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황한한 흥취가 우연히 이에 발작하여 철규(鐵虯)의 수중물을 가져다 무료 황한한 흥취가 우연히 이에 발작하여 철규(鐵虯)의 수중물을 가져다 부질없이 그리다[無聊荒寒之趣 偶此發之 仍取鐵手中物 漫畫] 머리 넘은 수척의 등지팡이 턱을 괴고 / 支頤數尺過頭藤 취태를 가눌세라 반석 그림 참여했네 / 盤石圖叅醉態曾 해조의 나뭇가를 거닐며.. ▒ 완당김정희 ▒ 2007.03.14
눈이 개어 창이 밝으므로 철규의 부채에 쓰다[雪霽窓明 書鐵虯扇] -완당 김정희- 눈이 개어 창이 밝으므로 철규의 부채에 쓰다[雪霽窓明 書鐵虯扇] 눈 개자 해 쪼이니 다슨 철 돌아온 듯 / 雪後烘晴暖似還 눈부신 작은 창에 석양이 느릿느릿 / 夕陽漫漫小窓間 뜨락의 나락 벼눌 탑보다 더 높아서 / 稻堆庭畔高於塔 바로 저 서남쪽 불만산을 마주쳤네 / 直對西南佛鬘山 ▒ 완당김정희 ▒ 2007.03.14
오대산 창렬에게 희증하다[戲贈吳大山昌烈] -완당 김정희- 오대산 창렬에게 희증하다[戲贈吳大山昌烈] 기헌의 서적을랑 한 글자도 못 보고서 / 未窺一字岐軒書 남의 술 돼지 국수 공짜로 먹어대네 / 白喫人間酒麵猪 다른 해에 벌을 받아 지옥을 가고픈지 / 慾速他年地獄罰 버젓이 말을 타고 또 나귀를 달리누나 / 陽陽跨馬又騎驢 [주D-001]기헌의 서적 : 의.. ▒ 완당김정희 ▒ 2007.03.14
도망(悼亡) -완당 김정희- 도망(悼亡) 어쩌면 저승에 가 월로에게 애원하여 / 那將月姥訟冥司 내세에는 그대와 나 땅을 바꿔 태어나리 / 來世夫妻易地爲 나 죽고 그대 살아 천리 밖에 남는다면 / 我死君生千里外 이 마음 이 슬픔을 그대가 알리마는 / 使君知我此心悲 ▒ 완당김정희 ▒ 2007.03.14
과천에 우거한 촌사[果寓村舍] 2수 -완당 김정희- 과천에 우거한 촌사[果寓村舍] 2수 한녀라 고을 서쪽 병을 끼고 사노라니 / 寒女縣西擁病居 밤을 새는 시내 소리 몹시도 청허하네 / 溪聲徹夜甚淸虛 다리 앞 한길가의 여윈 소랑 조랑말은 / 羸牛劣馬橋前路 창망한 그림 재료 저 들의 차지로군 / 畫科蒼茫也屬渠 양쪽 산 파릇파릇 갠 날 끼고 트였.. ▒ 완당김정희 ▒ 2007.03.14
혜백이 돌아가려 하므로 -완당 김정희- 혜백이 돌아가려 하므로 병회가 심히 무료하여 그 소매 속에서 예전의 백호필을 취하여 써서 주다[蕙百將歸 病懷甚無憀 取其袖中舊白毫 書贈] 단비 지난 산천에 두 지팡이 거뜬하니 / 山川時雨兩笻晴 오색 붓털 광채 일어 가는 길에 가득 차네 / 五色毫光漫去程 헤어보니 세간에는 더운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즉사(卽事) -완당 김정희- 즉사(卽事) 몇 백 명이 날마다 다리를 지나는데 / 日見過橋幾百人 다리 힘이 언제 한 번 줄어든 일 있었던고 / 何曾橋力減橋身 장정이라 흙 담아 다리에 붓는 자는 / 丁之畚土添橋者 황락한 산과 내[川]에 새론 정사 알려주네 / 荒落山川報政新 ▒ 완당김정희 ▒ 2007.03.14
희롱삼아 아배의 희우에 차하다[戲次兒輩喜雨] -완당 김정희- 희롱삼아 아배의 희우에 차하다[戲次兒輩喜雨] 마을 물 크게 불어 마을 다리 삼켰어라 / 村橋呑漲汎村流 위아래로 짙고 푸러 곳곳마다 부드럽네 / 上下濃靑處處柔 원님의 힘이 능히 들 빛을 돌려 노니 / 太守力能廻野色 우쭐대는 두어 나무 아름다움 바치누나 / 婆娑數樹効神休 ▒ 완당김정희 ▒ 2007.03.14
