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선대(金仙臺) 3수 -완당 김정희- 금선대(金仙臺) 3수 십육 조의 비결(祕訣)은 정양으로부터선데訣十六條自正陽 희천의 곽이 있어 다시금 당당하이 / 熙川之郭復堂堂 서산의 법인이라 원래 게가 한가지니 / 西山法印元同偈 가거들랑 대 앞의 일주향을 참증하게 / 去證臺前一炷香 온갖 나무 우거져라 이끼 쩔은 묵은 길에 / 萬木.. ▒ 완당김정희 ▒ 2007.03.14
송경도중(松京道中) -완당 김정희- 송경도중(松京道中) 붉고 푸른 이 산 저 산 서당이 몇이라냐 / 山山紫翠幾書堂 울타린 푸른 시내 엇물려 길다랗네 / 籬落勾連碧澗長 삿갓이 바람 타자 수풀 비 흩날리니 / 野笠卷風林雨散 인삼꽃 피어피어 한 마을이 향기로세 / 人蔘花發一村香 ▒ 완당김정희 ▒ 2007.03.14
유연천이 임소로 가는 데 쓰다[題柳漣川之任] 2수 -완당 김정희- 유연천이 임소로 가는 데 쓰다[題柳漣川之任] 2수 검서살이 삼십 년에 머리가 하얗는데 / 頭白檢書三十年 동장은 이제 겨우 죽산에서 연천으로 / 銅章纔是竹還漣 징파 나루 어구에서 봄의 다리 옮겨가니 / 澄波渡口移春脚 너울대는 한길 숲은 모두가 목련일레 / 官樹婆娑盡木蓮 오봉이라 서쪽 .. ▒ 완당김정희 ▒ 2007.03.14
양근 군수를 보내다[送楊根守] 5수 -완당 김정희- 양근 군수를 보내다[送楊根守] 5수 비취 같은 강 빛이 눈에 풍겨 하 밝은데 / 瑟碧江光潑眼明 끊긴 노을 한 가닥 석양에 나풀나풀 / 斷霞一抹夕天輕 벼슬 놀이 그 또한 선산을 향해 가니 / 宦遊亦向仙山去 자래로 이런 복은 얼마나 맑다 하리 / 此福從來幾分淸 미원현은 근본이 미원장을 일컬은 것 / 迷.. ▒ 완당김정희 ▒ 2007.03.14
연천장에게 부쳐 올림[寄上淵泉丈] -완당 김정희- 연천장에게 부쳐 올림[寄上淵泉丈] 만학이라 천봉을 혼자서 노닐자니 / 萬壑千峯悵獨遊 흰구름 한 가닥은 꿈속의 가을일레 / 白雲一抹夢中秋 만약에 이 경(境)에서 고적이 달갑다면 / 若於此境甘枯寂 사람마다 도리어 팔주를 부뤄하리 / 還敎人人羨八州 제군(諸君)의 시에 연천장(淵泉丈)이 직.. ▒ 완당김정희 ▒ 2007.03.14
중흥사에서 황산시에 차함[重興寺次黃山] 2수 -완당 김정희- 중흥사에서 황산시에 차함[重興寺次黃山] 2수 상방에는 밝은 달 하방에는 등불이라 / 上方明月下方燈 법계란 모름지기 멎음 없이 오르게만 / 法界應須不已登 종정이랑 운림이 두 가지 일 아닐텐데 / 鍾鼎雲林非二事 명산은 속절없이 낡은 중만 허여하네 / 名山空自與殘僧 십년이라 막대 신을 그대와 .. ▒ 완당김정희 ▒ 2007.03.14
부왕사(扶旺寺) 2수 -완당 김정희- 부왕사(扶旺寺) 2수 부처 빛 뫼 그림자 서로 타고 얽혔는데 / 佛光峯影互因依 노란 잎 수풀 속에 풍경소리 가느랗네 / 黃葉林中一磬微 산새란 본래부터 수다가 많은 거라 / 山鳥元來多舌相 푸른 솔이 옳다거니 흰구름이 글타거니 / 蒼松也是白雲非 고해라 아득아득 고래를 돌린 곳에 / 苦海茫茫回首處 .. ▒ 완당김정희 ▒ 2007.03.13
