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선화가 여기나 저기나 곡으로 헤아릴 만하고 전묘의 사이에는 더욱 성한데 -완당 김정희- 수선화가 여기나 저기나 곡으로 헤아릴 만하고 전묘의 사이에는 더욱 성한데 지방 사람들은 무슨 물건인지도 알지 못하고 보리 갈 때면 다 파버린다[水仙花在在處處可以谷量 田畝之間尤盛 土人不知爲何物 麥耕之時盡爲鋤去] 푸른 하늘 한바다에 낯같이 확 풀리니 / 碧海靑天一解顔 선연이란 끝내는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우제(偶題) 2수 -완당 김정희- 우제(偶題) 2수 훈각의 명잔지는 그림 격이 참스런데 / 薰閣名箋畫格眞 반천이라 섬죽은 기묘하여 신 통했네 / 半川剡竹妙通神 묵연이 바다 밖에 유전된 지 오래라서 / 墨緣海外流傳久 반기는 눈 서로 보네 만리 밖의 사람들은 / 靑眼相看萬里人 이 한잔 길이 서로 잊지를 말자꾸나 / 長毋相忘此.. ▒ 완당김정희 ▒ 2007.03.14
수선화(水仙花) -완당 김정희- 수선화(水仙花) 한 점의 겨울 마음 송이송이 둥글어라 / 一點冬心朶朶圓 그윽하고 담담하고 냉철하고 빼어났네 / 品於幽澹冷雋邊 매화가 높다지만 뜨락을 못 면했는데 / 梅高猶未離庭砌 맑은 물에 해탈한 신선을 보겠구려 / 淸水眞看解脫仙 ▒ 완당김정희 ▒ 2007.03.14
운납에게 보이며 눌러 명사를 증명하다[示雲衲仍證明史] -완당 김정희- 운납에게 보이며 눌러 명사를 증명하다[示雲衲仍證明史] 다섯 천축 손바닥 사이에 들어 있어 / 五天竺在掌中間 여덟 물 세 봉우리 갔다 왔다 하곤하네 / 八水三峯往復還 발등 보여 조인을 전수한 일 믿지 마소 / 莫把示跗傳祖印 금신은 석란산에 탈없이 누워 있네 / 金身無恙錫蘭山 [주D-001]다섯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연희각 주인에게 제증하다[題贈延曦閣主人] -완당 김정희- 연희각 주인에게 제증하다[題贈延曦閣主人] 노인성 아래서 잠깐 동안 소요하니 / 老人星下暫浮由 자라 등의 신산이라 백척의 누대로세 / 鰲背神山百尺樓 상전벽해 잠깐이란 이상한 일 아니거니 / 桑海須臾非異事 머지않아 말을 타고 영주를 지날 걸세 / 卽看騎馬過瀛洲 [주D-001]자라 등의 신산[鰲背神.. ▒ 완당김정희 ▒ 2007.03.14
환풍정(喚風亭) -완당 김정희- 환풍정(喚風亭) 환풍정 올라 하니 망양대와 맞닿어라 / 喚風亭接望洋臺 굽어 보니 홍모의 돛 그림자 떠오누나 / 俯見紅毛帆影來 안계를 상량하면 단번에 들이킬 만 / 眼界商量容一吸 손 가운데 술잔에 해와 달은 들고 나네 / 兩丸出入掌中杯 ▒ 완당김정희 ▒ 2007.03.14
계첨이 배가 표류되어 돌아온 사람에게서 일본도를 구득하여 보여 주기에 부질없이 이 시를 주호하여 주다 -완당 김정희- 계첨이 배가 표류되어 돌아온 사람에게서 일본도를 구득하여 보여 주기에 부질없이 이 시를 주호하여 주다[癸詹徒漂船歸人 得日本刀而見示 漫此走呼贈之] 도랍을 살펴 보니 진 나라 때 유물이라 / 情知刀臘是秦餘 대식이랑 홍모도 같지 못할 뿐이겠나 / 大食紅毛不啻如 부사산 산 빛깔이 푸르.. ▒ 완당김정희 ▒ 2007.03.14