-만허에게 희증하다[戲贈晩虛] 병서(竝序) -완당 김정희- 만허에게 희증하다[戲贈晩虛] 병서(竝序) 만허가 쌍계사 육조탑(六祖塔) 아래 주거하는데 차를 만드는 솜씨가 절묘하였다. 그 차를 가지고 와서 맛보이는데 비록 용정(龍井)의 두강(頭綱)으로도 더할 수 없으니 향적두(香積廚) 중에는 아마도 이러한 무상의 묘미는 없을 듯하다. 그래서 찻종 한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원효 고사를 쓰다. 담의 병이 장딴지에 있기에 또 희속하여 담에게 보이다[用元曉故事 曇病在腨 又戲續示曇] -완당 김정희- 원효 고사를 쓰다. 담의 병이 장딴지에 있기에 또 희속하여 담에게 보이다[用元曉故事 曇病在腨 又戲續示曇] 사백이라 사 병 속에 이 병은 없거니와 / 四百四病無是病 팔십 가지 독초에도 저놈의 약은 없네 / 八十毒草無渠藥 도리어 오늘날에 부럼 닦은 종이에는 / 可是今日拭瘡紙 금강의.. ▒ 완당김정희 ▒ 2007.03.14
희제하여 우담에게 보이다. 담이 지금 복숭아뼈에 종기가 났다[戲題示優曇 曇方踝腫] -완당 김정희- 희제하여 우담에게 보이다. 담이 지금 복숭아뼈에 종기가 났다[戲題示優曇 曇方踝腫] 비야의 병 보여준 그림을 말살하니 / 抹却毗邪示疾圖 불의 창 조의 병이 하나의 도로 때문 / 佛瘡祖病一都盧 법화의 약초조차 도리어 둔열하니 / 法華藥草還鈍劣 약 아는 자 캐 오지 않아서가 아니겠나.. ▒ 완당김정희 ▒ 2007.03.14
봉녕사에서 요선에게 써 보이다[奉寧寺題示堯仙] -완당 김정희- 봉녕사에서 요선에게 써 보이다[奉寧寺題示堯仙] 들 절이 평원하여 특별한 이 한 구역 / 野寺平圓別一區 먼 봉우린 도시가 불두라곤 없네그려 / 遙山都是佛頭無 미호아의 필력이 멀리도 날아 와서 / 虎兒筆力飛來遠 청효도가 이뤄지니 옛 무본(橅本) 무색하네 / 淸曉圖成失舊樵 절안에서 보면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칠석에 여러 소년과 희화하여 부질없이 여기에 쓴다. 더불어 투교를 하자는 게 아니라 도리어 염수의 부끄러움이 간절하다-완당 김정희- 칠석에 여러 소년과 희화하여 부질없이 여기에 쓴다. 더불어 투교를 하자는 게 아니라 도리어 염수의 부끄러움이 간절하다[七夕戲和諸少年 漫題于此 匪爲與之鬪巧 還切染鬚之媿] 2수 외짝 봉 외짝 난을 어찌하면 좋단 말고 / 么鳳隻鸞可奈何 선말이 은파에 빗나갈까 두렵구나 / 恐.. ▒ 완당김정희 ▒ 2007.03.14
나는 매양 잠이 적어 호사에서 탑을 빌렸는데 태허의 염불이 천번 소리를 하면 마침내 새벽이 된다. -완당 김정희- 나는 매양 잠이 적어 호사에서 탑을 빌렸는데 태허의 염불이 천번 소리를 하면 마침내 새벽이 된다. 마을 사람들이 매양 닭 울음으로써 새벽의 한계를 삼는데 그보다 훨씬 나을 것 같다. 부질없이 써서 혼사에게 보이고 아울러 태허의 참관을 요하다[余每少睡 借榻湖寺 太虛念佛千聲乃曉 勝似村枕每.. ▒ 완당김정희 ▒ 2007.03.14
중양 황국(重陽黃菊) -완당 김정희- 중양 황국(重陽黃菊) 망울 맺은 노란 국화 초지의 선인 듯이 / 黃菊蓓蕾初地禪 비 바람 울타리 가 정연을 의탁했네 / 風雨籬邊託靜緣 시인을 공양하여 최후까지 기다리니 / 供養詩人須末後 백억의 잡화 속에 널 먼저 꼽을밖에 / 襍花百億任渠先 ▒ 완당김정희 ▒ 2007.03.14
