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跋)발 호법론(跋護法論) -이색(李穡)- 발(跋) 발 호법론(跋護法論) 이색(李穡) 송(宋)나라 승상 장천각(張天覺)의 《호법론》 한 편이 거의 만여 자에 달한다. 석씨의 도제 승준(僧俊)이 환암 보제대선사(幻菴普濟大禪師)의 명으로 충주(忠州) 청룡사(靑龍寺)에서 이를 중간하였는데, 이미 공역을 마치고는 원본을 가지고 나에게 그 말미에 발..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서 나옹 삼가(書懶翁三歌) -이색(李穡)- 발(跋) 서 나옹 삼가(書懶翁三歌) 이색(李穡) 구슬은 방향을 따라 빛을 내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것이나 그 깨끗함은 불성(佛性)을 나타내고, 해골은 기운이 흩어지고 살이 썩어 사람들이 버리는 바이나 생존하였을 적에는 불도를 행하였고, 수없이 기운 승려의 의복은 비단을 버리고 해어진 누더기를 ..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제 계월헌 인공음(題溪月軒印空吟) -이색(李穡)- 발(跋) 제 계월헌 인공음(題溪月軒印空吟) 이색(李穡) 초무학(超無學)은 보제(普濟)의 고제(高弟)이다. 계월헌은 그가 살고 있는 곳이요, 인공음은 그의 저술한 바이다. 보제가 스스로 강월헌(江月軒)이라 호하였으니, 강의 모인 바는 간(磵)과 계(溪)이다. 달의 비침이 어찌 분리되고 회합하는 바 있으리..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발 급암 시집(跋及菴詩集) -이색(李穡)- 발(跋) 발 급암 시집(跋及菴詩集) 이색(李穡) 지난번에 내가 이미 김씨 형제를 위하여 그 외대부(外大父 외조부) 급암선생의 시에 서문을 하였다. 지금에 와서는 경지(敬之)와 더불어 같이 성균관에 있게 되어 매양 보면, 경지가 학도들에게 수응한 여가에는 언제나 조용한 곳에 들어앉아 하루 한 장씩..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발 우곡제 선생 송 홍진사 시권(跋愚谷諸先生送洪進士詩卷) -이색(李穡)- 발(跋) 발 우곡제 선생 송 홍진사 시권(跋愚谷諸先生送洪進士詩卷) 이색(李穡) 선산(善山) 부계(缶溪)에 홍(洪)씨가 살고 있었는데, 그 어머니를 잘 받들어 효행으로 알려졌다. 그가 송경(松京)에서 학업을 닦고, 벼슬을 하다가 돌아감에 우곡 정(鄭)선생이 시로서 송별할 적에, 문헌공(文憲公 최충(崔沖)..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발 중옥 환학 시권(跋仲玉還學詩卷) -이색(李穡)- 발(跋) 발 중옥 환학 시권(跋仲玉還學詩卷) 이색(李穡) 중옥은 묵헌(墨軒) 선생의 손자요, 이상(二相)공의 둘째 아들이다. 나이 20여 세에 중국에 들어가서 성균학생(成均學生)에 승보(升補)되어 강습하기를 □ 오래하였는데, 동렬에게 찬양 받았으며, 어버이에게 귀성할 것을 고하고 곧 돌아오려 할 적..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발 황벽어록(跋黃蘗語錄) -이색(李穡)- 발(跋) 발 황벽어록(跋黃蘗語錄) 이색(李穡) 〈황벽전심요결(黃蘗傳心要訣)〉과 〈완릉록(宛陵錄)〉은 공히 38매이니, 당(唐)나라 배휴(裴休)가 편찬한 것이다. 일본(日本)의 승려 윤중암(允中菴)이 널리 전포하려 생각하고, 손수 이를 새긴 끝에, 나의 말을 구하여 발문을 삼으려 하는데, 나는 이 학문에..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발 나흥유 하 시권 跋羅興儒賀詩卷 -이색(李穡)- 발(跋) 발 나흥유 하 시권 跋羅興儒賀詩卷 이색(李穡) 우수(迂?)