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왕각도(?王閣圖)
이색(李穡)
떨어지는 노을 외로운 따오기 물은 허공에 떴는데 / 落霞孤鶩水浮空
그림 그린 기둥과 날리는 주렴은 구름과 비속일세 / ?棟飛簾雲雨中
그때의 그 강신은 오늘 나를 아는가 / 當日江神知我否
어느 때 다시 반돛의 바람을 빌려 주려나 / 何時更借半帆風
[주C-001]등왕각도(?王閣圖) : 당나라 문인 왕발(王?)이 교지령(交趾令)으로 있는 아버지 복치(福?)를 보러 가는 길에, 꿈에 강신(江神)이 와서 말하기를, “내일 9월 9일에 남창(南昌)의 등왕각(?王閣)을 중수(重修)한 낙성식(落成式)이 있으니 참석하여 글을 지어 이름을 내라.” 하였다. 왕발이 대답하기를, “여기서 남창까지 7백 리인데 하룻밤 사이에 당도할 수가 있읍니까.” 하니, 강신(江神)은, “배에 오르기만 하면 내가 바람을 빌려 주리라.” 하므로, 왕발은 과연 하룻밤 사이에 남창에 도착하니 홍주 자사(洪州刺史)가 등왕각에 낙성식을 크게 열고 여러 손들에게 필묵(筆墨)과 종이를 돌려 글을 짓게 하였다. 사실은 자사(刺史)가 자기의 사위를 시켜 미리 글을 지어 두고 여러 손들이 사양하기를 기다려 사위의 글을 자랑하려 하였던 것이다. 다른 손은 모두 사양하는데 왕발이 사양하지 않고 붓을 드니 자사는 불쾌하여 사람을 시켜 왕발의 글을 쓰는 대로 엿보고 와서 보고하도록 하였다. 중간에 가서, “떨어진 놀은 외로운 따오기와 가지런히 날고, 가을 물은 긴 하늘과 한 빛이다 [落霞與孤鶩齊飛 秋水共長天一色].” 하는 구절을 쓰니, 자사가 듣고, “참으로 기이한 재주로다.” 하였다. 왕발은 끝에 다시 시(詩)를 쓰기를, “그림 그린 기둥은 아침에 남포의 구름에 날고 주렴은 저녁에 서산 비에 걷는다 [畵棟朝飛南浦雲 珠簾暮捲西山雨].” 하였다. 등왕각은 당고조(唐高祖)의 아들 등왕(?王) 원영(元?)이 처음 지은 누각이었다.
'▒ 목은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 밀성 양박선생(訪密城兩朴先生) -이색(李穡)- (0) | 2007.02.05 |
---|---|
여강(?江) -이색(李穡) - (0) | 2007.02.05 |
소우(小雨) -이색(李穡) - (0) | 2007.02.05 |
감춘(感春) -이색(李穡) - (0) | 2007.02.05 |
기동정(奇東亭) -이색(李穡)- (0) | 2007.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