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語/數詞(한자어/수사) <漢字語/數詞(한자어/수사)> 1)定數單位/漢字(정수단위/한자) *( )안의 글자는 갖은자이다. 갖은자는 돈의 액수 등을 기록할 때 함부로 고치지 못하도록 획이 더 많고 구성을 달리한 한자를 말한다. 갖은자 중에서 4(肆), 6(陸), 7(柒), 8(捌), 9(玖), 100(佰)은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一(壹) 일 .. ▒ 한문자료실 ▒ 2015.01.16
한자키와 특수 문자 입력 ※한자키와 특수 문자 입력( DS5JBI , DS5JBJ ) -한글 자음에 등록된 특수 문자 목록 :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누른다. 1.삽입>기호>해당되는 기호 클릭 2.한글 "ㅁ"같은걸 누루고 자판의 한자키를 누른다. 아래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참고 ㄱ) 대각선, 가운데 점, 온도 기호, 물결 기호, .. ▒ 한문자료실 ▒ 2015.01.16
한문격언(漢文格言) <한문격언(漢文格言)> ■ 苛政(가정)은 猛於虎(맹어호)니라 <출전>예기(禮記) <해석>가혹한 정치는 호랑이 보다 사납다. <의미>백성들은 가혹한 정치를 가장 무서워한다는 뜻으로 폭정을 경계하는 말. <한자>苛(매울 가), 政(정사 정), 猛(사나울 맹), 於(어조사 어), 虎(.. ▒ 한문자료실 ▒ 2015.01.16
한역 속담 <한역 속담> ◇ 三日之程(삼일지정)에 一日往(일일왕)하고 十日臥(십일와)라 <출전>旬五志(순오지)] <해석>삼일의 노정에 하루 가고 열흘 눕는다. <속담>사흘 길에 하루쯤 가서 열흘씩 눕는다 <의미>⑴ 나태하고 게을러 일을 도모할 수가 없다 ⑵ 일을 너무 급하게 서두.. ▒ 한문자료실 ▒ 2015.01.15
한자어의 구조 <한자어의 구조> 한문에는 수많은 한자어가 있습니다. 수많은 한자가 이루는 수많은 한자어를 분석하면 결국 몇 가지 형태의 구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그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수많은 한자어의 뜻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고 또 낱말을 기억하기도 편리합니다 이를 간단히 도.. ▒ 한문자료실 ▒ 2015.01.15
상대병렬구조의 한자어 <상대병렬구조의 한자어> -의미상 서로 상대적인 내용이 구조상 병렬되어 이루어진 한자어 上下(상하)/윗상, 아래하 : 위와 아래. 위아래./ 東西(동서)/동녘동, 서녘서 : 동쪽과 서쪽/ 南北(남북)/남녘남, 북녘북 : 남쪽과 북쪽/ 前後(전후)/앞전, 뒤후 : 앞과 뒤/ 內外(내외)/안내, 바깥외 : .. ▒ 한문자료실 ▒ 2015.01.15
상대 한자어 <상대 한자어> -내용이 서로 상대적인 한자 낱말 死後(사후)죽을 사, 뒤 후 : 죽은 후 生前(생전)날 생, 앞 전 : 죽기 전 削減(삭감)깎을 삭. 덜 감 : 비용 따위를 깎아서 줄임 添加(첨가)더할 첨, 더할 가 : 덧붙임. 더 넣음 散文(산문)흩을 산, 글월 문 : 글자의 수나 운율 따위에 제한 없이 .. ▒ 한문자료실 ▒ 2015.01.15
분야별 관련 한자어 학습 <분야별 관련 한자어 학습(1)> 사고 관련 한자어(1) ☆條件(조건) a condition; a terms 條(가지/조목 조) 件(일/사건 건) ☞①어떤 일을 이루게 하거나 이루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상태나 요소. ②일정한 일을 결정하기에 앞서 내놓는 요구나 견해. ☆特殊(특수) special; specific; partic.. ▒ 한문자료실 ▒ 2015.01.15