도중구호(道中口號) -완당 김정희- 도중구호(道中口號) 참나무 숲 한 가닥 띠집을 가렸는데 / 槲林一帶隱茆關 옛길에 사람 없고 산들만 들쑥날쑥 / 古道無人秖亂山 위 아래 밭두덕은 불 붙어 모두 타니 / 上下梯田新燒遍 눈 까치 말굽 새로 울면서 날아가네 / 雪鵲飛過馬蹄間 ▒ 완당김정희 ▒ 2007.03.13
옥순봉(玉筍峯) -완당 김정희- 옥순봉(玉筍峯) 둥그른 저 달 한 덩이 빈 강에 비쳐오니 / 照映空江月一丸 창량(蒼涼)한 그 가운데 만뢰가 들리는 듯 / 如聞萬籟起蒼寒 인간의 초목들은 본래가 수다라서 / 人間艸木元閒漫 부용이랑 모란 따윈 배우지 않았구려 / 不學芙蓉與牧丹 ▒ 완당김정희 ▒ 2007.03.13
박옹의 수조에 부치다[奇泊翁壽朝] 4수 -완당 김정희- 박옹의 수조에 부치다[奇泊翁壽朝] 4수 타향이건 고향이건 따져서 무삼하리 / 不計他鄕與故鄕 삼만이라 육천 잔을 백년 날과 함께 하면 / 只要三萬六千觴 맑고도 굳건한 저 쇠기둥을 살펴 보소 / 試看鐵柱淸堅甚 백천 번 돌려 가니 돌이 감히 당할쏜가 / 百折磨過石敢當 임의 나이 어김없는 방옹 나이 .. ▒ 완당김정희 ▒ 2007.03.13
대람권면에 씀[題岱覽卷面] 2수 -완당 김정희- 대람권면에 씀[題岱覽卷面] 2수 가슴 속의 오악은 마절(磨折)되지 않았거니 / 五嶽胸中未折磨 옥황의 정상까지 몸소 거쳐 왔음에랴 / 玉皇頂上怳親過 길 보따리 만리에 광괴를 더듬으니 / 行萬里搜光怪 직녀의 지기돌은 지금 보아 어떻더뇨 / 織女支機更若何 이재(彝齋)가 이 서(書) 및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야운거사에게 부치다[寄野雲居士] -완당 김정희- 야운거사에게 부치다[寄野雲居士] 고목나무 갈가마귀 나그네 당도할 제 / 古木寒鴉客到時 시정을 빌리어라 그림정에 옮기었네 / 詩情借與畫情移 연운 공양 알괘라 끊임이 없으리니 / 煙雲供養知無盡 홀 밖의 가을 빛깔 벼루 못에 가득하리 / 笏外秋光滿硯池 선생이 예전에 묵은 아홀(牙笏)을 가.. ▒ 완당김정희 ▒ 2007.03.13
임소에 가는 탐라백을 작별하다[別乇羅伯之任] 4수 -완당 김정희- 임소에 가는 탐라백을 작별하다[別乇羅伯之任] 4수 성 동쪽 한 번 이별 작은 못 가일러니 / 城東一別小池頭 푸른 일산 멀리 놀아 제주로 떠나가네 / 葱蓋弧南博遠遊 천년이라 한가한 땅 성주의 옛나라에 / 星主千年間暇地 탐라국주(耽羅國主)는 였날에 성주(星主)라 칭하였음 군민의 총관.. ▒ 완당김정희 ▒ 2007.03.13
괴근소축도를 지어 장다농에게 부치다. 도는 설의를 짓다[作槐根小築圖 寄張茶農 圖作雪意] -완당 김정희- 괴근소축도를 지어 장다농에게 부치다. 도는 설의를 짓다[作槐根小築圖 寄張茶農 圖作雪意] 작은 집엔 우뚝 솟은 백 척의 괴화나무 / 小築亭亭百尺槐 만리라 붓을 들어 한바탕 서성대네 / 拈毫萬里一徘徊 농록은 여름철에 유달리 맞겠지만 / 料知濃綠偏宜夏 눈 속에 온 것만을 바닷손은 기억하네 / 海.. ▒ 완당김정희 ▒ 2007.03.13
운외거사 몽게의 뒤에 쓰다[題雲外居士夢偈後] 3수 -완당 김정희- 운외거사 몽게의 뒤에 쓰다[題雲外居士夢偈後] 3수 가운데ㆍ밑ㆍ바깥ㆍ가로 하나 하나 각 형상을 / 中底外邊一一形 산 빛에 열고 닫는 깊은 문 두들겼네 / 山光開闔叩玄扃 구름 흩고 꿈 깨이니 모를레라 어드메뇨 / 夢醒雲散知何處 청산이라 한 정의 일점 청만 남아 있네 / 還有靑山一點靑 청산.. ▒ 완당김정희 ▒ 2007.03.13
