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용 글씨 족자 한 지식인의 행동이 유구한 나라의 민족사를 철저히 짓밟아 놓았다. 개인의 욕망과 지성인의 심지(心志)는 어떠해야하는가. "上苑春先入 中園花盡開 惟餘幽徑草 尙待日光催"
| ||
이완용(李完用 1858∼1926)
조선 말기 문신으로 자는 경덕(敬德), 호는 일당(一堂)이고, 본관은 우봉(牛峰). 경기도 광주(廣州) 출신으로 을사오적의 한 사람이다. 아버지는 석준(奭俊)이고, 판중추부사 호준(鎬俊)에게 입양되었다. 1882년(고종 19) 증광문과에 급제, 주서·규장각대교·검교·홍문관수찬·동학교수·해방영군사마 등을 지냈으며 1886년 육영공원에서 영어와 신학문을 배웠다. 1887년 박정양(朴定陽)을 수행하여 미국에 건너갔다가 귀국한 뒤 부승지·이조참의·전보국회판·외무참의 등을 지내고,1888년 주차미국참찬관·대리공사를 지냈다. 1890년 돌아와 대사성·교환서총판·중추원의관 등을 지내고 1896년 아관파천 때 이범진(李範晉)과 함께 친러파로서 외부대신에 올라 학부대신·농상공부대신서리를 겸했다. 1901년 궁내부특진관으로 있다가 친일파로 변신, 1905년 학부대신이 되어 일본의 을사늑약체결제의를 앞장서 지지, 체결하게 하였다. 그해 12월 의정대신 겸 외부대신서리를 지내고 1907년(순종 1) 의정부참정으로 의정부를 내각으로 고쳤으며, 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추천으로 내각총리대신·궁내부대신서리를 겸했다. 헤이그특사사건 뒤 일본의 지시대로 고종에게 양위를 강요, 순종을 즉위하게 하였다. 이에 전국에서 항일의거가 일어났으며, 1909년 이재명(李在明)의 칼에 맞아 부상당했다. 1910년 8월22일 총리대신으로 정부전권위원이 되어 한·일합병조약을 체결, 일제에게 나라를 넘겨주었다. 그 공으로 일제에 의해 백작이 되고 조선총독부 중추원고문이 되었다. 3·1운동 때 독립투쟁을 비난하며 경고문을 발표하는 등 매국행위에 앞장섰다. 편서로 《황후폐하치사문(皇后陛下致詞文)》이 있다
|
'▒ 서화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나라, 명장 악비의 '출사표' (0) | 2007.08.09 |
---|---|
소동파의 적벽부 行楷書 작품 (0) | 2007.08.09 |
관음불 (0) | 2007.08.09 |
청나라 황제 광서제의 황후, 용유황후의 작품 (0) | 2007.08.04 |
청나라 마지막 황제 부의의 작품 (0) | 2007.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