가 노년에 지우(知遇)를 만나고는 항상 스스로 태공망(太公望)에 비유하였으니, 그 자부하는 바가 얕지 않아, 하객(賀客)들과 연회하는데 미쳐서는 왕모중(王毛仲) 으로 자처하였으니, 또 어찌 그다지도 비유하더란 말인가. 이는 우수의 가..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서 증도가 후(書證道歌後) -이색(李穡)- 발(跋) 서 증도가 후(書證道歌後) 이색(李穡) 위의 〈증도가〉 한 편은 오흥(吳興) 조승지(趙承旨) 자앙(子昻)의 글씨이다. 임천(臨川) 범참정 대박(范參政大朴)이 발(跋)하였고, 승지의 아들 중목(仲穆) 대제(待制)가 송월헌(宋月軒)에서 보고 그 뒤에 또 발을 쓰니, 연우(延祐) 병진년부터 지정(至正) 을..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제 척약재학음 후(題?若齋學吟後) -이색(李穡)- 발(跋) 제 척약재학음 후(題?若齋學吟後) 이색(李穡) 급암(及菴) 민(閔)선생의 시의 조어(造語)가 화평 담담하고, 용의(用意)가 정하고 깊었는데, 당시 익재(益齋) 선생과 우곡(愚谷) 선생이 죽헌(竹軒) 정승과 더불어 한 마을에 살고 있어 철동 삼암(鐵洞三菴)이라 불렀으나, 급암은 죽헌의 사위이다. 죽..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제 호연자설 후(題浩然字說後) -이색(李穡)- 발(跋) 제 호연자설 후(題浩然字說後) 이색(李穡) 허무(虛無)와 한만(汗漫)은 오직 도(道)의 허탄해짐을 가져오고, 편협한 마음과 천착한 지혜는 오직 도의 비색을 가져온다. 한 마음의 은미함은 성현이 이를 희구(希求)하였다는데, 그 바른 것을 구하려면 오직 그 그른 것을 버려야 한다. 넓게 사방에 통..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서 금남 우수전 후(書錦南迂?傳後) -이색(李穡) - 발(跋) 서 금남 우수전 후(書錦南迂?傳後) 이색(李穡) 우수(迂?)가 소년 시절부터 시부(詩賦)를 잘하여 장옥(場屋 고시장) 사이에 출입하매, 같이 나간 사람들이 모두 능수로 추중하였으나 매양 합격하지 못하였다. 뒤에 책문(策問)으로 장옥에서 대결하여, 그 능난함이 전과 같으면서도 더 교묘하였는데..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서 도은시 고후(書陶隱詩藁後) -이색(李穡) - 발(跋) 서 도은시 고후(書陶隱詩藁後) 이색(李穡) 정사년 중동(仲冬 음력 11월) 그믐 전 3일에, 새벽에 일어나 세수하고 머리 빗고 나서, 향불 피우고 꿇어앉아 도은의 시 두어 편을 읽으니, 구슬이 소반 위를 굴러가는 것 같고, 얼음덩이가 산골을 흘러 나오는 것 같으며, 그 구슬과 얼음을 옥병에 넣어둔..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서 이수보 시 권후(書李壽父詩卷後) -이색(李穡) - 발(跋) 서 이수보 시 권후(書李壽父詩卷後) 이색(李穡) 이군 수보가 나에게 행촌(杏村)이 쓴 수보(壽父)의 두 대자(大字)와 익재(益齋) 노인의 시와 설(?)공의 명(銘)을 보였는데, 그 인(仁)과 수(壽)의 훈석을 더할 수 없이 다하였으나, 그 뜻을 어기기 어려워서 또 고하기를, “사람과 초목ㆍ금수는 다 만.. ▒ 목은선생글 ▒ 2007.05.01