옛 글귀를 그대로 써 혼허사를 위하다[仍題舊句 爲混虛師] 2수 -완당 김정희- 옛 글귀를 그대로 써 혼허사를 위하다[仍題舊句 爲混虛師] 2수 초공을 곧장 올라 천제를 올라가니 / 峭空直上上天梯 오히려 금선 있어 한 격이 나직하네 / 尙有金仙一格低 정상을 혼자 끌어 혼자서 뚫고 드니 / 頂相單提單透入 돌구멍에 깃들인 외짝 사람 보겠구려 / 石閨纔得隻丁棲 비사.. ▒ 완당김정희 ▒ 2007.03.14
관음사(觀音寺) -완당 김정희- 관음사(觀音寺) 이러한 좋은 강산 어느 제 사들여서 / 何時却買好溪山 붉고 푸른 사이에 초당 삼간 지을 건고 / 小葺茆茨紫翠間 더윗비 갓 걷히자 호올로 앉았자니 / 暑雨初收成獨坐 뉘게 빌려 청한한 이 경지를 그리라지 / 倩誰圖畫此淸閒 ▒ 완당김정희 ▒ 2007.03.14
두강에서 유산과 운포를 위하여 짓다[斗江爲酉山耘逋作] 2수 -완당 김정희- 두강에서 유산과 운포를 위하여 짓다[斗江爲酉山耘逋作] 2수 들 생각 거둬지고 협 생각 다가오니 / 野意全收峽意來 파란 유리 깔리어라 두 산을 돌아드네 / 碧琉璃碾兩山廻 한 가닥 가마 연기 공중 서려 곧곧한데 / 窯煙一道盤空直 알기 쉬운 쑥대문이 강을 향해 열렸거든 / 易識蓽門江上.. ▒ 완당김정희 ▒ 2007.03.14
풍기 이생 연묵에게 기증하여 시맹을 맺다[寄贈豐基李生淵黙 以締柿盟] 2수 -완당 김정희- 풍기 이생 연묵에게 기증하여 시맹을 맺다[寄贈豐基李生淵黙 以締柿盟] 2수 내사의 황감이라 대령의 삼백 배는 / 內史黃甘大令梨 이천 년의 묵적이 상기도 임리하이 / 二千年墨尙淋漓 만약에 은풍 땅 감을 한번 먹게 해준다면 / 若敎一喫殷豐柿 곡수의 풍류놀.. ▒ 완당김정희 ▒ 2007.03.14
남 영추의 교거[南令樞僑居] -완당 김정희- 남 영추의 교거[南令樞僑居] 신선 유자 열을 지어 남산에 숨어 사니 / 南山康直列仙儒 계견이라 도서라 좋은 고장 이 아니리 / 鷄犬圖書足勝區 천하에 정말 과연 지기가 있는 건가 / 天下果眞知己有 붉은 연기 바윗가에 송추를 맺었구려 / 紫煙巖畔結松樞 ▒ 완당김정희 ▒ 2007.03.14
차에 대한 일을 이미 쌍계사에 부탁하고 또 동지 전에 일찍 딴 광양 해의로써 관화와 언약하여 신반에 미치도록 부치라고 하였는데 -완당 김정희- 차에 대한 일을 이미 쌍계사에 부탁하고 또 동지 전에 일찍 딴 광양 해의로써 관화와 언약하여 신반에 미치도록 부치라고 하였는데 모두 구복 간의 일이라 붓을 놓고 한번 웃다[茶事已訂雙溪 又以光陽至前早採海衣 約與貫華 使之趁辛槃寄到 皆口腹間事 放筆一笑] 쌍계사 봄빛이라 차 인연은 .. ▒ 완당김정희 ▒ 2007.03.14
관화에게 주다[贈貫華] -완당 김정희- 관화에게 주다[贈貫華] 한 납의(衲衣) 일천 산을 두루두루 거쳐 오니 / 一衲千山得得來 사나운 용 턱밑에 천둥 번개 따 냈구려 / 獰龍頷下摘飆雷 솔소리 바람 힘이 하 공중 서렸으니 / 松聲風力盤空大 화엄이라 법계로 고이고이 돌아가소 / 好遣華嚴法界廻 ▒ 완당김정희 ▒ 2007.03.14
