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선생글 ▒ 323

표전(表箋) 하 교사 개원 표(賀郊祀改元表) -이색(李穡) -

표전(表箋) 하 교사 개원 표(賀郊祀改元表) 이색(李穡) 성인(聖人)이 왕위에 오르사 비로소 인사(?祀 천제(天祭))의 예(禮)를 거행하시고, 호천(昊天)이 명(命)을 내리사 드디어 보력(寶曆)의 시작을 고치시니, 화기(和氣)가 넘쳐 흐르고 환성(?聲)이 끓어오르나이다. 공경히 생각하옵건대, 마음을 잡으심..

표전(表箋) 황태후를 책봉함을 하례하는 표[賀冊皇太后表]-이색(李穡) -

표전(表箋) 황태후를 책봉함을 하례하는 표[賀冊皇太后表] 이색(李穡) 지극한 인(仁)을 길이 주시어 제덕(帝德)이 드디어 새로우시니 화려한 예식을 거행하여 모의(母儀)가 무게를 더하오며 일이 종사(宗社)에 관계되옴에 기쁨이 신린(臣?)에 넘치옵나이다. 그윽이 생각하옵건대, 창희(蒼姬)는 한대(漢..

표전(表箋)황태자 개환 하전(皇太子凱還賀箋) -이색(李穡) -

표전(表箋) 황태자 개환 하전(皇太子凱還賀箋) 이색(李穡) 용기(龍旗)가 가리키는 곳마다 천자의 위엄을 엄숙히 보이시고, 학가(鶴駕)가 개선(凱旋)해 오셔서 도인(都人)의 기대하던 바람을 크게 위로하시니, 이번 포고(布告)에 모두 환성을 올리나이다. 공손히 생각하옵건대, 운운. 크신 도량이 연충(淵..

표전(表箋) 하 평정 안남 전(賀平定安南箋) -이색(李穡) -

표전(表箋) 하 평정 안남 전(賀平定安南箋) 이색(李穡) 이극(貳極 왕태자)의 높은 위(位)에 계시면서 크게 펴는 문덕(文德)을 도우시고, 만기(萬機)를 참결(參決)하사 필승(必勝)의 작전(作戰)을 수행하시오니, 이번 포고(布告)에 모두들 환성(歡聲)을 올리옵나이다. 그윽이 생각하옵건대, 의리를 모르는 ..

표전(表箋)황태자의 천추를 하례하는 기거 전[賀皇太子千秋起居箋] -이색(李穡) -

표전(表箋) 황태자의 천추를 하례하는 기거 전[賀皇太子千秋起居箋] 이색(李穡) 학금(鶴禁)의 시서(侍書)로서 우악(優渥)한 은총을 도맡아 받자옵다가, 제잠(?岑)에 직책을 지키면서 강녕(康寧)하옵소서의 축원이 항상 간절하였습니다. 이제 가신(佳辰)을 당하와 더욱 미침(微沈)을 다하옵나이다.

표전(表箋)황후 봉책 하표(皇后封冊賀表)-이색(李穡) -

표전(表箋) 황후 봉책 하표(皇后封冊賀表) 이색(李穡) 녹(?)을 받고 도(圖)에 응하여 단정히 신령의 통서(統緖)를 받드시고, 헌폐(軒陛 조정)에 임하여 옥책(玉冊)을 발하시어 이에 궁곤(宮?)의 의식을 새로이 거행하옵시니, 일월이 맑고 빛나며 강산이 안온(安穩)하옵나이다. 운운. 도(道)는 계체(繼體 사..

교서(敎書) 세 원수에게 죄주는 교서[罪三元帥敎書] -이색(李穡) -

교서(敎書) 세 원수에게 죄주는 교서[罪三元帥敎書] 이색(李穡) 선지(宣旨)하노라. 국가가 불행하여 도적의 난리를 만나서 남쪽으로 파천하였다. 이는 오직 나 소자의 부덕한 소치이나, 또한 장수의 용병(用兵)에 규율이 없어서 방어하지 못한 까닭이기도 하다. 바야흐로 쓸개를 맛보는 근심을 품었기..

교서(敎書) 사 찬성사 반복해 교서(賜贊成事潘卜海敎書) -이색(李穡) -

교서(敎書) 사 찬성사 반복해 교서(賜贊成事潘卜海敎書) 이색(李穡) 대개 들으니 황급하고 창졸한 난을 만난 연후에야 출중한 참재주를 알고, 광명하고 위대한 공을 세운 연후에야 세상에 드문 지극한 은총을 받는 것이다. 때문에 자고 이래로 성제 명왕(聖帝明王)과 현신 석보(賢臣碩輔)가 부귀가 그 ..

유관에 잠깐 쉬는데 한송선사가 술을 사왔기에[楡關小憩寒松禪師沽酒] -이색(李穡) -

유관에 잠깐 쉬는데 한송선사가 술을 사왔기에[楡關小憩寒松禪師沽酒] 이색(李穡) 찬 바람이 눈을 불어 유관에 가득차니 / 寒風吹雪滿楡關 성긴 수염에 얼음이 맺히고 말은 가려 하지 않네 / 氷結疏?馬不前 우리 스님 삼매의 〈신통(神通)〉 솜씨 힘입었나니 / 賴有吾師三昧手 주머니 풀어 취향(醉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