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마 설(借馬說)
이곡(李穀)
내가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으므로 혹 빌려서 타는데, 여위고 둔하여 걸음이 느린 말이면 비록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채찍질을 가하지 못하고 조심조심하여 곧 넘어질 것같이 여기다가, 개울이나 구렁을 만나면 곧 내려 걸어가므로 후회하는 일이 적었다. 발이 높고 귀가 날카로운 준마로서 잘 달리는 말에 올라타면 의기양양하게 마음대로 채찍질하여 고삐를 놓으면 언덕과 골짜기가 평지처럼 보이니 심히 장쾌하였다. 그러나 어떤 때에는 위태로워서 떨어지는 근심을 면치 못하였다.
아! 사람의 마음이 옮겨지고 바뀌는 것이 이와 같을까? 남의 물건을 빌려서 하루 아침 소용에 대비하는 것도 이와 같거든, 하물며 참으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이랴.
그러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어느 것이나 빌리지 아니한 것이 없다. 임금은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높고 부귀한 자리를 가졌고, 신하는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 은총과 귀함을 누리며, 아들은 아비로부터, 지어미는 지아비로부터, 비복(婢僕)은 상전으로부터 힘과 권세를 빌려서 가지고 있다.
그 빌린 바가 또한 깊고 많아서 대개는 자기 소유로 하고 끝내 반성할 줄 모르고 있으니, 어찌 미혹(迷惑)한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다가도 혹 잠깐 사이에 그 빌린 것이 도로 돌아가게 되면, 만방(萬邦)의 임금도 외톨이가 되고, 백승(百乘)을 가졌던 집도 외로운 신하가 되니, 하물며 그보다 더 미약한 자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맹자가 일컫기를 “남의 것을 오랫동안 빌려 쓰고 있으면서 돌려주지 아니하면, 어찌 그것이 자기의 소유가 아닌 줄 알겠는가?” 하였다.
내가 여기에 느낀 바가 있어서 차마설을 지어 그 뜻을 넓히노라.
(가정집(稼亭集)
이해 및 감상
이 글은 말을 빌려 타는 일상의 사소한 체험에서 삶의 이치(자세)를 깨닫는 내용의 작품이다. 차마(借馬)로부터 인간의 소유의 문제에 이른 지은이의 상상과 유추의 과정, 그리고 그 속에 담긴 교훈적 의미를 깨닫는 데에 이 글을 읽는 가치가 있다. 말을 빌려 타는 일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되었지만,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삶의 자세에 대한 보편적인 깨달음이 되는 것이다. 곧,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은 빌리지 않은 것이 없는데도 사람들은 빌린 것을 자기 소유로 알고 반성할 줄 모르니 미혹한 일이 아닐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은, 유형이든 무형이든 간에 모두 빌린 것이기에, 쓸데없는 소유욕을 버리고 겸손한 삶의 자세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요점 정리
지은이 : 이곡(1298~1351) 고려 충숙왕 때의 학자. 이색의 아버지. 문집으로 ‘가정집’이 전하며, 그가 쓴 가전체(假傳體) 작품인 <죽부인전(竹夫人傳)>은 ‘동문선’과 그의 문집 ‘가정집’에 실려 전한다.
갈래 : 설(說), 중수필, 교훈적 수필
성격 : 교훈적, 계세적(戒世的)
문체 : 역어체, 만연체
표현 ① 유추의 방법을 통해 개인적 체험을 인간의 보편적 사실로 일반화함
② 대조적 예시를 통해 주제를 부각시키고, 구체적 예의 나열로 생각을 뒷받침하고 있음.
③ 영탄법과 설의법을 통해 의미를 강조함
④ 성인의 ‘경구’를 인용하여 자신의 생각에 대한 신뢰감을 주려고 함.
⑤ 일상의 사소한 일에 교훈적 의미를 덧붙이는 작가의 개성이 돋보임.
주제 : 소유에 대한 올바른 관념과 태도(무소유, 욕심을 버려라)
짜임(구성)
⑴ 서두 : 체험의 제시 → 빌려 타는 말의 좋고 나쁨에 따라 사람의 마음가짐이 달라짐
⑵ 결말 : 보편적 깨달음 → 삶의 자세(소유)에 대한 깨달음
창작 동기 : 인간의 그릇된 소유관념을 경계하기 위하여
항상심(恒常心)이 없는 것을 경계하고 나무라는 뜻에서.
설(說)이란 ?
한문학 양식의 한 갈래로서, 사물의 이치를 풀이하고(解), 시비를 따져가면서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펴는(術)것이니, 논(論)보다는 평이하며 상세하게 해설해서, 이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다. 사물 또는 사건(사실, 개별적 체험)의 뜻과 이치를 해석하고 자신의 의견(깨우침, 교훈)을 서술하는 것으로, 우의적(비유적)이고 교훈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설(說)은 일반적으로 “사실 + 의견(해석, 깨달음)”의 2단 구성을 취하게 된다. 즉, “전제 + 결론”, “사실제시 + 의미부여”, “개인적 체험 + 그 체험에 따른 보편화 및 깨달음” 등의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2단 구성은 전후 화제간의 관계를 분명히 보여줌으로써 주제를 분명히 드러내주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3단구성이 글의 논리성과 완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반면에, 2단 구성은 사실로부터 의견(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이 직관적 통찰에 의해 바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깨우침을 전달하기에 적절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 중국 : 한유 <사설(師說)>, 주돈이 <애련설(愛戀說)>
㉡ 고려 : 이규보 <경설(鏡說)>, <슬견설(虱犬說)>, <이옥설(理屋說)>
㉢ 조선 : 강희맹 <훈자오설(訓子五說)>
유추란 ?
유추는 두 개의 사물이 여러 점에서 서로 매우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한 쪽 사실에만 경험된 것이 다른 쪽의 사실에 있어서도 역시 같을 것이라고 추정해 나가는 넓은 의미의 간접 추론 방법이다. 유추는 잘 아는 대상을 미루어 거의 모르는 대상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으로, 둘 이상의 사항 사이의 공통점은 유추의 필수적인 요건이다. 그런데 그 공통점은 사실로서가 아니라 비유로 인정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유추가 수사법의 하나가 된다. '메밀꽃 필 무렵'에서 나귀의 모습을 통해 허생원의 삶을 보여주는 것도 일종의 유추의 방법으로서, 나귀와 허생원의 정서적 융합에 큰 효과가 있다.
'▒ 가정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傳) 오동전(吳同傳) -이곡(李穡)- (0) | 2007.02.13 |
---|---|
전(傳) 송씨전(宋氏傳) -이곡(李穡)- (0) | 2007.02.13 |
전(傳) 죽부인전(竹夫人傳) -이곡(李穀) - (0) | 2007.02.10 |
전(傳) 절부조씨전(節婦曹氏傳) -이곡(李穀) - (0) | 2007.02.10 |
논(論) 조포 충효론(趙苞忠孝論) -이곡(李穀) - (0) | 2007.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