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선생글 ▒ 204

비명(碑銘) 대도 대흥현 중흥용천사비(大都大興縣重興龍泉寺碑) -이곡(李穀) -

비명(碑銘) 대도 대흥현 중흥용천사비(大都大興縣重興龍泉寺碑) 이곡(李穀) 지원(至元) 3년 4월 초하룻날, 전서사(典瑞使) 신당주(申當主)공이 나에게 말하기를, “요즈음 태황태후의 명령을 받들어 용천사(龍泉寺)의 불전(佛殿)을 중흥하고, 전지(田地)를 사서 시주하여 세입(歲入)을 거두어서 길이 불..

행장(行狀) 유원 고아중대부 하남부 노총관 겸본로제군 여로총관 관내권농사 지하방사 증집현직학사 경거도위 고양후 시 정혜 한공 행장-이곡(李穀) -

행장(行狀) 유원 고아중대부 하남부 노총관 겸본로제군 여로총관 관내권농사 지하방사 증집현직학사 경거도위 고양후 시 정혜 한공 행장(有元故亞中大夫河南府路摠管兼本路諸軍與魯摠管管內勸農事知河防事贈集賢直學士輕車都尉高陽侯諡正惠韓公行狀) 이곡(李穀) 공의 이름은 영(永)이고, 자는 정..

행장(行狀) 고려국 승봉랑 총부산랑 사 비어대 증삼중공광첨의정승 판전리사사 상호군 기공 행장-이곡(李穀)-

행장(行狀) 고려국 승봉랑 총부산랑 사 비어대 증삼중공광첨의정승 판전리사사 상호군 기공 행장(高麗國承奉郞摠部散郞賜緋魚袋贈三重公匡僉議政丞判典理司事上護軍奇公行狀) 이곡(李穀) 공의 휘는 자오(子敖)이고, 자도 자오(子敖)인데, 행주(幸州) 사람이다. 처음에는 집안의 공(功)으로 산원(散員..

청사(靑詞) 소왕본명 초 청사(小王本名醮靑詞) -이곡(李穀)-

청사(靑詞) 소왕본명 초 청사(小王本名醮靑詞) 이곡(李穀) 초헌(初獻) 날이 육갑(六甲)을 한 바퀴 돌아오니, 소왕(小王)이 명을 받은 때를 당했습니다. 이에 한 마음의 정성을 다하여 상제에게 정성을 바치는 예식을 거행하온데, 마름과 수초ㆍ미나리는 될 만하오나 기장과 피쌀이 향기롭지 못합니다. ..

청사(靑詞) 근동지 갑자 초 청사(近冬至甲子醮靑詞) -이곡(李穀)-

청사(靑詞) 근동지 갑자 초 청사(近冬至甲子醮靑詞) 이곡(李穀) 갑자(甲子)로 때를 기(紀)하니, 이미 양(陽)이 생하는 절후(節候)에 가까웠고, 건원(乾元)이 이에 시작하여 더욱 하늘처럼 덮어 주시는 어지심을 밝히옵니다. 곧 밝게 이바지하는 정성을 다하와 조심하여 두루 이루어 주시는 은혜를 기대하..

청사(靑詞)하원 초 청사(下院醮靑詞) -이곡(李穀) -

청사(靑詞) 하원 초 청사(下院醮靑詞) 이곡(李穀) 초헌(初獻) 진정(秦正)의 해 보름이 되니 때마침 아침은 하원(下元 10월15일)에 속한지라, 주료(周? 주 나라 술을 말함)를 부어 정성을 드려 감히 복을 부어 주시기 바라옵나이다. 보배로운 살피심을 드리우시어, 두텁게 순후한 복을 내려 주시기 바라나이..

제문(祭文) 남부마가 심왕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제문(祭文) 남부마가 심왕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爲男付馬祭瀋王文] 이곡(李穀) 생각하건대, 왕은 생존시에 언제나 예의를 지키셨도다. 옛날에 덕릉(德陵)1이 심왕(瀋王)을 사랑하고 양육을 매우 잘하여서 아들같이 여기고 조카라고 하지 않았으며, 먹던 밥과 음식을 주기도 하였고, 이리하여..

제문(祭文) 원재상이 그 양부 정승 이용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제문(祭文) 원재상이 그 양부 정승 이용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爲元宰相祭養父政丞利用文] 이곡(李穀) 묏부리 귀신이 장차 어진 이를 낳으려고 할 때는 반드시 좋은 때가 돌아오는 것입니다. 하늘이 공(公)을 낳음은 풍운(風雲)의 좋은 기회를 준 것이니, 오직 덕과 공(功)은 삼한(三韓)이 힘입..

제문(祭文) 교감 김천조가 어머니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

제문(祭文) 교감 김천조가 어머니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爲金校勘天祚祭母文] 이곡(李穀) 부모가 자녀를 기를 때에 충효를 기대하였으니, 진실로 그 뜻을 잇지 못하면 누가 본연의 마음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생각하건대, 저의 이 조그만한 몸은 아들의 도를 지키지 못하였습니다. 아버지께..

잡저(雜著) 혐의를 받았을 때 취할 태도에 대한 해석[釋疑] -이곡(李穀)-

잡저(雜著) 혐의를 받았을 때 취할 태도에 대한 해석[釋疑] 이곡(李穀) 사람이 자기가 한 일이 없는 것을 가지고 의심한다면, 반드시 변명하는 것이 가하다. 그런데 혹 반드시 변명하지 않을 것이 있으니, 만약 성급하게 이것을 변명하려 하면, 저 사람의 의심이 더 심해진다. 그러므로 천천히 여유를 두..

서(序) 종형 헌납군에게 준 시의 서문[贈宗兄獻納君詩序] -이곡(李穀) -

서(序) 종형 헌납군에게 준 시의 서문[贈宗兄獻納君詩序] 우리 조상은 대대로 진양(晉陽)의 사족(士族)이었다. 진양은 삼한(三韓) 시대에는 진한(辰韓)에 예속되었고 삼국 시대에는 신라에 예속되었고 고려 시대에 가서 신라를 통합하였는데, 우리 좌사랑중(左司郞中) 공(公)이 현왕(顯王)의 조정에 공..

서(序) 송 양광도 안렴사 안시어시 서(送楊廣道按廉使安侍御詩序) -이곡(李穀) -

서(序) 송 양광도 안렴사 안시어시 서(送楊廣道按廉使安侍御詩序) 순흥 안씨가 대대로 죽계(竹溪)에서 살고 있었다. 죽계는 그 근원은 태백산(太白山)에서 나왔으므로, 산도 크고 물도 멀어 안씨의 흥왕(興旺)이 아마 한이 없을 모양이다. 근재(謹齋) 선생이 대정(大定) 갑자년에 천자의 조정에서 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