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생 경석 에게 주다[與吳生 慶錫][3] 오생 경석 에게 주다[與吳生 慶錫][3] 멀지 않은 망창(莽蒼)의 사이에 사흘을 두고 재량하여 이와 같이 적막한 땅에서 간신히 하인 하나를 분주하고 번화로운 장소로 보냈었는데 마침내 허탕을 치고 돌아왔네그려. 늙은 자의 성질 급함이 소년보다 더하여 용맹을 떨치고 곧장 나아가 또 이 일력(一力)을..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생 경석 에게 주다[與吳生 慶錫][2] 오생 경석 에게 주다[與吳生 慶錫][2] 국화철이 또 저물어가니 머리 위 도환(跳丸)이 나는 듯이 달아남을 깨달았을 따름이었는데 바로 보내온 편지를 받고 또 시물(時物)을 느끼고 보니 미인의 지모(遲暮)의 생각이 어찌 아득히 혼을 녹이네그려. 고비(古碑)는 단지 원주(原州) 흥법사(興法寺) 반절(半折)..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생 경석 에게 주다[與吳生 慶錫][1] 오생 경석 에게 주다[與吳生 慶錫][1] 그대와 더불어 겨우 두세 번 만났지만 그 손가락은 봄바람을 튕기고 그 입은 꽃다운 향기를 뱉어냄을 보고서 마음속으로 이상히 여겼는데 곧 서찰을 받아보니 문채(文采)와 사화(詞華)가 또 이와 같이 넉넉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었네. 주문세가(朱門世家)의 모든 .. ▒ 완당김정희 ▒ 2007.03.09
김동리 경연 에게 주다[與金東籬 敬淵][3] 김동리 경연 에게 주다[與金東籬 敬淵][3] 물어 온 《상서》 금문에 대하여 질(秩)은 질(豑)로 되고 광(光)은 광(桄)으로 되고 치홀(治忽)은 칠시영(七始詠)으로 되어 창졸간에는 그 수를 다 셀 수도 없으니 이는 실로 학자가 마땅히 옛것에 넓어야 할 것이며 또한 옛것에 얽매이기를 설상주(.. ▒ 완당김정희 ▒ 2007.03.09
김동리 경연 에게 주다[與金東籬 敬淵][2] 김동리 경연 에게 주다[與金東籬 敬淵][2] 일전에 서로 말한 묘제(廟制)의 설에 대해서는 미진한 것이 있으니 환궁(桓宮) 희궁(僖宮) 같은 것은 차치하고라도 "양공(襄公) 육년에 제후(齊侯)가 내(萊)를 멸하고 내의 종기(宗器)를 양궁(襄宮 제양(齊襄)의 묘(廟))에 들이다."라는 대문을 들어 고증한다면 묘.. ▒ 완당김정희 ▒ 2007.03.09
김동리 경연 에게 주다[與金東籬 敬淵][1] 김동리 경연 에게 주다[與金東籬 敬淵][1] 그끄제 선세 기고(忌故)가 있어 종가에 갔다가 비에 막혀 돌아오지 못하고 어제 늦게야 비로소 돌아오니 혜서가 놓여 있어 놀랍고도 섭섭했소. 아침에 답을 올리려 했는데 하인이 진 길을 걸어 거듭 와 소식을 주니 너무도 불민함을 느끼겠소. 더구나 추습(湫.. ▒ 완당김정희 ▒ 2007.03.09
정유산 학연 에게 주다[與丁酉山 學淵] 정유산 학연 에게 주다[與丁酉山 學淵] 누른 암꿩이 숫놈으로 변하고 벙어리 종(鐘)도 다시 울고 몇 생을 닦고 닦아서야 매화의 골격에 이르렀다오. 사당에 배알할 포홀(袍笏)은 바로 계족산(鷄足山) 중에 있는 하나의 금란가사(金襴袈裟)로서 필경에는 미륵(彌勒)이 세상에 나와 사용하길 기다..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7]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7] 사기(槎期)가 박두함에 따라 모든 준비는 이미 빠짐없이 갖추어지고 희신(喜神)과 길성(吉星)도 따라서 조림(照臨)하리라 믿소. 빌고 비외다. 졸서(拙書)는 그 사이에 신부를 맞이함으로 인하여 여러 날 분망하게 지냈고 또 날씨가 찼다 다숩다 하는 통에..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6]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6] 세한시(歲寒詩) 중에 나타난 조궁첨 진조(趙宮詹振祚)는 과시 어느 정도의 인물이던가? 능히 그의 깊고 옅음을 파악했는가? 