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碑銘) 대도 대흥현 중흥용천사비(大都大興縣重興龍泉寺碑) -이곡(李穀) - 비명(碑銘) 대도 대흥현 중흥용천사비(大都大興縣重興龍泉寺碑) 이곡(李穀) 지원(至元) 3년 4월 초하룻날, 전서사(典瑞使) 신당주(申當主)공이 나에게 말하기를, “요즈음 태황태후의 명령을 받들어 용천사(龍泉寺)의 불전(佛殿)을 중흥하고, 전지(田地)를 사서 시주하여 세입(歲入)을 거두어서 길이 불.. ▒ 가정선생글 ▒ 2007.02.14
행장(行狀) 유원 고아중대부 하남부 노총관 겸본로제군 여로총관 관내권농사 지하방사 증집현직학사 경거도위 고양후 시 정혜 한공 행장-이곡(李穀) - 행장(行狀) 유원 고아중대부 하남부 노총관 겸본로제군 여로총관 관내권농사 지하방사 증집현직학사 경거도위 고양후 시 정혜 한공 행장(有元故亞中大夫河南府路摠管兼本路諸軍與魯摠管管內勸農事知河防事贈集賢直學士輕車都尉高陽侯諡正惠韓公行狀) 이곡(李穀) 공의 이름은 영(永)이고, 자는 정.. ▒ 가정선생글 ▒ 2007.02.14
행장(行狀) 고려국 승봉랑 총부산랑 사 비어대 증삼중공광첨의정승 판전리사사 상호군 기공 행장-이곡(李穀)- 행장(行狀) 고려국 승봉랑 총부산랑 사 비어대 증삼중공광첨의정승 판전리사사 상호군 기공 행장(高麗國承奉郞摠部散郞賜緋魚袋贈三重公匡僉議政丞判典理司事上護軍奇公行狀) 이곡(李穀) 공의 휘는 자오(子敖)이고, 자도 자오(子敖)인데, 행주(幸州) 사람이다. 처음에는 집안의 공(功)으로 산원(散員.. ▒ 가정선생글 ▒ 2007.02.14
청사(靑詞) 소왕본명 초 청사(小王本名醮靑詞) -이곡(李穀)- 청사(靑詞) 소왕본명 초 청사(小王本名醮靑詞) 이곡(李穀) 초헌(初獻) 날이 육갑(六甲)을 한 바퀴 돌아오니, 소왕(小王)이 명을 받은 때를 당했습니다. 이에 한 마음의 정성을 다하여 상제에게 정성을 바치는 예식을 거행하온데, 마름과 수초ㆍ미나리는 될 만하오나 기장과 피쌀이 향기롭지 못합니다. .. ▒ 가정선생글 ▒ 2007.02.14
청사(靑詞) 근동지 갑자 초 청사(近冬至甲子醮靑詞) -이곡(李穀)- 청사(靑詞) 근동지 갑자 초 청사(近冬至甲子醮靑詞) 이곡(李穀) 갑자(甲子)로 때를 기(紀)하니, 이미 양(陽)이 생하는 절후(節候)에 가까웠고, 건원(乾元)이 이에 시작하여 더욱 하늘처럼 덮어 주시는 어지심을 밝히옵니다. 곧 밝게 이바지하는 정성을 다하와 조심하여 두루 이루어 주시는 은혜를 기대하.. ▒ 가정선생글 ▒ 2007.02.14
청사(靑詞)하원 초 청사(下院醮靑詞) -이곡(李穀) - 청사(靑詞) 하원 초 청사(下院醮靑詞) 이곡(李穀) 초헌(初獻) 진정(秦正)의 해 보름이 되니 때마침 아침은 하원(下元 10월15일)에 속한지라, 주료(周? 주 나라 술을 말함)를 부어 정성을 드려 감히 복을 부어 주시기 바라옵나이다. 보배로운 살피심을 드리우시어, 두텁게 순후한 복을 내려 주시기 바라나이..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제문(祭文) 남부마가 심왕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제문(祭文) 남부마가 심왕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爲男付馬祭瀋王文] 이곡(李穀) 생각하건대, 왕은 생존시에 언제나 예의를 지키셨도다. 옛날에 덕릉(德陵)1이 심왕(瀋王)을 사랑하고 양육을 매우 잘하여서 아들같이 여기고 조카라고 하지 않았으며, 먹던 밥과 음식을 주기도 하였고, 이리하여..