담계의 석종산기 첩면에 주제하다[主題覃翁石鍾山記帖面] -완당 김정희- 담계의 석종산기 첩면에 주제하다[主題覃翁石鍾山記帖面] 칠백이라 오 년의 이끼속에 뽑아내니 / 重拈七百五年苔 난정의 전세를 체득하여 왔군그래 / 得自蘭亭篆勢來 뉘라 알리 원기가 임리한 그곳에는 / 誰識淋漓元氣處 천산의 밝은 달빛 전연이 감도는 걸 / 千山明月篆煙廻 [주C-001]담계의….. ▒ 완당김정희 ▒ 2007.03.13
간산(看山) -완당 김정희- 간산(看山) 산은 대치와 하냥 사의는 동일하나 / 山與大癡寫意同 광려산 시게처럼 다 찾기는 어렵구려 / 匡廬詩偈杳難窮 여름 겨울 청창한 기운은 전혀 없고 / 都無冬夏靑蒼氣 험한 골짝 긴 숲은 한 양으로 붉은 빛이 / 陡壑脩林一樣紅 [주D-001]대치 : 원 나라 화단의 사대가 중 한 사람인 황공망(.. ▒ 완당김정희 ▒ 2007.03.13
종성 사군을 전송함[送鍾城使君] 2수 -완당 김정희- 종성 사군을 전송함[送鍾城使君] 2수 가을 바람 객을 보내 변방으로 떠나가니 / 秋風送客出邊頭 개마산 푸른 빛에 먼 시름 엉기리다 / 蓋馬山光着遠愁 천상이라 옥당에 고개를 돌리는 날 / 天上玉堂回首處 두 깃발은 응당이 적구루를 지날 거요 / 雙旌應過幘溝婁 이끼 글자 부스러진 아득한 옛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이 묵장의 독행소조에 제하다. 이는 바로 소유 박군에게 기증한 것이다[題李墨庄獨行小照 卽寄贈小蕤朴君者也] 2수 -완당 김정희- 이 묵장의 독행소조에 제하다. 이는 바로 소유 박군에게 기증한 것이다[題李墨庄獨行小照 卽寄贈小蕤朴君者也] 2수 홀가분이 홀로 가니 장차 어딜 가려는고 / 獨行忽忽將何之 산 오르고 바다 건너 아니될 게 하나 없네 / 涉海登山無不宜 묵장(墨庄)이 일찍이 유구(流球)에 사신갔었고 또 대산(岱.. ▒ 완당김정희 ▒ 2007.03.13
매화 소선에 제하여 고양 사군에게 주다[題梅花小扇 贈高陽使君] -완당 김정희- 매화 소선에 제하여 고양 사군에게 주다[題梅花小扇 贈高陽使君] 간 데마다 봄바람 다섯 필 말 달리는데 / 到處春風五馬前 앙상한 두어 그루 인연을 의탁했네 / 婆娑數樹托因緣 저렇듯 맑은 마음 무어라 어울리리 / 爲他一段淸如許 돈사랑 가당찮소 매화만이 제격인 걸 / 但愛梅花不愛錢 [주C-001]사군 :.. ▒ 완당김정희 ▒ 2007.03.13
나양봉의 매화정에 쓰다[題羅兩峯梅花幀] -완당 김정희- 나양봉의 매화정에 쓰다[題羅兩峯梅花幀] 주초의 덤불 속에 푸른 옥 한가지는 / 朱草林中綠玉枝 삼생이라 옛 꿈을 화지에게 입증했네 / 三生舊夢證花之 응당 알리 안개낀 밤 상사가 하도 한 걸 / 應知霧夕相思甚 소재에 부채 그린 그때를 그리면서 / 惆悵蘇齋畫扇時 [주C-001]나양봉 .. ▒ 완당김정희 ▒ 2007.03.13
산곡 시선의 뒤에 쓰다. 이는 가지고 연중에 들어갔던 것이다[題山谷詩選後 是携入燕中者也] -완당 김정희- 산곡 시선의 뒤에 쓰다. 이는 가지고 연중에 들어갔던 것이다[題山谷詩選後 是携入燕中者也] 협대 속의 봄바람 만리가 머나 먼데 / 夾帒春風萬里遲 소재에 끼어들은 예전의 시론일레 / 蘇齋參聞舊論詩 일생 동안 서강물을 입에 가득 마셨는데 / 一生口吸西江水 생일마저 또 이제 때를 같이 하였.. ▒ 완당김정희 ▒ 2007.03.13
