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선생글 ▒

기(記) 윤필암기(潤筆菴記) -이색(李穡) -

천하한량 2007. 4. 4. 02:56

기(記)
 
 
윤필암기(潤筆菴記)
 

이색(李穡)

사불산(四佛山)을 일명 공덕산(功德山)이라고도 부르는데, 그 이름을 지은 사람은 지공(指空)스님이다.
중 각관(覺寬)과 찬성(贊成)이었던 김득배(金得培)의 부인 김씨가 이 산에다 윤필암이란 절을 짓고, 윤필암기를 지어달라고 편지를 보내는데 그 내용에는 “산 가운데 있는 암자를 묘적암(妙寂菴)이라 하는데, 요연선사(了然禪師)께서 계셨고, 나옹(懶翁)스님께서 출가(出家 처음으로 중이 됨)한 곳입니다. 지금은 나옹스님은 떠났으나 사리는 온나라에 펴졌으며, 그림을 그려서 모시는 곳도 한두 군데가 아닙니다. 그러나 모두 스쳐가신 땅에 지나지 않는 것이요, 꼭 이런 곳을 다 평소에 유의한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중은 뽕나무 아래서 사흘 밤을 계속해 자지 않는다.’는 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가 처음 출발한 곳으로 말할 것같으면, 머리를 깎음으로써 번뇌를 씻어버린 곳이요, 계명을 받음으로써 중이 된 곳이니, 이른바, ‘여러 성인이 전하지 못한 종문(宗門)의 지극한 곳[極處]’으로 지향하는 출발이 이에서 시작된 것이며, 도에 들어감도 이에서 시작되었다 하겠습니다. 도를 회암(檜巖)에서 깨닫고, 얻은 것을 평산(平山)에서 인정받으신 것도 다 여기서 비롯된 것이며, 서울에서 설법해서 선왕(先王)의 스승이 되신 것도 모두 여기서 비롯된 것이니, 공덕산은 사실로 나옹의 본바탕이 되는 곳입니다. 나옹은 벌써 돌아가셨으되 그분의 사리를 간직하고, 그림을 모시어 공양하는 것은 오늘날 공덕을 구하는 사람들의 보통 일입니다마는, 소위 참된 공덕을 알고 그러는 것입니까? 공덕산은 나옹 때문에 이름을 더욱 전하게 되었고, 세상에서 나옹을 흠모하여 공덕을 닦는 사람도 그와 같이 넓은 지역에 깔렸으니, 따져볼 때 공덕이 산에 있는 것인지 나옹에게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아니하면 분주하게 다니며 예배하는 사람들에게 있는 것인지, 선생께서 한 말씀으로 써주시기를 바랍니다.” 하였었다.
나는 이 글을 받아보고 말하기를, “나는 들으니 공덕산이 대원(大院) 동쪽에 있는데 우뚝 솟은 봉 위에 큰 돌이 네 갈래로 갈라졌고, 높이가 모두 넉 자 남짓한데, 마치 부처님의 모양같으므로 복을 구하는 사람은 누구나 떼를 지어 몰려와서 기도하기 때문에, 이 산을 ‘사불산(四佛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성(聖)ㆍ지(智)ㆍ묘(妙)ㆍ원(圓)은 그 체(體)가 스스로 공적(空寂)한 것이니, ‘묘적암(妙寂菴)’이란 이름인들 어찌 근거 없이 생겼겠는가. 공덕을 묘적암에서 구하는 사람은 누구나 나옹과 같이 하면 족할 것이다.” 하였다 아울러 드러낸다. 경신 추 8월 초하루 기한다.


[주D-001]중은 …… 않는다 : 노자(老子)가 오랑캐 나라에 들어가 중이 되었는데, 뽕나무 아래서 세 밤을 거듭 자지 않았다. 이것은 오래 있음으로써 은애(恩愛)가 생기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後漢書》
[주D-002]여러 …… 곳[極處] : 종문의 지극한 곳을 향상일로(向上一路)라고 하는데, “향상일로는 천성(千聖)으로 전하지 못했다.” 한다 《碧巖鐘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