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제문(祭文) 원재상이 그 양부 정승 이용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제문(祭文) 원재상이 그 양부 정승 이용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爲元宰相祭養父政丞利用文] 이곡(李穀) 묏부리 귀신이 장차 어진 이를 낳으려고 할 때는 반드시 좋은 때가 돌아오는 것입니다. 하늘이 공(公)을 낳음은 풍운(風雲)의 좋은 기회를 준 것이니, 오직 덕과 공(功)은 삼한(三韓)이 힘입..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제문(祭文) 교감 김천조가 어머니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 제문(祭文) 교감 김천조가 어머니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爲金校勘天祚祭母文] 이곡(李穀) 부모가 자녀를 기를 때에 충효를 기대하였으니, 진실로 그 뜻을 잇지 못하면 누가 본연의 마음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생각하건대, 저의 이 조그만한 몸은 아들의 도를 지키지 못하였습니다. 아버지께.. ▒ 가정선생글 ▒ 2007.02.14
잡저(雜著) 책제(策題)-이곡(李穀)- 잡저(雜著) 책제(策題) 이곡(李穀) 묻노라. 당우삼대(唐虞三代)의 법은 백왕들이 다 이 법을 절충하였고, 법 중에서는 또 형(刑)이 제일 큰 것이다. 우서(虞書)에 이르기를, “떳떳한 것을 형의 법칙으로 삼고, 귀양으로써 오형(五刑)을 완화해 주며, 채찍질로 관(官)의 형을 삼고, 종아리 치는 것으로 교(.. ▒ 가정선생글 ▒ 2007.02.14
잡저(雜著) 책제(策題) -이곡(李穀) - 잡저(雜著) 책제(策題) 이곡(李穀) 묻노라. 홍범팔정(洪範八政)에 식(食)이 제일 머리에 있고 화(貨)가 그 다음 간다. 대개 식은 백성에게 있어서는 하늘인데, 이른바 화는 무엇인가. 화를 전폐(錢幣)라고 이름한다면, 4대의 글에 그 이름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 태공(太公)이 구부환법(九府.. ▒ 가정선생글 ▒ 2007.02.14
잡저(雜著) 혐의를 받았을 때 취할 태도에 대한 해석[釋疑] -이곡(李穀)- 잡저(雜著) 혐의를 받았을 때 취할 태도에 대한 해석[釋疑] 이곡(李穀) 사람이 자기가 한 일이 없는 것을 가지고 의심한다면, 반드시 변명하는 것이 가하다. 그런데 혹 반드시 변명하지 않을 것이 있으니, 만약 성급하게 이것을 변명하려 하면, 저 사람의 의심이 더 심해진다. 그러므로 천천히 여유를 두.. ▒ 가정선생글 ▒ 2007.02.14
잡저(雜著) 석문(石問) -이곡(李穀) - 잡저(雜著) 석문(石問) 이곡(李穀) 객이 묻기를, “어떤 물건이 견고ㆍ불변해서, 천지와 함께 종식(終息)되는 것이 있는데 그대는 아는가.” 하기에, 나는, “천지의 정기가 쌓여 있고 만물이 아직 개화(開化)되지 않았으나, 오직 사람이 그 영장이며, 오랑캐와 새짐승은 이에 다음간다. 그리고 저 높은 .. ▒ 가정선생글 ▒ 2007.02.14
원(原) 원수한(原水旱) -이곡(李穀) - 원(原) 원수한(原水旱) 이곡(李穀) 홍수와 가뭄이 과연 하늘이 정한 운수[天數]인가, 과연 사람의 일[人事]인가. 요(堯)와 탕(湯)도 면하지 못하였으니 하늘이 정한 운수라 하겠고, 길흉의 징험이 있으니 사람의 일이라고도 할 것이다. 옛 사람은 인사를 닦아 천수에 응하기 때문에, 7, 9년의 재앙이 있어.. ▒ 가정선생글 ▒ 2007.02.14
