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 유묵 안중근의사는 1879년7월16일,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31세의 나이로 1910년3월26일 여순감옥에서 사형으로 생을 마감 보물로 지정된 유묵 1. 백인당중유태화보물 제569-1호 百忍堂中有泰和 백 번 참는 집안에 태평과 화목이 있다. 중국 당(청) 고종이 운주 장공예(張公藝)의 집 당호(堂號)로, 9.. ▒ 서화자료실 ▒ 2014.01.24
광개토대왕비문 판독 4면~9행 광개토대왕비문 제4면 광개토대왕비문 탁본4면 광개토대왕비문(쌍구가묵본)4면. 광개토대왕비4면1981 <사진출처:장영주역사원문자료> <1면에는 모두 9행으로 되어 있으며 각항마다 41자가 새겨져있고 자연 풍화로 1행의 4자가 빠져있으로 총 365자가 있습니다.> 4-1,4면 1행 七. 也利.. ▒ 서화자료실 ▒ 2013.03.13
광개토대왕비문 판독 3면~14행 광개토대왕비문 제3면 광개토대왕비문 탁본3면 광개토대왕비문(쌍구가묵본)3면. 광개토대왕비3면1981 <사진출처:장영주역사원문자료> <제3면 전체 14행으로 이뤄져있으며 매행 41자의 글자가 새겨져있으므로 총 574자의 글씨가 있습니다.> 3-1, 3면 1행 □□且□□□□□□□□□□.. ▒ 서화자료실 ▒ 2013.03.05
광개토대왕비문 판독 2면~10행 광개토대왕비문 제2면 광개토대왕비문 탁본2면 광개토대왕비문(쌍구가묵본)2면. 광개토대왕비2면1981 <사진출처:장영주역사원문자료> < 2면에는 10행이 있으며 각 행마다 41자가 새겨져있습니다. 제 9행과 10행의 윗부분은 당초부터 자연풍화로 인한 손상이 있어서 당초 이 부분에는 .. ▒ 서화자료실 ▒ 2013.02.13
광개토대왕비문 판독 1면~11행 광개토대왕비문 제1면 광개토대왕비문 탁본1면 광개토대왕비문(쌍구가묵본)1면 광개토대왕비1면1981 <사진출처:장영주역사원문자료> <1면에는 11행에 걸쳐서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각행마다 41자의 글씨가 있습니다 6행 마지막 부분에 2글자자 원래 없어서 전체 글씨는 449자 입니다. .. ▒ 서화자료실 ▒ 2013.02.01
소동파의 적벽부 行楷書 작품 소동파의 行楷書 작품 <대만 고궁박물관 소장> 壬戌之秋 七月旣望 蘇子與客 泛舟遊於赤壁之下. 淸風徐來 水波不興. 임술지추 칠월기망 소자여객 범주유어적벽지하. 청풍서래 수파불흥. 임술년(1082년) 가을 7월 기망(16일)에 손님과 배를 띄워 적벽(赤壁) 아래에서 놀고 있는데 맑은 바.. ▒ 서화자료실 ▒ 2013.01.28
풍교야박(楓橋夜泊) 장계(張繼) 楓橋夜泊 풍교야박 한밤에 풍교 근처에 배를 대고 장계 月落烏啼霜滿天 월락오제상만천 달이 지고 까마귀 우는 소리 들리는 어둔 밤하늘에 차디찬 서리 기운이 가득하고갔다가 江楓漁火對愁眠 강풍어화대수면 강기슭의 단풍나무, 깜박거리는 고기잡이 배의 불이 근심으로 잠 못 드는 .. ▒ 서화자료실 ▒ 2013.01.22
올림픽 개막식때 그린 수묵화 천리강산도, 이백의 한시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望廬山瀑布 망여산폭포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李白(唐) 이백 701~762 日照香爐生紫煙 일조향로생자연 해가 향로봉을 비추니 자줏빛 안개가 일어나고 遙看瀑布快長川 요간폭포괘장천 멀리폭포를 바라보니 긴 냇물 걸어 놓은듯하네 飛流直下三千尺 비류직하삼천척 날 듯이 흘러 수직으로 삼천 척을 떨어.. ▒ 서화자료실 ▒ 2008.08.16
소동파의 수조가두(水調歌頭) ■ 水調歌頭 <수조가두> - 蘇 東 坡<소동파> - 明月幾時有 명월기시유 밝은 저 달은 언제부터 있었을까 把酒問靑天 파주문청천 술잔을 들고 하늘에 물어본다 不知天上宮闕 부지천상궁궐 하늘의 궁전에서도 모를 것이다 今夕是何年 금석시하년 그곳은 지금 어느 계절일까? 我欲乘.. ▒ 서화자료실 ▒ 2007.08.11