한자독음/두음법칙(漢字讀音/頭音法則) <한자독음/두음법칙(漢字讀音/頭音法則)> 1.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예) 女軍(녀군 → 여군), 尿石(뇨석 → 요석), 紐帶(뉴대 → 유대), 泥海(니해 → 이해) ※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두음법칙 예외를 적용하여 본음.. ▒ 한문자료실 ▒ 2015.01.15
한자 필획의 명칭 <한자 필획의 명칭> 1. 측(側) : 기울어 있는 점을 측(側)이라 한다. 2. 늑(勒) : 가로긋는 획을 늑(勒)이라 한다. 3. 노(弩) : 세로로 내려 긋는 획을 노(努)라 한다 4. 적(趯) : 갈고리를 긋는 획을 적(적)이라 한다 5. 책(策) : 위로 쳐다보는 왼쪽의 윗획을 책(策)이라 한다 6. 약(掠) : 길게 .. ▒ 한문자료실 ▒ 2015.01.15
한자 필순(筆順)의 기본원칙 <한자 필순(筆順)의 기본원칙> 필순이란 한자 낱자를 쓸 때의 순서를 의미한다 수많은 한자를 씀에 있어서 오랜 기간 많은 사람이 한자를 써온 결과 가장 쓰기 쉽고 빨리 쓰며 쓰고 난 뒤에 가장 조화롭게 쓰지는 순서를 찾아 이를 귀납적으로 규칙화한 것이다. 결코, 필순이 먼저 생기.. ▒ 한문자료실 ▒ 2015.01.15
육서(六書) <육서(六書)> 육서(六書)는 전한(前漢) 말경부터 생긴 한자분류법으로 4가지 글자를 만드는 법과 2가지 글자를 활용하는 방법을 뜻한다 <글자를 만드는 4가지 방법> 1. 상형(象形) :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눈에 보이는 사물의 구체적인 모양을 본떠 글자를 만들었다고 생각되.. ▒ 한문자료실 ▒ 2015.01.15
1급 읽기 배정한자3500글자 <1급 읽기 배정한자3500글자> ㄱ 呵(꾸짖을 가; 口-총8획; hē,ā,á,ǎ,à,ō,kē) 哥(노래 가; 口-총10획; gē) 嘉(아름다울 가; 口-총14획; jiā) 嫁(시집갈 가; 女-총13획; jià) 稼(심을 가; 禾-총15획; jià) 苛(매울 가; 艸-총9획; kē) 袈(가사 가; 衣-총11획; j.. ▒ 한문자료실 ▒ 2015.01.14
1級 쓰기配定漢字 2,005字 *1급 쓰기 배정한자 2500 연습용 파일 첨부 <1級 쓰기配定漢字 2,005字> *1급 쓰기 배정한자 2500 연습용 파일 첨부 ㄱ 架(시렁 가; 木-총9획; jià) 暇(겨를 가; 日-총13획; xiá) 假(거짓 가; 人-총11획; jiǎ,jià) 街(거리 가; 行-총12획; jiē) 加(더할 가; 力-총5획; jiā) 可(옳을 가; 口-총5획; kě,kè) 價(값 가; 人-.. ▒ 한문자료실 ▒ 2015.01.14
한자의 부수 [한자의 부수] 부수란 자전이나 사전에서 글자를 찾는데 필요한 기본글자를 말합니다. 많은 한자를 어떤 공통된 기준에 의하여 분류한 집합을 부(部)라고 하고, 각 부에 속한 글자들 가운데 공통된 부분으로서 분류의 기준이 되고 같은 부에서 첫 머리에 오는 글자를 부수글자라고 한다. .. ▒ 한문자료실 ▒ 2015.01.14
부수의 위치 명칭 <부수의 위치 명칭> 1. 변(邊) : 부수가 글자의 왼쪽에 있는 경우 어질인 仁, 지을작 作(사람인 亻 변) 구를전 轉(수레거 車 변), 맑을청 淸(삼수 氵 변) 2. 방(傍) : 부수가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경우 놓을방 放(둥글월문 攴 방), 쪼갤판 判(칼도 刀 방) 섞일잡 雜(새추 隹 방),.. ▒ 한문자료실 ▒ 2015.01.14