시의 장소 술의 자리에 덧없이 노닐며 세월 보내는 것이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던가? 이 사람은 신수(申受) 선생의 생질이 되는 사람..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5]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5] 거년에 대운(大雲)·만학(晩學) 두 종의 서(書)를 부쳐 왔고 금년에는 또 우경문편(藕耕文編)을 부쳐 왔는데 이는 다 세상에 항상 있는 것이 아니고 머나먼 천만리 밖에서 여러 해를 걸려 구득(購得)한 것이며 한때의 일이 아님에 있어서리오. 더구나 온 세상의 ..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4]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4] 적도(赤道)가 반듯해지자 비로소 봄 뜻이 무르익음을 깨닫겠구려. 문을 열고 바라보니 마을 버들은 하늘거리고 청계(淸溪) 관악(冠岳) 두 골짝의 산 기운도 또한 노인에게 거슬림을 주지 않으니 말이오. 번풍(番風)이 계속 불어 오는데 기거가 평안한지요. 생각..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3]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3] 동으로 돌아온 것은 가위 매달린 벼랑에서 활개를 친 격[懸厓撒手]인데 어찌 개운치 못하게 어물어물 그대로 놓아둘 줄이야 알았겠소. 끝맺음이 어찌 되겠소? 깊고 중함이나 없겠소? 생각만 해도 두려웁구려. 눈 하늘이 몹시도 찬데 동정이 편안한지 구구한 염..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2]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2] 살아서 옥문(玉門)에 들어오니 역시 살아서 그대와 더불어 만나 보게 되는구려. 추위가 몹시 극성스러운데 온 집안이 다복하신지요. 계방(季方)이 중국에 간다고 들었는데 전날부터 부탁해 오던 오중륜(吳仲倫) 이름은 덕선(德旋)의 문집은 나를 대신하여 구득..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1] 이우선 상적 에게 주다[與李藕船 尙迪][1] 오늘은 어제와 같은데 어찌하여 금년은 작년과 다르지요? 해는 다름이 없는데 사람이 스스로 달리 여기는 것인지요. 파익(波匿)의 추백(皺白)을 뉘와 더불어 당해내며 해 바뀐 뒤 추위는 더욱 심하니 이는 노인이 쇄박하여 능히 저당을 못하는 건가요. 묵은 병.. ▒ 완당김정희 ▒ 2007.03.09
홍소화 낙유 에게 주다[與洪小華 樂有] 홍소화 낙유 에게 주다[與洪小華 樂有] 가는 곳마다 만나서 소회를 편 것은 이야말로 우연이라 더욱더 아름답게 여겨지네. 이는 바로 천연(天緣)이요, 인합(人合)으로는 능히 판별할 바가 아니지 않은가. 새벽에 일어나 눈 내리는 소리를 들으매 정 가는 곳이 멀지 않더니 거듭 지함(芝緘)을 펴 보니 색.. ▒ 완당김정희 ▒ 2007.03.09
황생 상 에게 주다[與黃生 裳] 황생 상 에게 주다[與黃生 裳] 온갖 나무가 파릇파릇하여 모두 봄의 뜻을 자랑하고 예전의 제비도 새로워 둥지를 치는데 바로 곧 먼 서한을 받으니 어찌 신이 날고 안색이 기쁘지 않으리오. 더구나 그 가슴속의 발울(勃鬱)한 기운은 누각의 구름과도 같고 거마의 일산과도 같아서 천리의 밖에서도 한 .. ▒ 완당김정희 ▒ 2007.03.09
유절단에게 답하다[答柳節端] 유절단에게 답하다[答柳節端] 전자의 사서(謝書)는 지체되거나 착오됨이 없이 바로 곧 수납하였고 현재 또 진필(珍畢)을 보내주어 성문(聲聞)이 서로 계속되니 혜화도방(蕙華都房)의 느낌은 때를 대해 서글퍼지기만 하네. 요즈음 신상은 날로 아름다우며 남방의 순찰에는 수행을 하지 아니하는가? 궁.. ▒ 완당김정희 ▒ 2007.03.09