소치의 지화에 제하다[題小癡指畫] -완당 김정희- 소치의 지화에 제하다[題小癡指畫] 백 천 가지 변상이 손가락에 나타나네 / 變相百千到指頭 둥글고 뾰족하고 딱딱하고 굳건하게 / 圓尖硬健漫悠悠 점금이라 표월도 지취 응당 같으리니 / 點金標月應同趣 마고 신선 다시 빌려 숫대 하나 더 써보소 / 更倩麻姑試一籌 [주D-001]점금이라 표월 .. ▒ 완당김정희 ▒ 2007.03.14
해상의 중구일에 국화가 없어 호박떡을 만들다[海上重九無菊 作瓜餠] -완당 김정희- 해상의 중구일에 국화가 없어 호박떡을 만들다[海上重九無菊 作瓜餠] 호박떡을 가져다가 국화 경단을 비교하니 / 南瓜餠賽菊花糕 마을 맛이 어찌하면 들 잔치를 높여주지 / 村味爭敎野席高 어리석은 생각을 평소의 그대로라 / 癡想平生銷不得 붉은 수유 하이얀 옛터럭에 꽂았다오 / 茱萸紅到舊.. ▒ 완당김정희 ▒ 2007.03.14
옛샘을 길어 차를 시험하다[汲古泉試茶] -완당 김정희- 옛샘을 길어 차를 시험하다[汲古泉試茶] 사나운 용 턱 밑에 밝은 구슬 박혔으니 / 獰龍頷下嵌明珠 솔바람 석간수의 그림을 뽑아 왔네 / 拈取松風澗水圖 성 안팎의 샘 맛을 시험삼아 가려보니 / 泉味試分城內外 을라 땅도 차를 품평할 수 있겠구만 / 乙那亦得品茶無 [주D-001]을라 : 제주도를 말함. ▒ 완당김정희 ▒ 2007.03.14
우재의 유허비[尤齋遺墟碑] -완당 김정희- 우재의 유허비[尤齋遺墟碑] 길 가는 사람들도 단비 앞에 말 내리니 / 行人下馬短碑前 김환심의 집에서 옛 자취를 전해오네 / 金煥心家舊躅傳 귤림에 잔 올려 심사를 밝혔으니 / 一酌橘林明志事 생강 심던 그 해는 지금도 눈물짓네 / 至今彈淚種薑年 [주C-001]우재의 유허비[尤齋遺墟碑] : 우재는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자기의 편면에 제하다[題慈屺便面] -완당 김정희- 자기의 편면에 제하다[題慈屺便面] 상해의 지는 먼지 버선 밑에 녹혀 내며 / 桑海零塵襪底消 하늘 바람 오르내려 한마당 소요하네 / 天風上下一逍遙 맑은 가을 적도가 숫돌처럼 반반하니 / 淸秋赤道平如砥 노인성 앞머리서 잠시나마 맞아보세 / 壽曜前頭試暫邀 [주C-001]자기의 편면 : 자기는 강.. ▒ 완당김정희 ▒ 2007.03.14
이재가 쓴 허유의 선면 뒤에 제하다[題彝齋書許維扇面後] 2수 -완당 김정희- 이재가 쓴 허유의 선면 뒤에 제하다[題彝齋書許維扇面後] 2수 번상의 운연이라 득의작을 살펴보니 / 樊上雲煙得意時 원기가 임리하여 바로 나의 스승일레 / 淋漓元氣是吾師 모를레라 녹야의 단청하는 그 솜씨도 / 不知綠野丹靑手 한 조각의 영대를 그려낼 수 있을는지 / 能狀靈臺一片爲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원소술회(元宵述懷) -완당 김정희- 원소술회(元宵述懷) 북녘 땅도 집집마다 약밥이 붉은데다 / 北地家家蜜飯紅 아이들은 연줄 끊어 바람에 날리누나 / 兒童斷送紙鳶風 경루라 옥우의 둥글둥글 밝은 달은 / 瓊樓玉宇團團月 은혜 빛을 나눠 주어 바다에 이르렀네 / 分得恩光到海中 [주C-001]원소(元宵) : 정월 대보름을 말함. ▒ 완당김정희 ▒ 2007.03.14
시도동(示島童) 병서 -완당 김정희- 시도동(示島童) 병서 유수암(流水巖) 강생(姜生)이 내가 쓴 글씨 두어 장을 벽에 붙였는데 그날 아침에 갑자기 무지개가 나타난 이상이 있어 마치 빛을 내뿜는 듯하니 보는 자는 놀라며 붓 정기에서 피어난 것이라 자랑하고 있다. 이것은 우연히 산곡간에 정기가 저축 배설되는 바 있어 서로 감촉한 때.. ▒ 완당김정희 ▒ 2007.03.14
