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751

영주 화북진 도중(瀛州禾北鎭途中) -완당 김정희-

영주 화북진 도중(瀛州禾北鎭途中) 마을 안 아이들이 무얼 보려 모였는지 / 村裏兒童聚見那 귀양살이 면목이 하도나 가증한데 / 逐臣面目可憎多 끝끝내 백천 번을 꺾이고 갈릴 때도 / 終然百折千磨處 임의 은혜 멀리 미쳐 바다 물결 아니 쳤네 / 南極恩光海不波 [주D-001]귀양살이[逐臣] : 임금에게서 추..

정동록 혼성문집 뒤에 제하다[題鄭東麓渾性文集後] -완당 김정희-

정동록 혼성문집 뒤에 제하다[題鄭東麓渾性文集後] 자고의 시격에다 채진의 놀음이라 / 鷓鴣詩格采眞遊 열 자의 황진 속엔 두각(頭角)을 내지 않아 / 十尺黃塵不出頭 후파(侯芭)를 힘입어서 일판향(一瓣香)을 전수하니 / 賴有侯芭傳一瓣 옛날의 기주에는 현정이 적적하이 / 玄亭寂寂古岐..

관악 절정에 올라 읊어 최아서에게 주다[登冠岳絶頂 唫與崔鵝書] -완당 김정희-

관악 절정에 올라 읊어 최아서에게 주다[登冠岳絶頂 唫與崔鵝書] 먼 묏부리 한 가닥에 실버들 천 오라기 / 遙岑一抹柳千絲 갈매기 해오라빈 물안개와 성긴 비에 / 正是鷗煙鷺雨時 용산이라 입구로 배돛을 올리련다 / 帆身欲上龍山口 서녘 바람 고이 불고 썰물은 느릿느릿 / 無恙西風汐水遲

김생 여균의 칠가를 조롱하다[嘲金生如筠漆痂] -완당 김정희-

김생 여균의 칠가를 조롱하다[嘲金生如筠漆痂] 대낮이라 산꼭대기 갓 그림자 돌아오니 / 卓午山頭笠影回 노란 게는 속절없이 면지를 시새우네 / 蟹黃空敎面脂猜 인생이 넉넉히도 소상반점 얻었으니 / 人生贏得瀟湘點 칠원이라 노리(老吏)를 만나보고 온 게로군 / 曾見漆園老吏來 [주C-001]칠가 : ..

오수재를 생각하다. 이때 남한에 있었음[憶吳秀才 時在南漢] -완당 김정희-

오수재를 생각하다. 이때 남한에 있었음[憶吳秀才 時在南漢] 현절사 사당 앞의 옛 놀이를 기억커니 / 顯節祠前記舊遊 백 년이라 세상 일은 시름을 못 이기네 / 百年世事不勝愁 묽은 구름 가랑비 아득한 그곳에는 / 淡雲微雨依然處 좋은 국화 시든 난초 또 한번 가을이리 / 佳菊衰蘭又一秋 나무에는 서..

운종의 산수정에 제하다[題雲從山水幀] -완당 김정희-

운종의 산수정에 제하다[題雲從山水幀] 고모의 난화분은 기이한 정섭이요 / 高帽花盆奇鄭燮 무림이랑 허각은 절묘한 우망일레 / 茂林虛閣妙虞望 오늘에야 진면목 참예하게 되었는데 / 今日同參眞面目 하물며 두근(杜菫)이라 고광도 겸했구려 / 況又兼之杜古狂 [주D-001]정섭 : 청 나라 사람. 호는 판교(..

주야운의 그림에 제하다[題朱野雲畫] -완당 김정희-

주야운의 그림에 제하다[題朱野雲畫] 십 년이라 가슴속에 가득찬 구학의 정 / 十載胸中邱壑情 주야운(朱野雲)의 묵묘는 자연에서 이뤄졌네 / 野雲墨妙自天成 한 거문고 한 학이 도리어 다사하니 / 一琴一鶴還多事 다섯 말은 오직 그림만 싣고 떠나가네 / 五馬惟須載畫行 [주D-001]한 거문고..

부옥도에 자제하여 서원 선생의 전정을 위함[自題蔀屋圖 爲犀園先生篆正] -완당 김정희-

부옥도에 자제하여 서원 선생의 전정을 위함[自題蔀屋圖 爲犀園先生篆正] 떠나는 임 보냈어라 가을 회포 요락하니 / 秋懷搖落送君行 푸른 바다 큰 고래라 정성을 상상하네 / 碧海鯨魚想政聲 연운의 일말은 한만한 것 아닐진대 / 煙雲一抹非閒漫 오마를 거느려도 부옥의 정 잊지 마오 / 五馬無忘..