발(跋) 서 상찰보 정설암 대자 권후(書上札補正雪菴大字卷後) -이색(李穡) - 발(跋) 서 상찰보 정설암 대자 권후(書上札補正雪菴大字卷後) 이색(李穡) 원(元)나라가 일어난 지 백여 년에, 문치가 크게 화하여 사방의 학사들이 다 그의 재능을 정숙하게 다하니, 찬란하게도 일대의 성세를 이루었다. 그렇기 때문에 논평하는 자는 말하기를, “그 문(文)은 한(漢) 같고, 그 시(詩)는 ..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이씨 삼자 명자 설(李氏三子名字說) -이색(李穡)- 설(說) 이씨 삼자 명자 설(李氏三子名字說) 광릉(廣陵) 이호연(李浩然)이 유사(有司)에 천거되었는데, 《서경(書經)》의 뜻을 잘 알기로 이름이 있었다. 내가 일찍이 서론(緖論)을 듣기를 원하나 이루지 못하였더니, 하루는 와서 내게 말하기를, “내가 세 자식이 있으니 첫째는 지직(之直)인데 자(字)는 ..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경춘설(景春說) -이색(李穡)- 설(說) 경춘설(景春說) 내가 관동(關東)을 유람하는데 간성(杆城) 지군(知郡) 박군(朴君) 인을(仁乙)이 자(字)를 구하고 또 말을 청하였다. 내가 늙은지라, 학문이 희미하고 문사(文辭)가 마음대로 되지 않아, 말을 하여도 글을 이루지 못하고, 뜻을 말하여도 온축(蘊蓄)한 데에 이르지 못하니, 어떻게 그 ..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설우설(雪牛說) -이색(李穡)- 설(說) 설우설(雪牛說) 유상인(乳上人)이란 이는 보제(普濟)의 제자이다. 대장경(大藏經)을 인쇄할 때에도 같이 하고 대장경을 읽을 때에도 함께 하였다. 모양이 청수하고 행동이 완비하여 여러 사람 중에 뛰어 났으니, 보제(普濟)가 설우(雪牛)로 이름을 지은 까닭이 있다. 내가 그 뜻을 부연하겠다. 설(..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천봉설(千峯說) -이색(李穡)- 설(說) 천봉설(千峯說) 조계(曹溪) 우상인(雨上人)은 귀곡(龜谷)의 제자인데 그 호(號)를 나에게 물었다. 내가 말하기를, “귀곡이 사람의 이름을 잘 짓는데 어찌 상인에게는 아끼는가. 일운(一雲)으로 하면 어떠한가.” 하였다. 상인이 말하기를, “우리들이 스승 섬기기를 자식이 아비 섬기듯 하는데 ..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중영설(仲英說) -이색(李穡)- 설(說) 중영설(仲英說) 나옹(懶翁)의 제자에 각웅(覺雄)이란 이가 있는데, 호는 중영(仲英)이다. 일찍이 서기(書記)가 되었는데, 옹이 매우 사랑하였다. 옹이 입적(入寂)한 뒤에 중영의 무리가 6ㆍ7년 동안 부도(浮圖) 옆에 있으며 배회하고 떠나가지 못하였다. 하루는 상당(上黨) 한맹운(韓孟雲)이 쓴 중..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평원설(平源說) -이색(李穡)- 설(說) 평원설(平源說) 환암(幻庵)의 제자 분상인(分上人)이 나옹(懶翁)을 따라 같이 있은 지가 또한 몇 해나 된다. 그래서 나옹이 지어준 평원(平源)이라는 호(號)를 얻어서 먹 흔적이 아직도 새롭고, 산수의 그림이 또 나옹의 득의작(得意作)이어서 평담(平淡)하고 유원(幽遠)하여 사랑스럽다. 거기에다..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순중설(純仲說) -이색(李穡)- 설(說) 순중설(純仲說) 갑인과(甲寅科) 장원(狀元) 김정언(金正言)이 말하기를, “내 이름이 자수(子粹)이기 때문에 내 자(字)를 순중(純仲)이라고 하였으니, 선생은 그 뜻을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장차 가슴에 간직하렵니다.”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나는 비유하면 제패(?稗)와 같다. 학문..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맹의설(孟儀說) -이색(李穡)- 설(說) 맹의설(孟儀說) 지정(至正) 무신년에 내가 대사성(大司成)이 되었는데, 생도가 매우 많아서 나누어 오경(五經)을 연구하게 하였다. 《서경(書經)》을 연구하는 자가 80여 명이나 되었는데, 그 중에서 유경(劉敬)씨의 행동이 여러 사람에게 뛰어나서 과업(課業)을 받은 뒤에는 단정히 앉아서 읽기..