칠절을 구호하여 강정 김생에게 주다[口號七絶贈江亭金生] 6수 -완당 김정희- 칠절을 구호하여 강정 김생에게 주다[口號七絶贈江亭金生] 6수 찬 소나무 떨기 대는 피차가 다 여여라오 / 寒松叢竹叩如如 그댄 바로 전현(前賢)의 묵은 덕택 나머질세 / 君是前賢舊澤餘 구색이라 전분이 다른 체는 없고말고 / 邱索典墳無異體 북인도 별스런 글 지닌 게 아니라네 / 北人非有別般書 첩.. ▒ 완당김정희 ▒ 2007.03.14
한와당(漢瓦當) -완당 김정희- 한와당(漢瓦當) 옛글을 동선에서 증명할 줄 알았을 뿐 / 知有銅仙證舊文 서경의 글자라곤 드물게 들었다네 / 西京之字罕前聞 천추 만세 내려가도 다함 없는 그 계획은 / 千秋萬歲無窮計 상기도 뭉게뭉게 먹구름을 뱉어내네 / 尙見熊熊墨吐雲 [주C-001]한와당(漢瓦當) : '瓦當'의 '當'은 '鏜'인데 토.. ▒ 완당김정희 ▒ 2007.03.14
소치의 묵파초에 제하다[題小癡墨芭蕉] -완당 김정희- 소치의 묵파초에 제하다[題小癡墨芭蕉] 소치 화백 눈 속에 파초를 그려 내니 / 小癡雪裏作蕉圖 망천을 거슬러라 신운이 없을 수가 / 直溯輞川神韻無 연북에 피어 있는 삼백 송이 수선화는 / 硯北水仙三百朶 파초와 둘 아니다 문수에게 물어 보소 / 與蕉不二叩文殊 [주D-001]망천 : 당 나라 시인 왕유(王維.. ▒ 완당김정희 ▒ 2007.03.14
실제(失題) [2] -완당 김정희- 실제(失題) [2] 등 막대 날 붙들어 천태산에 올라가서 / 赤藤扶我上天台 만 송이 신선 구름 손수 헤쳐 물리쳤네 / 萬朶仙雲手撥開 골짝 속의 복사꽃 언제고 지잖는데 / 洞裏桃花長不落 무슨 일로 흘러 흘러 푸른 시내 벗어났노 / 何因流出碧溪來 ▒ 완당김정희 ▒ 2007.03.14
영우(詠雨) 3수 -완당 김정희- 영우(詠雨) 3수 빗속에 든 산빛이 푸르러 에웠는데 / 入雨山光翠合圍 도화 바람 돛바람을 보내어 돌아가네 / 桃花風送帆風歸 봄 기러기 노정은 걸릴 게 전혀 없어 / 春鴻程路無遮礙 남으로 오자마자 북으로 또 나는구만 / 纔見南來又北飛 철 비 만나 산천이 오랜 침묵 깨뜨리니 / 時雨山川.. ▒ 완당김정희 ▒ 2007.03.14
촌사(村舍) -완당 김정희- 촌사(村舍) 장독대 저 동쪽에 맨드라미 두어 송이 / 數朶鷄冠醬瓿東 호박 넝쿨 새파랗다 소 외양을 타올랐네 / 南瓜蔓碧上牛宮 서너 집 마을 속에 꽃 일을 찾아보니 / 三家村裏徵花事 융규라 일장홍이 활짝 피어 있군그래 / 開到戎葵一丈紅 [주D-001]일장홍(一丈紅) : 융규의 별칭. ▒ 완당김정희 ▒ 2007.03.14
설야우음(雪夜偶吟) -완당 김정희- 설야우음(雪夜偶吟) 술 푸르고 등 파랗다 낡아 빠진 띠집 속에 / 酒綠燈靑老屋中 수선화 중얼중얼 영롱한 옥이로세 / 水仙花發玉玲瓏 심상한 저 설의도 관계가 많이 되니 / 尋常雪意多關涉 시경은 공몽해라 화경도 마찬가지 / 詩境空濛畫境同 수선의 천엽(千葉)을 옥영롱(玉玲瓏)이라 함. .. ▒ 완당김정희 ▒ 2007.03.14
