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靑詞)
소왕본명 초 청사(小王本名醮靑詞)
이곡(李穀)
초헌(初獻)
날이 육갑(六甲)을 한 바퀴 돌아오니, 소왕(小王)이 명을 받은 때를 당했습니다. 이에 한 마음의 정성을 다하여 상제에게 정성을 바치는 예식을 거행하온데, 마름과 수초ㆍ미나리는 될 만하오나 기장과 피쌀이 향기롭지 못합니다.
아헌(亞獻)
보아도 보이지 아니하니 누가 만물을 만들어 내는 공을 아오리까. 마침내 느낌이 통하여 능히 아래로 비춰 주시는 은혜를 빌어 주시옵니다. 감히 밝게 고(告)함을 사뢰오니 오시어 밝게 제사받으심을 바라나이다.
삼헌(三獻)
하늘은 특별히 친한 사람이 없어 덕 있는 사람을 돕는 것이니 천명이 쉽지 아니하옵고, 아비는 자식에 대해 은혜를 위주하는 것인데 마음으로 사랑하기 때문이옵니다. 간절히 생각하건대, 원사(元嗣)가 그 동안 대업을 이어받아서, 비록 겸손하고 사양하는 정으로 묵묵히 공손히 있었으나, 근심하는 생각이 도리어 화함을 손상하지 않을까 염려되옵니다. 이제 원신(元辰)을 가려 특별히 깨끗한 초례를 베푸오니, 한번 가벼이 왕림하시어 올리는 술잔을 흠향하옵시고, 그 마음과 정성을 간직하여 잘 화하여 효도하게 하시고, 부자 되고 수하여 길이 아름답게 되도록 하여 주시기 바라나이다.
[주B-001]청사(靑詞) : 도교(道敎)의 제사에 쓰는 문체와 문장을 말한다. 청등지(靑藤紙)라는 청지에 주자(朱字)로 쓰기 때문에 청사라고 한다.
'▒ 가정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장(行狀) 유원 고아중대부 하남부 노총관 겸본로제군 여로총관 관내권농사 지하방사 증집현직학사 경거도위 고양후 시 정혜 한공 행장-이곡(李穀) - (0) | 2007.02.14 |
---|---|
행장(行狀) 고려국 승봉랑 총부산랑 사 비어대 증삼중공광첨의정승 판전리사사 상호군 기공 행장-이곡(李穀)- (0) | 2007.02.14 |
청사(靑詞) 근동지 갑자 초 청사(近冬至甲子醮靑詞) -이곡(李穀)- (0) | 2007.02.14 |
청사(靑詞)하원 초 청사(下院醮靑詞) -이곡(李穀) - (0) | 2007.02.14 |
제문(祭文) 남부마가 심왕에게 제사지내는 글을 대신 지음-이곡(李穀)- (0) | 200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