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백중 설 증 이장원 별(伯中說贈李狀元別) -이색(李穡)- 설(說) 백중 설 증 이장원 별(伯中說贈李狀元別) 금번 경신과(庚申科) 장원(狀元) 백중(伯中) 이문화(李文和)가 장차 시골로 근친(覲親)하려 하여, 나의 말을 청하면서 말하기를, “백중이라는 자(字)의 설(說)을 선배에게 받지 못하였으니, 한 말씀을 받아 가지고 가고자 원합니다. 집에서 효도하고 나라..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호연 설 증 정보주 별 (浩然說贈鄭甫州別) -이색(李穡)- 설(說) 호연 설 증 정보주 별 (浩然說贈鄭甫州別) 호연(浩然)한 기운은 곧 천지의 시초이니, 천지가 그것으로 제 위치에 놓인다. 그것이 만물의 근원이니 만물이 그것으로 발육된다. 오직 이 기운을 함축하여 체(體)가 있다. 그러므로 이 기운이 발하여 용(用)이 되는 것이다. 이 기운은 가장자리도 없고 ..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맹양설(孟陽說) -이색(李穡)- 설(說) 맹양설(孟陽說) 정유년(丁酉年) 과거에 급제한 이좌랑(李佐郞)이 그 친구 정자인(鄭子因)에게 부탁하여, 나에게 자(字)를 지어 달라고 청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이서(李舒)씨는 나의 친구인데 어찌 편지가 없는가. 이것은 예를 잃어버린 것이니, 나는 자(字)에 대하여 말하기 어렵다.” 하였다...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지현설(之顯說) -이색(李穡)- 설(說) 지현설(之顯說) 문생(門生)인 좌부대언(左副代言) 강은(姜隱)의 자(字)는 지현(之顯)인데, 나에게 자설(字說)을 지어 주기를 청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은(隱)이라는 것은 볼 수 없는 것을 말한다. 그 이치는 은미하나 사물에 나타나는 것은 그 자취가 찬연하니, 은(隱)과 현(顯)이 서로 반대되는 ..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설(說) 맹주설(孟周說) -이색(李穡)- 설(說) 맹주설(孟周說) 이색(李穡) 계림(鷄林) 이씨(李氏)로서 관직이 오재(五宰)에 이르고, 월성군(月城君)을 봉한 이가 있는데, 그 장증손(長曾孫)이 정보(廷?)이다. 대신(臺臣)이 되어 중한 명망이 있었는데, 나에게 자(字)를 지어 달라고 청하였다. 내가 마침 《운회(韻會)》를 찾아 보니 보(?) 자 밑에 ..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서(序) 송 봉상인유방 서(송봉상인유방서) -이색(李穡)- 서(序) 송 봉상인유방 서(송봉상인유방서) 상인은 본래 알지 못하는 처지였는데, 내 집 문 앞에 걸어와서 보기를 청하므로, 한번 보자 손을 잡고 오랜 친구와 같이 되었다. 며칠이 못 되어 내 아내가 죽으니 14일 동안을 머물며, 영(靈)을 대하여 한결같이 경을 외우며 복을 비는데, 글 소리가 맑고 총명.. ▒ 목은선생글 ▒ 2007.05.01
서(序) 송 설부보사 환조 시 서(送?符寶使還朝詩序) -이색(李穡)- 서(序) 송 설부보사 환조 시 서(送?符寶使還朝詩序) 명 나라가 천명을 받아 무공(武功)이 이루어짐을 고하여 중원이 평정되므로, 이에 사이(四夷)를 권고(眷顧)하고 안무(按撫)하여 두어둠이 마땅하다. 드디어 사신을 명하여 수레를 태워 사방으로 내보내어, 위엄과 덕화를 선포하고 각기 그 나라 백성.. ▒ 목은선생글 ▒ 2007.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