두목의 산행(山行) -임산지(林散之)옹의 글씨- 임산지(林散之)옹의 글씨 山行 산행 산에 오르다 杜牧(唐) 두목 803~853 遠上寒山石徑斜 원상한산석경사 멀리 한산에 오르려니 돌길은 비스듬한데 白雲生處有人家 백운생처유인가 흰구름 이는 곳에 인가가 있네 停車坐愛風林晩 정거좌애풍림만 수레 멈추고 가만히 늦은 단풍을 즐기니 霜.. ▒ 서화자료실 ▒ 2007.08.10
두목의 산행(山行) -모택동의 글씨- 山行 산행 산에 오르다 杜牧(唐) 두목 803~853 遠上寒山石徑斜 원상한산석경사 멀리 한산에 오르려니 돌길은 비스듬한데 白雲生處有人家 백운생처유인가 흰구름 이는 곳에 인가가 있네 停車坐愛風林晩 정거좌애풍림만 수레 멈추고 가만히 늦은 단풍을 즐기니 霜葉紅於二月花 상엽홍어이.. ▒ 서화자료실 ▒ 2007.08.10
두목의 산행(山行) 山行 산행 두목 遠上寒山石徑斜 늦가을산,굽이 굽이 휘도는 돌길을 따라 멀리서 오른다내 白雲生處有人家 흰 구름 피어나는 곳에 몇 채의 인가 드문 드문~ 停車坐愛楓林晩 예서 수레를 멈추고 앉아..단풍든 수풀의 노을진 저녁을 즐기는데 霜葉紅於二月花 아~ 서리 맞은 단풍잎! ....2월에 핀 꽃 보다도.. ▒ 서화자료실 ▒ 2007.08.10
범중엄의 악양루기(岳陽樓記) 동기창 선생의 글씨 慶曆四年春 등子京謫守巴陵郡 북송 인종 경력 4년(1044년) 봄에 등자경[이 시의 지은이, 범중엄의 고시 동기생]은 파릉군(익주) 태수로 좌천되었다 越明年 政通人和 百廢具興 이에 부임한지 일년이 지나자 정치는 정상화되었고 백성들은 화목했으며 폐지되었던 모든 제도가 다시 잘.. ▒ 서화자료실 ▒ 2007.08.09
장계의 풍교야박 楓橋夜泊 한밤에 풍교 근처에 배를 대고 장계 月落烏啼霜滿天 달이 지고 까마귀 우는 소리 들리는 어둔 밤하늘에 차디찬 서리 기운이 가득하고갔다가 江楓漁火對愁眠 강기슭의 단풍나무, 깜박거리는 고기잡이 배의 불이 근심으로 잠 못 드는 나그네의 눈 앞에 아른거리내 姑蘇城外寒山寺 소주 한쪽 .. ▒ 서화자료실 ▒ 2007.08.09
송나라, 명장 악비의 '출사표' 송나라, 명장 악비의 '출사표' 글씨 臣亮言: 先帝創業未半, 而中道崩&#27522;, 신(臣) 제갈량 말 하옵나이다; 선제(유비)께서 나라를 창업하신 지 반도 안되어 중도에 돌아 가셨습니다 今天下三分, 益州罷弊, 此誠危急存亡之秋也! 지금 천하는 셋으로 나누어지고 익주(現 사천성 성도)가 피폐해졌으니 .. ▒ 서화자료실 ▒ 2007.08.09
소동파의 적벽부 行楷書 작품 소동파의 行楷書 작품입니다 (대만 고궁박물관 소장) 임술년(1082년) 가을 7월16일에 나는 손님과 배를 띄우고 적벽 아래에서 놀고 있었는데 맑은 바람은 천천히 불어오고, 물결은 일지 않아 술잔을 들어 손님에서 권하며, '시경'에 나오는 시 하나를 읊조리면서 그 중 '요조'의 장을 노래하였내... 잠시후.. ▒ 서화자료실 ▒ 2007.08.09
일당 이완용 글씨 족자'궁궐의 동산에 봄이 먼저 드니... 이완용 글씨 족자 한 지식인의 행동이 유구한 나라의 민족사를 철저히 짓밟아 놓았다. 개인의 욕망과 지성인의 심지(心志)는 어떠해야하는가. 항상 격변의 시대를 살면서 오늘 우리의 공부도 무수한 이완용이를 양산하는 무책임한 지식과 외래 문물 추종의 만용에 빠져있는 것은 아닐까? 이 글속에서.. ▒ 서화자료실 ▒ 2007.08.09
청나라 황제 가경제 작품 가경제의 해서(楷書) 5언시, 1809년 作 가경제의 해서(楷書) 대련 작품 가경제의 해서(楷書) 5언시, 1808년 作 ▒ 서화자료실 ▒ 2007.08.04
청나라 황제 건륭제 작품 건륭제의 '福田花雨' (복된 밭에 꽃비가 내린다) 건륭제의 7언 대련 글씨, 1748년 作 건륭제의 행서 7언시, 1752년 作 건륭제의 행서 발췌부분(摘句), 1756년 作 건륭제의 행서 중산송로부(中山松로賦), 1760년 作 건륭제의 어필행서시문 2책(御筆行書詩文二冊), 1769년 作 건륭제의 행서작품 건륭제의 행서 글.. ▒ 서화자료실 ▒ 2007.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