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선생글 ▒ 323

기(記) 청주 용자산 송천사 나옹진당기(靑州龍子山松泉寺懶翁眞堂記) -이색(李穡)-

기(記) 청주 용자산 송천사 나옹진당기(靑州龍子山松泉寺懶翁眞堂記) 나옹(懶翁) 의 진당(眞堂 초상을 모신 곳)은 명산과 복지(福地)에는 어느 곳이나 있다. 한산(韓山) 목은자(牧隱子)가 붓을 잡아 그 시말(始末)을 기록한 지도 오래이다. 이제 그 무리인 각련(覺連)이 또 와서 말하기를, “청주 용자산(..

기(記) 오대 상원사 승당기(五臺上院寺僧堂記) -이색(李穡)-

기(記) 오대 상원사 승당기(五臺上院寺僧堂記) 석씨 영로암(英露菴)은 나옹(懶翁)의 제자이다. 오대산을 유람하다가 상원(上院)에 들어와 승당(僧堂)이 터만 있고 집이 없음을 보고 곧 탄식하며 말하기를, “오대산은 천하의 명산이요, 상원은 또한 큰 사찰이다. 승당은 성불(成佛)한 곳이요, 시방의 운..

기(記) 거제현 우두산 현암선사 중수기(巨濟縣牛頭山見菴禪寺重修記) -이색(李穡)-

기(記) 거제현 우두산 현암선사 중수기(巨濟縣牛頭山見菴禪寺重修記) 나옹(懶翁)의 스승은 지공(指空)이었다. 달순(達順)이라 이르는 자가 먼저 법당 아래에 있으면서 계행(戒行)이 긴요하고 고결하여 동렬(同列)이 모두 탄복하였고, 나옹도 또한 기이하게 여겼다. 그런 까닭에 그가 왕사(王師)가 되어 ..

기(記) 보개산 석대암 지장전기(寶盖山石臺菴地藏殿記) -이색(李穡)-

기(記) 보개산 석대암 지장전기(寶盖山石臺菴地藏殿記) 보개산 석대암의 비구(比丘) 지순(智純)이 나에게 그의 화소(化疏)를 써 주기를 청하였는데 얼마 되지 않아 또 와서 말하기를, “내가 소(疏)를 들고 공경(公卿)간에 다니며 쌀과 베[布]를 얻으면 나의 소용은 충족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미 늙었..

기(記) 지평현 미지산 용문사 대장전기(砥平縣彌智山龍門寺大藏殿記) -이색(李穡)-

기(記) 지평현 미지산 용문사 대장전기(砥平縣彌智山龍門寺大藏殿記) 《대장경(大藏經)》 한 질은 모관(某官) 모(某)의 시주에 의한 것이다. 처음에 강화부(江華府) 용장사(龍臧寺)에 두었었는데, 이것은 불의의 변을 피하려 함에서이다. 경인년부터 왜인이 바닷가의 군과 읍을 범하기 시작했는데, 강..

기(記) 지평현 미지산 윤필암기(砥平縣彌智山潤筆菴記) -이색(李穡)-

기(記) 지평현 미지산 윤필암기(砥平縣彌智山潤筆菴記) 한산자(韓山子 이색 자신을 말함)는 이미 보제(普濟)스님의 명을 쓰고 그 제자에게 말하기를, “보제스님은 우리 선왕(先王)이 스승으로 삼았던 분이다. 도가 높고 덕이 높음에 온 나라 사람들 가운데 누가 공경하지 않을 사람이 있으며, 그 바람..

기(記) 순창 객관 신루기(淳昌客館新樓記) -이색(李穡)-

기(記) 순창 객관 신루기(淳昌客館新樓記) 누(樓)라면 누기(樓記)가 있어야 함은 더할 나위도 없다. 짓고 그 공명을 나타내서 그 뜻을 통하게 하는 것이니, 이것을 버리고 억지로 말하는 것은 또한 어렵지 아니한가. 순창 자사(刺史) 남후(南侯 벼슬사는 이의 존칭)가 고을을 다스릴 때, 이미 여가가 있어..

기(記) 수원부 객사지정기(水原府客舍池亭記) -이색(李穡)-

기(記) 수원부 객사지정기(水原府客舍池亭記) 못과 대(臺)와 언덕과 정자는 유람하는 곳이니, 세도(世道 세상을 올바르게 다스리는 도리)에 무슨 관계가 있겠는가. 그러나 국가 치란의 자취와 주현(州縣)의 흥망한 이유가 여기에 달려 있다. 대체로 조정이 맑고 밝아 위와 아래가 안락하게 되면, 관리들..

기(記) 성거산문수사기(聖居山文殊寺記) -이색(李穡) -

기(記) 성거산문수사기(聖居山文殊寺記) 성거산이 뻗어 내려온 거리는 멀다. 장백산(長白山)에 뿌리박고 길게 뻗기 천여 리, 동해 바다를 옆에 끼고 남으로 계속 달음질하고, 또 천리를 내려와 우뚝 섰는데 가장 높은 곳이 화악산(華嶽山)이다. 이 화악산으로부터 남쪽으로 수백 리를 달려 불쑥 솟은 산..

기(記) 박자허 정재기(朴子虛貞齋記) -이색(李穡) -

기(記) 박자허 정재기(朴子虛貞齋記) 내가 스물 한 살 나던 해로 이미 관례(冠禮)한 이듬해에 벽옹(?雍 지금 성균관)에 들어가서 《주역》을 공부할 때 선생을 얻지 못하였더니, 때마침 돌아가신 아버지와 동갑인 우문자정(宇文子貞) 선생이 학관(學官)으로서 오라 하므로, 곧 가서 뵙고 나아가서 자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