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靑詞)
근동지 갑자 초 청사(近冬至甲子醮靑詞)
이곡(李穀)
갑자(甲子)로 때를 기(紀)하니, 이미 양(陽)이 생하는 절후(節候)에 가까웠고, 건원(乾元)이 이에 시작하여 더욱 하늘처럼 덮어 주시는 어지심을 밝히옵니다. 곧 밝게 이바지하는 정성을 다하와 조심하여 두루 이루어 주시는 은혜를 기대하옵니다. 생각하옵건대, 조종께서 구축해 놓은 대업을 받아 외람하게도 임금에 봉함을 받았습니다. 수해와 가뭄이 상도를 잃음도 덕이 적음으로 말미암았사오나, 세시(歲時)가 바뀜이 없게 하심은 오직 음덕으로 붙들어 주심입니다. 이제 좋은 때를 맞이하여 엄숙하게 식에 따라 제사를 베푸오니, 높은 신령께서 하강하시와 모든 복이 다 이르게하여, 풍우가 순조로와 열흘에 하루 비오고 닷세 한번 바람불도록 하옵고, 순박한 풍습이 오늘 회복되게 하시고, 3년 동안에 1년만 밭갈아도 먹을 수 있게 하고, 남은 곡식이 그 전해보다 도 더 많게 하여 주기 바라나이다.
[주B-001]청사(靑詞) : 도교(道敎)의 제사에 쓰는 문체와 문장을 말한다. 청등지(靑藤紙)라는 청지에 주자(朱字)로 쓰기 때문에 청사라고 한다.
'▒ 가정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장(行狀) 고려국 승봉랑 총부산랑 사 비어대 증삼중공광첨의정승 판전리사사 상호군 기공 행장-이곡(李穀)- (0) | 2007.02.14 |
---|---|
청사(靑詞) 소왕본명 초 청사(小王本名醮靑詞) -이곡(李穀)- (0) | 2007.02.14 |
청사(靑詞)하원 초 청사(下院醮靑詞) -이곡(李穀) - (0) | 2007.02.14 |
제문(祭文) 남부마가 심왕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0) | 2007.02.14 |
제문(祭文) 원재상이 그 양부 정승 이용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0) | 200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