발(跋) 발 복산 시권(跋福山詩卷-이곡(李穀)- 발(跋) 발 복산 시권(跋福山詩卷) 이곡(李穀) 식무외(式無外)는 시를 좋아하는 자이다. 일찍이 서울로 달려와서 공경(公卿)들 사이에서 시를 구하니, 현재 중서성(中書省)의 허(許)공과 한림(翰林) 사공(謝公) 등 조관의 지명인사가 모두 시를 지어준 바 있었다. 이로부터 진실로 시에 능하다는 소리만 있.. ▒ 가정선생글 ▒ 2007.02.14
발(跋) 제 근설 후(題勤說後) -이곡(李穀) - 발(跋) 제 근설 후(題勤說後) 이곡(李穀) 호(胡)군 중연(仲?)이 〈근설(勤說)〉을 지어 홍수겸(洪守謙)에게 주니, 군에게 계시하기를 충(忠)으로서 하고, 이어 권면하되, 천지 음양의 조화를 비롯하여, 왕공(王公) 사서(士庶)의 길과, 농공(農工) 상고(商賈)의 일에 이르고, 가르치고 배우는 설로서 마쳤는..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전(傳) 정씨가전(鄭氏家傳)-이곡(李穀)- 전(傳) 정씨가전(鄭氏家傳) 이곡(李穀) 정씨(鄭氏)는 서원(西原)의 큰 성(姓)이다. 족보에 실린 것으로는 별장(別將)인 이름을 극경(克卿)이라는 이가 있었는데, 극경은 증중랑장(贈中郞將)인 효문(孝聞)을 낳고, 중랑장이 조의대부 신호위 대장군(朝議大夫神虎衛大將軍)인 의(?)를 낳았는데, 처음의 이름..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전(傳) 백씨전(白氏傳) -이곡(李穀)- 전(傳) 백씨전(白氏傳) 이곡(李穀) 백씨(白氏)는 이름은 인(璘)인데, 서림(西林) 출신이며, 나의 어릴적 친구다. 나의 아버지 가정공(稼亭公)이 정해년의 공거에 고시관이 되었을 때 백씨가 을과(乙科)에 뽑혔으니 이것은 동문(同門)이었으며, 서림과 우리 한산(韓山)은 땅이 한데 맞닿았기 때문에 집이 ..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전(傳) 최씨전(崔氏傳) -이곡(李穀)- 전(傳) 최씨전(崔氏傳) 이곡(李穀) 신사년 십운과(十韻科)에 합격한 최림(崔霖)은 아버지의 이름이 성고(成固)인데 낭장이요, 어머니는 장씨(蔣氏)인데 모관 아무개의 딸이다. 최림은 술을 좋아하며 시를 읊고 절간에 다니며 놀기를 좋아 하는데, 술을 받아 주지 않는 자라면 거기를 떠나버린다. 한계(寒..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전(傳) 초계정현숙전(草溪鄭顯叔傳) -이곡(李穀)- 전(傳) 초계정현숙전(草溪鄭顯叔傳) 이곡(李穀) 초계(草溪)에 숨은 군자인 정상사(鄭上舍)라는 사람이 있는데, 나의 아버지인 가정공(稼亭公)과 같은 해에 진사시험에 합격하였다. 아들 중에 습인(習仁)이라는 이가 있는데, 자는 현숙(顯叔)이다. 나는 그의 안면을 안 지가 오래였지만 은근히 즐겁게 지.. ▒ 가정선생글 ▒ 2007.02.14
전(傳) 박씨전 朴氏傳 -이곡(李穀) - 전(傳) 박씨전 朴氏傳 이곡(李穀) 쾌헌(快軒) 김문정(金文正)공이 문장과 도덕으로 충렬왕ㆍ충선왕ㆍ충숙왕 때에 대신이 되어, 나라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에는 시귀(蓍龜)와 같았고, 나라의 교화를 협조하여 주석(柱石)이 되었다. 그런데도 집안의 규모가 더욱 엄하였다. 여러 아들이 과거에 올랐는.. ▒ 가정선생글 ▒ 2007.02.13
전(傳) 오동전(吳同傳) -이곡(李穡)- 전(傳) 오동전(吳同傳) 이곡(李穡) 태학생인 오동(吳同)은 키가 크고 약간 구부정하였다. 글씨를 잘 쓰며 문장도 잘 하였다. 경진년에 진사에 합격된 사람이다. 하루는 길에서 좌주(座主)인 김정당(金政堂)을 만났는데, 정당이 직접 꾸짖기를, “너는 어째서 글은 읽지 않고 이렇게 쫓아다니기만 하느냐... ▒ 가정선생글 ▒ 2007.02.13
