崔益鉉)- 면암선생문집(勉菴先生文集) 제24권 발(跋) 《목은사실편(牧隱事實編)》 발 목은(牧隱 이색(李穡)) 이 선생이 고려 말기에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선생과 정주학(程朱學)을 제창하여 유학의 풍도를 진작하고 풍속을 변화시켰으며 강상(綱常)을 부식하고 예의를 일으켰다. 그리하여 이씨 왕조의 문운(.. ▒ 목은자료실 ▒ 200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