납일희제(臘日戲題) -완당 김정희- 납일희제(臘日戲題) 설날 아침 눈내리니 좋은 상서 증험이라 / 臘朝雪澤驗嘉祥 명년은 보리 풍년 즐거움 한량없네 / 麥事明年樂未央 늙은 나도 오늘따라 더욱더 반가우니 / 老子且將今日喜 동산 숲이 모두 다 백호빛을 발산하네 / 園林都放白毫光 [주D-001]백호빛 : 석가 삼십이상(三十二相) 중의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소치의 지화에 제하다[題小癡指畫] -완당 김정희- 소치의 지화에 제하다[題小癡指畫] 손톱 자국 나사 무늬 이야말로 별난 수법 / 爪迹螺紋是別傳 천연에서 나타난 이기와 휼궤로세 / 離奇譎詭自天然 만약 그림 속에서 삼매를 참할진댄 / 若從畫裏參三昧 천룡이라 일지선을 서슴없이 취하리다 / 卽取天龍一指禪 [주C-001]소치의 지화에 제하.. ▒ 완당김정희 ▒ 2007.03.14
영주우음(瀛洲偶吟) 2수 -완당 김정희- 영주우음(瀛洲偶吟) 2수 생각 돌릴 그때 그때 생각 따라 오활하니 / 轉想時時想轉迂 이 인생 어찌하면 고소에 간단말가 / 此生那得到姑蘇 봄바람 가는 돛에 꿈을 의탁코자 하니 / 歸帆欲託春風夢 싣고서 천인석을 향해 갈 수 없을는지 / 載向千人石上無 시역루라 그 안에서 묵륜을 돌려 보니 / 是亦樓中.. ▒ 완당김정희 ▒ 2007.03.14
차계첨(次癸詹) 3수 -완당 김정희- 차계첨(次癸詹) 3수 동녘 바람 비 지난 뒤 서풍으로 바꿔지니 / 東風雨後換西風 뭉게 구름 활짝 걷혀 공중이 새파랗네 / 卷盡繁雲碧漾空 비올 때 비내리고 바람불 때 바람부니 / 雨雨風風如是好 사람 뜻을 따라서 하늘도 힘 돕는 듯 / 似隨人意補天功 이별 만남 슬픔 즐김 하루라 열두 때에 / 離合.. ▒ 완당김정희 ▒ 2007.03.14
마마(馬磨) -완당 김정희- 마마(馬磨) 말 하나로 해낼 것을 사람은 열이 드니 / 人十能之馬一之 세 가구 마을 속에 신기를 자랑하네 / 三家村裏詑神奇 대기는 대용이라 본래로 이러하니 / 大機大用元如此 종풍의 노고추를 도리어 비웃누나 / 還笑宗風老古錐 샘을 끌은 물방아는 이에 대면 거치른 것 / 引泉爲碓亦&.. ▒ 완당김정희 ▒ 2007.03.14
영산홍(映山紅) -완당 김정희- 영산홍(映山紅) 꽃 붉으니 억지로 영산홍을 이름한 것 / 花紅强字映山紅 품격은 본래부터 한가지가 아니라네 / 品格元來自不同 화수(火樹)의 그림 속에 또 하나를 보충하니 / 火樹圖中須一補 봄바람의 꾸밈새는 공력이 따로 있군 / 別有春風點施工 [주D-001]화수(火樹) : 영산홍의 꽃이 불같이 붉은 것을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옥미인(玉美人) -완당 김정희- 옥미인(玉美人) 옥으로 마름해라 참 성정 보이잔 것 / 裁玉方能敎性眞 미인을 끌어대어 고운 정을 골라 놨네 / 美人强得艶情勻 흡사 저 나부산(羅浮山)의 오색 갖춘 나비떼가 / 恰如五色羅浮蝶 고치 뚫고 나타나니 온 동산에 봄빛일레 / 放繭今朝滿院春 [주C-001]옥미인(玉美人) : 화초의 일종. [주D-001]나.. ▒ 완당김정희 ▒ 2007.03.14
동청 잎이 크기가 손바닥 같아 글씨를 쓸 만하다[冬靑葉大如手掌 可以供書] -완당 김정희- 동청 잎이 크기가 손바닥 같아 글씨를 쓸 만하다[冬靑葉大如手掌 可以供書] 산 중에도 우로(雨露) 은혜 깊다는 걸 스쳐 볼 만 / 想見山中雨露深 어여쁘다 앵록이 동심(冬心)을 안았구나 / 生憐鸚綠抱冬心 천연으로 갖추어진 좋은 종이 얻었으니 / 佳箋嬴得天然具 자유로운 춘앵 노래 받아쓰기 좋.. ▒ 완당김정희 ▒ 2007.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