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자료실 ▒

양촌집(陽村集)서 -미수기언(眉?記言) 허목(許穆

천하한량 2007. 6. 15. 00:28

《양촌집(陽村集)》의 중간(重刊)에 대한 서

 

 

우리나라 문헌(文獻) 가운데 옛것은 당초부터 고람(考覽)할 데가 없지만, () 나라가 망할 적에 기자(箕子)가 조선에 옴으로써 시ㆍ서ㆍ예ㆍ악의 가르침이 그에게서 시작되었다. 경계를 바르게 하고 팔정(八政)을 시행하였으니, 그 교화로 밤에도 문을 닫지 않았고, 나그네가 마음 놓고 들에서 잤으며, 부인은 정숙하고 음란하지 않아서, 예의의 융성함이 이때보다 훌륭한 때가 없었다. 그후 위만(衛滿)이 거짓과 폭력으로 갑자기 강성해졌고, 백제(百濟)와 고구려(高句麗)도 강한 싸움으로 나라를 세웠다. 그러나 진한(辰韓)의 풍속은 시집보내고 장가드는 데에 예가 있었고, 남녀가 분별이 있었으며, 길가는 자는 서로 길을 양보하였다. 예맥(濊貊)의 풍속도 염치와 효제를 숭상하였는데, 신라는 가장 순후하여 국학(國學)을 세우고 제사의 의식을 거행하였다. 설 홍유후(薛弘儒侯 홍유후는 설총(薛聰)의 시호)가 《구경훈의(九經訓義)》를 지었고, 최 학사(崔學士 최치원(崔致遠))는 문학으로써 천하에 알려졌다. 따라서 신라가 군자(君子)의 나라라 일컬어진 것은 까닭이 있다.

고려 때에는 백씨(白氏) 두 문학자가 있어서, 요순(堯舜)과 육경의 치도(治道)를 천술(闡述)하였다. 태사(太師) 최충(?)은 구재(九齋)의 생도들을 가르쳐서 예속(禮俗)을 도타이 하였고, 정 문충공(鄭文忠公 문충은 정몽주(鄭夢周)의 시호)은 오부(五部)에 학관(學館)을 세워 경학(經學)을 강론하였다. 그리고 이 문정공(李文靖公 문정은 이색(李穡)의 시호)은 문충공을 동방 이학(理學)의 조종이라 일컫는다.

본조에는 권 문충공(權文忠公 문충은 권근(權近)의 시호)이 또 경서와 예서를 고정(考定)하였으며, 《독서분정(讀書分程), 《입학도설(入學圖說), 《오경천설(五經淺說)》 등을 지어서 육경의 깊은 뜻을 밝혔다. 우리 태조와 태종이 나라를 창건하여 대통을 전하면서 오로지 경술로써 문명의 정치를 일으켰음도 실상 공의 힘이었다. 우리 동방은 불교를 높이 신봉하여 신라로부터 고려의 세대가 끝날 때까지 1천여 년 동안이나 능히 이단을 배척하고 예교(禮敎)를 높여서 선왕의 도를 밝히고 한 세대의 치도를 정하였으니, 그 공이 크다. 그의 말이 그의 글에 실려 있고 또 사물에 느낀 것을 읊조린 작품도 모두 충후(忠厚)하고 측달(?)한 심정에서 발한 것이었다. 문장도 본디 딴 도가 아니다. 하늘이 있으면 일월성신(日月星辰)이 되고, 땅에 있으면 산하 백천(山河百川)이 되며, ()에 있으면 주기(珠璣)ㆍ화실(華室)이 되고, 사람에 있으면 예악문장이 된다.

공의 문장은 경술을 근본하여 백가(百家)를 참고하였는데, 훌륭한 문채(文彩)가 우뚝하게 뛰어났다. 김 문간공(金文簡公 문간은 김종직(金宗直)의 시호)이 국초의 문학과 사도(師道)를 논하면서 권 문충공 한 사람만 추숭(推崇)했다 한다. 이때 주서(注書) 길재(吉再), 좨주(祭酒) 김구용(金九容)도 각각 오경(五經)을 전수(傳授)했는데, 모두 양촌의 문하에서 나왔다. 당초 그의 유문(遺文) 40권이었으나, 세월이 오래되어 세상에 전해 오지 않은 지가 오래었다. 이번에 그의 10대손인 영남 절도사(嶺南節度使) 권주(?)가 진주 목사(晉州牧使) 남몽뢰(南夢賚)와 함께 그 유문을 중간(重刊)하여 세상에 전하기로 의논했는데, 남씨는 그의 외손이다.

공은 공민왕(恭愍王) 원년에 출생하여 우리 태종 9년에 졸하였다. 공의 세대는 지금 3백 년이 지났다. 세상 변고가 이미 많았고 또 백 년 동안에는 난리도 많았다. 오랜 세월에 유문이 세상에 없어지지 않은 것만도 다행인데, 하물며 크게 전하는 일이겠는가. 또한 어진 자손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알봉섭제격(閼逢攝提格) 삼복삭조(參伏朔朝 음력 3월 초하룻날 아침을 말함)에 공암(孔巖) 허목은 서한다.

 

[D-001]백씨(白氏) 두 문학자 : 고려 때 유명한 문장가(文章家)였던 백문보(白文寶)와 백문절(白文節)을 가리킨다.

[D-002]구재(九齋) : 고려 때 최충(?)이 생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설치한 사숙(私塾) 이름인데, 그 사숙 안에 낙성재(樂聖齋)ㆍ대중재(大中齋)ㆍ성명재(誠明齋)ㆍ경업재(敬業齋)ㆍ호도재(浩道齋)ㆍ솔성재(率性齋)ㆍ진덕재(進德齋)ㆍ대화재(大和齋)ㆍ대빙재(待聘齋) 9개의 재를 만들고 9개의 학반(學班)을 두었기 때문에 구재라 한다.

[D-003]알봉섭제격(閼逢攝提格) : 고갑자(古甲子)인 갑인을 말한다. 고갑자로 알봉은 갑이고 섭제격은 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