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선생글 ▒ 323

기(記) 곡주 공관 신루기(谷州公館新樓記) -이색(李穡) -

기(記) 곡주 공관 신루기(谷州公館新樓記) 곡산(谷山)이란 고을은 황해도에서 궁벽한 곳이다. 동쪽은 교주(交州)에 접하고 북쪽은 평양과 경계하였다. 산 높고 물 맑아 한 구역의 펀펀하고 넓은 곳이 주(州)의 소재지다. 주 공관(公館)은 북쪽에 가까운데 여염집이 빙 둘러 있어 손이 오더라도 올라가 볼..

기(記) 향산 안심사 사리 석종기(香山安心寺舍利石鐘記) -이색(李穡) -

기(記) 향산 안심사 사리 석종기(香山安心寺舍利石鐘記) 지공(指空)은 중인데 고려의 보제왕사(普濟王師)가 그 제자이다. 그들이 죽은 뒤에 화장을 지냈는데 모두 사리가 나와 그들을 믿던 사람이나 의심하던 사람도 이것을 보고 합하여 하나로 되었다. 향산은 압록강 가에 있는데, 땅이 가장 외지고 ..

기(記) 장성현 백암사 쌍계루기(長城縣白巖寺雙溪樓記) -이색(李穡) -

기(記) 장성현 백암사 쌍계루기(長城縣白巖寺雙溪樓記) 삼중대광(三重大匡) □군 운암(雲菴) 징공(澄公) 청수(淸?) 절간(絶磵) 윤공(倫公)에 부탁하여 쌍계루(雙溪樓)의 이름을 짓고, 또 삼봉 정씨(三峯鄭氏)가 지은 누기(樓記)를 가지고 와 보여주었는데, 백암사의 내력은 자세하나 쌍계가 쌍계로 된 내..

기(記) 자비령 나한당기(慈悲嶺羅漢堂記) -이색(李穡) -

기(記) 자비령 나한당기(慈悲嶺羅漢堂記) 황해도와 평안도 경계선에 크고 높은 산이 있어 길손들이 이곳을 넘을 때마다 고생이 심한 까닭에 평안을 기원하는 뜻에서 자비령(慈悲嶺)이라 했다. 이 영의 북쪽은 평안도[平壤]에 속하고, 그 남쪽은 황해도[西海]에 속하는데, 나한당은 실제로 영북쪽 골짜..

기(記) 양주 통도사 석가여래 사리지기(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 -이색(李穡) -

기(記) 양주 통도사 석가여래 사리지기(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 홍무(洪武) 12년 기미 가을 8월 24일에 남산종(南山宗) 통도사(通度寺) 주지 원통무애변지대사(圓通無?辯智大師) 사문(沙門) 신 월송(月松)이 그 절에서 역대로 간수해 오던 자장(慈藏)을 가지고 중국에 들어가 석가여래의 정골(頂骨) ..

기(記) 여강현 신륵사 보제사리 석종 기(驪江縣神勒寺普濟舍利石鐘記) -이색(李穡) -

기(記) 여강현 신륵사 보제사리 석종 기(驪江縣神勒寺普濟舍利石鐘記) 보제(普濟)가 여흥 신륵사(驪興神勒寺)에서 죽을 적에 영이(靈異)스러움이 분명하여, 의심하던 자는 의심이 풀리고 믿는 자는 더욱 믿어서 그를 천년 후까지도 공경할 것을 꾀하였으며, 집을 지어 그 화상을 모시고 종을 만들어 사..

기(記) 지평현 미지산 죽장암 중영 기(砥平縣彌智山竹杖菴重營記) -이색(李穡) -

기(記) 지평현 미지산 죽장암 중영 기(砥平縣彌智山竹杖菴重營記) 중 각조(覺照)가 친히 찾아와서 청하기를, “지평(砥平) 용문산(龍門山)은 세상이 아는 바로서 그 이름을 미지(彌智)라고 하고, 여기에는 옛적에 암자가 있어 개현(開現)이라 합니다. 그 암자에 있으면서 도를 깨달은 자가 있었으나 그 ..

기(記) 오관산 흥성사전 장법회 기(五冠山興聖寺轉藏法會記) -이색(李穡) -

기(記) 오관산 흥성사전 장법회 기(五冠山興聖寺轉藏法會記) 경성(京城) 간방(艮方) 모퉁이와 천마산(天魔山) 손방(巽方)과 고암(鼓巖) 태방(兌方)에 5봉우리가 있는데, 이들이 모여 서로 포위하고 있어서 바라다보면 하나와 같다. 그러므로 이것을 이름하여 오관(五冠)이라 했는데, 이것은 그 형상을 취..

기(記) 천보산 회암사 수조 기(天寶山檜巖寺修造記) -이색(李穡) -

기(記) 천보산 회암사 수조 기(天寶山檜巖寺修造記) 회암사 주지(檜巖寺住持) 윤절간(倫絶磵)이 일찍이 색(穡)에게 말하기를, “보제(普濟)가 이미 죽자 중들이 명(銘)을 쓰고 비석을 세웠으니, 이 절을 세운 것도 마땅히 그 시말을 기록해서 보제가 구구하게 이 절을 위한 무궁한 뜻을 들어내 주어야 할..

기(記) 금강산 윤필암 기(金剛山潤筆菴記) -이색(李穡) -

기(記) 금강산 윤필암 기(金剛山潤筆菴記) 이색(李穡) 보제 나옹(普濟懶翁)이 죽자, 비로소 사람들이 그 도(道)를 크게 믿고 좇아서 그를 사모했는데 하물며 그 교도들이랴. 한산자(韓山子)가 임금의 명을 받들어 명(銘)을 지은 것이 이 윤필암(潤筆菴)을 세운 유래이다. 이 윤필암은 무릇 일곱 곳으로써 ..

기(記) 향산 윤필암 기(香山潤筆菴記) -이색(李穡) -

기(記) 향산 윤필암 기(香山潤筆菴記) 향산은 압록강 남쪽 기슭 평양부(平壤府) 북쪽에 있는데 요양(遼陽)과 경계를 이루었다. 산의 크기는 비할 데가 없으며 장백산의 분맥(分脈)이다. 향나무ㆍ사철나무가 많고 선불(仙佛)의 고적이 있다. 산의 이름을 향으로써 □□□□□□□□□ 여러 부처와 도장 ..

기(記) 보개산 지장사 중수 기(寶盖山地藏寺重修記) -이색(李穡) -

기(記) 보개산 지장사 중수 기(寶盖山地藏寺重修記) 중 자혜(慈惠)를 내가 좌주(座主) 익재선생(益齋先生)의 부중(府中)에서 처음 서로 만나 보니, 키가 크고 이마가 넓으며 모양이 질박(質樸)하고 말이 곧아 선생이 매우 사랑하였다. 그가 있는 곳은 보개산 지장사이다. 익재선생이 돌아가실 적에도 자..

기(記) 남원부에 새로 둔 제용재의 기[南原府新置濟用財記] -이색(李穡) -

기(記) 남원부에 새로 둔 제용재의 기[南原府新置濟用財記] 금상 8년 봄에, 간관(諫官)인 익재 시중(益齋侍中)의 손자가 남원 부사로 쫓겨나간 지 돌이 못 되어 선정(善政)의 이름이 남방 수령들 가운데서 최상이 되었다. 내가 이를 적어서 《순리전(循吏傳)》에 붙이려고 한 것이 오래였었다. 국자학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