전(傳) 송씨전(宋氏傳) -이곡(李穡)- 전(傳) 송씨전(宋氏傳) 이곡(李穡) 송씨(宋氏)는 중이 되어 이름을 성총(性聰)이라 한다. 그러나 절에서 거처하지 아니하고, 호천사(昊天寺)의 동산교(東傘橋) 남쪽에 있는 근수루(近水樓) 두 칸에 살면서 날마다 그 안에서 노래하고 시를 읊으며 지냈다. 돈이 생기면 곧 술을 사고 안주를 사들이며 조금.. ▒ 가정선생글 ▒ 2007.02.13
차 마 설(借馬說)-이곡(李穀) - 차 마 설(借馬說) 이곡(李穀) 내가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으므로 혹 빌려서 타는데, 여위고 둔하여 걸음이 느린 말이면 비록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채찍질을 가하지 못하고 조심조심하여 곧 넘어질 것같이 여기다가, 개울이나 구렁을 만나면 곧 내려 걸어가므로 후회하는 일이 적었다. 발이 높고 귀가 .. ▒ 가정선생글 ▒ 2007.02.10
전(傳) 죽부인전(竹夫人傳) -이곡(李穀) - 전(傳) 죽부인전(竹夫人傳) 이곡(李穀) 부인의 성은 죽(竹)이요, 이름은 빙(憑)이니, 위빈(渭濱) 사람 운(?)의 딸이다. 족계(族系)가 창랑(蒼?)씨에서 났는데, 그 조상이 음률을 알아 황제(皇帝)가 뽑아서 악(樂)을 맡아보게 하였으니, 우(虞) 나라의 소(簫)가 역시 그의 후손이다. 창랑(蒼?)이 곤륜산 남쪽으.. ▒ 가정선생글 ▒ 2007.02.10
전(傳) 절부조씨전(節婦曹氏傳) -이곡(李穀) - 전(傳) 절부조씨전(節婦曹氏傳) 이곡(李穀) 절부(節婦) 조씨(曹氏)는 수령현(遂寧縣) 사람이다. 지원(至元) 경오 5월 26일에 충경왕이 강화에서 송도로 환도 했는데, 이때에 장군인 홍문계(洪文系) 등이 나라 일을 그르친 권신을 베어 죽이고 왕권을 돌려 드렸다. 6월 초하루에 권력을 잡았던 신하의 사병(.. ▒ 가정선생글 ▒ 2007.02.10
논(論) 조포 충효론(趙苞忠孝論) -이곡(李穀) - 논(論) 조포 충효론(趙苞忠孝論) 이곡(李穀) 임금과 어버지에 대해 과연 선후를 따질 수 있겠는가. 이에 대하여 성인이 벌써 말한 바가 있다. 충성과 효도는 과연 근본과 끝이 없는가. 이에 대하여는 내가 변론하지 않을 수 없다. 공자는 《주역》을 서술하면서 이르기를, “하늘과 땅이 있는 뒤에 만물.. ▒ 가정선생글 ▒ 2007.02.10
설(說) 배갱설(杯羹說)-이곡(李穀)- 설(說) 배갱설(杯羹說) 이곡(李穀) 하늘의 운명이란 지혜로 구할 수 없으며 백성의 마음은 힘으로 얻지 못한다. 3대(代)가 혁명할 때에는 모두 공덕을 쌓았기 때문에 하늘이 그에게 명을 내렸고 백성이 그에게 마음을 돌렸다. 그러므로 싸움을 하지 않을지언정 싸우기만하면 반드시 한 번에 이를 차지하.. ▒ 가정선생글 ▒ 2007.02.10
서(序) 종형 헌납군에게 준 시의 서문[贈宗兄獻納君詩序] -이곡(李穀) - 서(序) 종형 헌납군에게 준 시의 서문[贈宗兄獻納君詩序] 우리 조상은 대대로 진양(晉陽)의 사족(士族)이었다. 진양은 삼한(三韓) 시대에는 진한(辰韓)에 예속되었고 삼국 시대에는 신라에 예속되었고 고려 시대에 가서 신라를 통합하였는데, 우리 좌사랑중(左司郞中) 공(公)이 현왕(顯王)의 조정에 공.. ▒ 가정선생글 ▒ 2007.02.10
서(序) 송 양광도 안렴사 안시어시 서(送楊廣道按廉使安侍御詩序) -이곡(李穀) - 서(序) 송 양광도 안렴사 안시어시 서(送楊廣道按廉使安侍御詩序) 순흥 안씨가 대대로 죽계(竹溪)에서 살고 있었다. 죽계는 그 근원은 태백산(太白山)에서 나왔으므로, 산도 크고 물도 멀어 안씨의 흥왕(興旺)이 아마 한이 없을 모양이다. 근재(謹齋) 선생이 대정(大定) 갑자년에 천자의 조정에서 응시(.. ▒ 가정선생글 ▒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