부수글자의 어원풀이 <부수글자의 어원풀이> 一 (하나 일) "一"은 원래 셈을 할 때 쓰는 산(算) 가지 한 개의 모습을 본떠서 "一"에는 특정한 의미는 없고, 다만 자형(字形)의 분류를 위하여 설정해 놓은 것이다. 문자의 구성요소로서 "一"을 기초로 "二"․"三"의 숫자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 부수에 속하.. ▒ 한문자료실 ▒ 2015.01.14
자형 유사자 <자형 유사자> 佳(아름다울 가; 人-총8획; jiā) *佳人(가인) : ①=미인 ②이성으로서 애정을 느끼게 하는 사람 住(살 주; 人-총7획; zhù) *住宅(주택) : 사람이 들어가 살 수 있게 지은 건물 往(갈 왕; 彳-총8획; wǎng) *往來(왕래) : 가고 오고 함 刻(새길 각; 刀-총8획; kè,keM.. ▒ 한문자료실 ▒ 2015.01.14
한자 약자 <한자 약자> *凡例(가나다순서) : 독음(한자)/약자 ㄱ ▲ 가(價)/価 價(값 가; 人-총15획; jià,jiè,jiė) ▲ 가(暇)/昄 暇(겨를 가; 日-총13획; xiá) ▲ 가(假)/仮 假(거짓 가; 人-총11획; jiǎ,jià) ▲ 각(覺)/覚 覺(깨달을 각; 見-총20획; jué,jiào) ▲ 감(監).. ▒ 한문자료실 ▒ 2015.01.14
형태 유사자(모양이 비슷한 한자 형태 유사자(모양이 비슷한 한자)> 假(거짓 가; ⼈-총11획; jiǎ,jià)̀ 暇(겨를 가; ⽇-총13획; xiá) 街(거리 가; ⾏-총12획; jiē) 衒(팔 현; ⾏-총11획; xuàn) 幹(줄기 간; ⼲-총13획; gàn) 斡(관리할 알; ⽃-총14획; wò,ǎn) 干(방패 간; ⼲-총3.. ▒ 한문자료실 ▒ 2015.01.14
잘못 읽기 쉬운 한자 <잘못 읽기 쉬운 한자> (O) = 바른 독음, (X) = 틀린 독음 嘉穀 (O)가곡, (X)하곡 *嘉(아름다울 가) *穀(곡식 곡) [뜻]①좋은 곡식(穀食) ②벼 佳句(O)가구, (X)가귀 *佳(아름다울 가) *句(글귀 구) [뜻]잘 지은 글귀 苛斂 (O)가렴, (X)가검 *苛(매울 가) *斂(거둘 렴{염}) [뜻]조세(租稅) 등(等)을 가혹(.. ▒ 한문자료실 ▒ 2015.01.14
동자 이음어(同字異音語) <동자 이음어(同字異音語)> ◇ 降 1. 내릴 강 降雨(강우) : 비가 내림. 또는 그 비. 昇降(승강) : 오르고 내림 2. 항복할 항 降伏(항복) : ①적이나 상대편의 힘에 눌리어 굴복함. ②〖물리〗소성 변형을 할 때, 물체가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에 저항하여 그 원형을 지키려는 힘을 .. ▒ 한문자료실 ▒ 2015.01.14
번체자/간체자대조표(繁體字/簡體字/對照表) <번체자/간체자대조표(繁體字/簡體字/對照表)> -한자 2495 글자의 번체자와 간체자를 대조해서 모아놓았습니다. 현대 중국에서는 번체의 중국의 고전을 간체자로 바꾸어 그들의 고전을 현대화해 놓은 책이 많습니다. 그래서 고전 한문을 하시는 분도 반드시 익혀둘 필요가 있습니다- .. ▒ 한문자료실 ▒ 2015.01.14
한문학 관련 유용한 사이트 모음 *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 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 * 한국고전번역원 www.itkc.or.kr/ - 고전종합DB : db.itkc.or.kr/ - 이체자검색시스템 : http://db.itkc.or.kr/DCH/ - 고전번역서서지정보검색 : http://db.itkc.or.kr/itkcdb/text/mks/mksMainPopup.jsp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 ▒ 한문자료실 ▒ 201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