황산의 묵죽소정에 주제하다[走題黃山墨竹小幀] 4수 -완당 김정희-

황산의 묵죽소정에 주제하다[走題黃山墨竹小幀] 4수 절묘할사 부채 머리 푸른 옥 한 가지여 / 妙絶扇頭綠玉枝 붓 휘두를 그때에 이재가 지켜봤네 / 彝齋親見灑毫時 가을 내내 산중에서 병 요양 한다더니 / 三秋養疾山中日 이 격을 만들 줄은 생각조차 못했거든 / 未料君能此格爲 반갑게도 그대..

종씨가 달성에 행차하므로 애오라지 다섯 절구를 부쳤는데 각기 속이 있다[從氏作達城行 聊寄五絶句 各有所屬] 5수 -완당 김정희-

종씨가 달성에 행차하므로 애오라지 다섯 절구를 부쳤는데 각기 속이 있다[從氏作達城行 聊寄五絶句 各有所屬] 5수 꿈속에 본 남녘 땅은 사시 장창 봄빛이라 / 夢中南戒四時春 정연만을 위해서랴 심신 또한 서글프이 / 不爲情緣亦愴神 아녀라 풍운이라 의탁한 바 하 많으니 / 兒女風雲多寄托 매화부는..

주야운이 유월 초삼일에 술을 걸러 나의 생일을 차리겠다고 언약했으므로 -완당 김정희-

주야운이 유월 초삼일에 술을 걸러 나의 생일을 차리겠다고 언약했으므로 이날을 당하여 가물거리는 회포를 금하지 못해 되는 대로 시 한 수를 짓다[朱野雲約於六月初三 瀝酒作余生朝 當此日 不禁黯然 率成一詩] 하늘가의 한줌 눈물 그림 폭이 새로운데 / 天涯涕淚畫圖新 오늘은 유월 ..

관서에 노니는 심호 장인을 보내다[送心湖丈人遊關西] 2수 -완당 김정희-

관서에 노니는 심호 장인을 보내다[送心湖丈人遊關西] 2수 도망 노래 멎자마자 최장시를 지었는데 / 悼亡纔罷賦催粧 달밤의 선소소리 다시금 애를 끊네 / 明月仙蕭更斷腸 한가지의 매화가 탄식을 하는 듯이 / 一枝梅花如歎息 바람 앞에 소진왕을 창 불러 보내누나 / 臨風唱送小秦王 추운 겨울 ..

연경에 들어가는 조운경을 보내다[送曺雲卿入燕] -완당 김정희-

연경에 들어가는 조운경을 보내다[送曺雲卿入燕] 솔 비람에 돌 솥이라 묵연이 참다우니 / 松風石銚墨緣眞 향연기 한 오라기 생각마다 지난 일들 / 一縷香煙念念塵 만리라 서로 보는 청안이 예 있으니 / 萬里相看靑眼在 소재에 또 하나의 나루 묻는 사람일레 / 蘇齋又是問津人 [주D-001]나루 묻는 ..

북둔에서 꽃을 구경하고 성을 벗어나 구호하다[北屯賞花 出郭口號] -완당 김정희-

북둔에서 꽃을 구경하고 성을 벗어나 구호하다[北屯賞花 出郭口號] 두서너 집 산곽에 아지랑이 갓 걷히니 / 數家山郭翠微開 눈부시게 타올라라 시내 낀 붉은 노을 / 炙眼蒸紅夾磵栽 낯에 부는 번풍이 술 기운을 올리는 듯 / 吹面番風如被酒 곱게 개인 하늘 기운 회대에 가까우이 / 嫩晴天氣近恢台 [주D-..

민 행대장의 서장관 행차를 보내다[送閔行臺丈書狀之行] 3수 -완당 김정희-

민 행대장의 서장관 행차를 보내다[送閔行臺丈書狀之行] 3수 인생이 황하수를 건너지 못할진대 / 人生未得渡黃河 요연에 가 본 이도 그 또한 많지 않소 / 看到遼燕亦不多 지구를 감돌자면 무릇 얼마나 될고 / 繞出地毬凡幾許 호도껍질 그 속에서 때 놓칠 걸 한탄하네 / 胡桃殼裏歎蹉跎 우통(尤&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