빗속에 국화를 옮기다[雨中移菊] 4수 -완당 김정희- 빗속에 국화를 옮기다[雨中移菊] 4수 이웃에서 모종 나눠 울 밑에 심어 노니 / 隣栽分綠到籬前 율리의 마을 풍속 따로 전해 왔군그래 / 栗里村風有別傳 서주의 남은 혜택 골고루 넉넉하니 / 贏得西疇餘潤遍 금년의 이 한 비는 공사간에 풍족하이 / 公私一雨足今年 짧고 짧은 울타리 곁 작은 섬돌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이구를 희점하다[戲拈俚句] -완당 김정희- 이구를 희점하다[戲拈俚句] 뜨락 오동 허울 좋다 푸른잎만 너울너울 / 庭梧只管碧婆娑 밤 더위가 도리어 낮 더위를 능지르네 / 夜熱還於午熱多 구부러진 평상 위에 잠조차 못 이루니 / 曲彔床頭眠不得 사람 보면 부질없이 등파만 찾는다오 / 向人空自覓藤婆 [주D-001]등파 : 죽부인(竹婦人).. ▒ 완당김정희 ▒ 2007.03.14
철원 윤생에게 주다[贈鐵原尹生] 2수 -완당 김정희- 철원 윤생에게 주다[贈鐵原尹生] 2수 궁예 나라 산 앞에 백석장이 열렸는데 / 弓裔山前百石莊 한 거울의 봄물은 푸르러 넘실넘실 / 一匳春水綠央央 도인이 날로 가서 황정을 캐나르니 / 道人日採黃精去 선미를 나눠 주어 들 사람도 맛을 보네 / 仙味能分野客嘗 [주D-001]궁예 : 태봉국주(泰封國主).. ▒ 완당김정희 ▒ 2007.03.14
용산으로 돌아가는 범희에게 주필하여 주다[走筆贈範喜歸龍山] 2수 -완당 김정희- 용산으로 돌아가는 범희에게 주필하여 주다[走筆贈範喜歸龍山] 2수 못 위라 인가들은 거울 속과 비슷한데 / 池上人家鏡裏如 문앞에 당도하면 하얀 연꽃 피었으니 / 門前開到白芙蕖 고기 국에 쌀밥 먹는 그 고장을 어찌하여 / 爲何飯稻羹魚處 돌아오지 못하고서 다만 너만 보내는지 / 好不歸來但.. ▒ 완당김정희 ▒ 2007.03.14
자하동(紫霞洞) -완당 김정희- 자하동(紫霞洞) 작은 길 깊은 고랑 스스로 층층인데 / 小谿幽洞自層層 한 가닥 이름난 샘 비 뒤에 아름답네 / 一道名泉雨後勝 석양이 가직하자 솔소리 일어나니 / 夕照近人松籟起 반석 위 낡은 몸이 시원시원 들리누나 / 老身石上聽泠泠 ▒ 완당김정희 ▒ 2007.03.14
축전선을 위하여 짓다[爲竺典禪作] -완당 김정희- 축전선을 위하여 짓다[爲竺典禪作] 만월 같은 얼굴모양 너무도 청진하니 / 面門月滿劇淸眞 알괘라 이는 바로 연화 세계 사람일레 / 知是蓮花界上人 한 벌의 베 적삼을 거두자도 못 거두니 / 一領布衫收不得 파사한 늙은 부처 찌푸림 없을는지 / 婆婆老佛倘無顰 ▒ 완당김정희 ▒ 2007.03.14
유군이 그 늙은이에게 공대하는 난반법으로써 부엌 사람에게 가르쳐 주었는데 -완당 김정희- 유군이 그 늙은이에게 공대하는 난반법으로써 부엌 사람에게 가르쳐 주었는데 그것이 몹시 병든 사람의 입에 마땅하였으므로 속제하여 주다[柳君以其供老爛飯法 授廚人 甚宜病口續題贈之] 무르익게 밥을 볶아 남비안이 붉어지니 / 爛飯山川鍋內紅 입 다물고 새기기를 마치 소 씹듯이 하네 / 剩敎牛.. ▒ 완당김정희 ▒ 2007.03.14
촌에 있어 병을 몹시 앓았는데 다만 유생이 문병차 와서 방문을 주어 효험을 보았다. 4수 -완당 김정희- 촌에 있어 병을 몹시 앓았는데 다만 유생이 문병차 와서 방문을 주어 효험을 보았다. 그 뜻이 가상하여 이와 같이 써 주고 아울러 그 동군에게 부치다[村居病甚 惟柳生問疾而來 授方而効 其意可嘉 書贈如此 竝屬基桐君] 4수 옷조차 못 이기는 청약한 하동군이 / 河東淸弱不勝衣 육기의 사이에서.. ▒ 완당김정희 ▒ 2007.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