수운정(水雲亭) -완당 김정희- 수운정(水雲亭) 가을비 아득아득 학의 기운 비꼈어라 / 秋雨濛濛鶴氣橫 솔잎 침 돌 맥박이 산에 가득 분명하이 / 松針石脈滿山明 일립정 가운데서 시험삼아 바라보니 / 試從一笠亭中看 환패소리 선들선들 나무 끝에 생동하네 / 環珮泠泠樹頂生 ▒ 완당김정희 ▒ 2007.03.13
사인암(舍人巖) -완당 김정희- 사인암(舍人巖) 괴이하다 한폭 그림 하늘에서 내려왔나 / 怪底靑天降畫圖 범속한 정과 운은 털끝 하나 없군그래 / 俗情凡韻一毫無 인간의 오색이란 본시가 한만한 것 / 人間五色元閒漫 임리한 붉고 푸름 정말로 격 밖일세 / 格外淋漓施碧朱 ▒ 완당김정희 ▒ 2007.03.13
의림지(義林池) -완당 김정희- 의림지(義林池) 짙게 바른 가을산 그린 눈썹 흡사한데 / 濃抹秋山似畫眉 둥근 못은 푸른 유리 골고루 깔았구려 / 圓潭平布碧琉璃 작고 큰 것 끌어들여 제물을 논한다면 / 如將小大論齊物 꼭 연산이 묵지를 감돌았다 말을 하리 / 直道硯山環墨池 [주D-001]제물 : 《장자(莊子)》의 편명(篇名). ▒ 완당김정희 ▒ 2007.03.13
괴석전(怪石田) -완당 김정희- 괴석전(怪石田) 반이랑 구름 섬에 뭇 돌이 떨기지어 / 半畝雲階石作叢 머리머리 주름지고 구멍마다 영롱하이 / 頭頭縐漏又玲瓏 다른 산 돌 아무리 천 그루가 있다한들 / 千株縱有他山石 한 조각도 어찌 능히 이 속에 끼일쏜가 / 一片安能在其中 ▒ 완당김정희 ▒ 2007.03.13
은주암(隱舟巖) -완당 김정희- 은주암(隱舟巖) 푸른 가람 가을 빛은 벽 이끼에 젖었는데 / 江綠秋涵古壁苔 술잔 하나 받아들일 구덩이도 전혀 없네 / 渾無窾坎可容杯 동녘바람 돌을 불어 찢어논 게 아니라면 / 不是東風吹石裂 북배에 짧은 노가 어디에서 왔단말고 / 梭船短棹自何來 ▒ 완당김정희 ▒ 2007.03.13
선인전(仙人田) -완당 김정희- 선인전(仙人田) 범 표범 갈고 매라 일치곤 황당한데 / 虎耘豹耜事荒唐 돌 부숴 밭을 쳤다 믿을 사람 뉘라던고 / 鑿石爲田亦杳茫 꺾다 못한 옥영이 둔덕에 남았으니 / 折盡玉英餘畹在 강바람 불어오자 묵은 향기 풍기누나 / 江風吹動古馨香 [주D-001]옥영 : 돌의 정기(精氣)로 피어나는 꽃으.. ▒ 완당김정희 ▒ 2007.03.13
석문(石門) -완당 김정희- 석문(石門) 백 척의 돌무지개 물굽이를 열어노니 / 百尺石霓開曲灣 아득한 신의 공력 따라가기 어렵구려 / 神工千缺杳難攀 말과 수레 행여나 자국을 남길세라 / 不敎車馬通來跡 다만지 안개노을 스스로 오락가락 / 只有煙霞自往還 ▒ 완당김정희 ▒ 2007.03.13
도담(島潭) -완당 김정희- 도담(島潭) 바다 밖에 삼신산이 있다고만 들었더니 / 徒聞海外有三山 어드메서 날아와 부처머리 배웠는고 / 何處飛來學佛鬟 사람에게 견준다면 운과 격이 선골이라 / 格韻比人仙骨在 이야말로 중산이 속세에 사는 걸세 / 恰如中散住塵寰 [주D-001]부처머리 : 산의 별칭. [주D-002]중산 : 진(晉.. ▒ 완당김정희 ▒ 2007.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