강추금 호 에게 주다[與姜秋琴 浩][3] 강추금 호 에게 주다[與姜秋琴 浩][3] 어떤 것이 바로 "하늘이 검고 땅이 누른 천지현황(天地玄黃)입니까? 제자가 눈먼 소경이 아니온데, 어찌하여 능히 그 색을 분변 못하는 것입니까?지난번에 올린 "예 아니면 보지 말라."에 대한 설은, 과연 그럴 만한 까닭이 있어 터져나왔던 것이니, 대개 이청전(李.. ▒ 완당김정희 ▒ 2007.03.09
강추금 호 에게 주다[與姜秋琴 浩][2] 강추금 호 에게 주다[與姜秋琴 浩][2]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고,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 하였는데, 어찌 하는 것이 예입니까? 마는 것이 바로 예라면, 보지 말면 예가 되고 보면 예가 아닐 것이니, 보고 보지 말고 하는 사이가 눈 한 번 움직이는 찰.. ▒ 완당김정희 ▒ 2007.03.09
강추금 호 에게 주다[與姜秋琴 浩][1] 강추금 호 에게 주다[與姜秋琴 浩][1] 자기(慈屺 강호의 일호임)군! 객중에 편안한가? 여러분들 모인 저녁에 무슨 좋은 일이 구름처럼 뭉게뭉게 일었으며, 무슨 아름다운 말이 깨 쏟아지듯 이어이어 끊임없었으며, 무슨 연꽃을 모아 바지를 만들고, 흰 깁을 꿰매어 갖옷을 만들었으며, 무슨 총채..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8]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8] 비오고 더웁곤 하는 것은 바로 해마다 있는 일인데 늘 처음 겪는 것만 같네그려. 보리치는 마당이나 버들 우거진 골목도 어디나 다 더운 곳이요 삿갓 쓰고 베잠뱅이 차림도 모두가 더위붙이요, 한문(寒門)·대두(戴斗)의 땅도 마침내 이와 같으며 일하(日下)와 천남(天南)..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7]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7] 수선화를 홀로 대하니 아름다운 선비가 몹시 생각났는데 곧바로 값진 서한을 받으니 신의 어울림이 있는 듯하네. 하물며 눈내리는 추위에 문기(文祺)가 평안하시다니 마음이 흐뭇하구려. 고죽(古竹)은 과시 진기한 물건이로세. 그대의 후한 선물이 아니면 어떻게 얻어 ..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6]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6] 이별 뒤에 곰곰이 생각하니 머리를 마주대기란 쉽지 않은 일이라 더욱더 아득한 생각만 났었네. 바로 곧 값진 서한을 받고보니 기쁘고 흐뭇하여 전자의 만났던 인연을 이을 만하구려. 동지가 지난 뒤로 따습고 차가움이 고르지 못한데 문기(文祺)가 편안하시다니 축하하..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5]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5] 연달아 혜서를 받드니 형(形)은 막혀도 신(神)은 가깝구려. 더구나 봄이 무르익는데 체력이 날로 편안하다니 바라고 빌던 바이로세. 누인은 예와 같은 초췌한 몸이라 더 말할 게 없네. 보여준 별지는 마음을 쏟음이 이와 같이 정중하니 감격하여 견디지 못하겠네. 다만 실..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4]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4] 생공(生公)이 설법하자 뭇 돌이 고개를 끄덕였다는데 이곳의 돌은 그 불성(佛性)이 없는건가. 다만 설법하는 것이 생공과 같지 못한 때문이겠지요. 그대를 만남으로부터 인합(印合)의 반가움을 얻게 되니 이는 또 한산(寒山)의 한 조각이로세. 이곳 사람들이 의당 그대를 ..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3]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3] 매양 수레축을 뽑아 우물에 던지거나 신발을 숨겨두지도 못하고 또 날선 가위로 얽히고설킨 것을 깨끗이 잘라버리지도 못하고서 작별 후의 괴로운 경지만을 만드니 마음이 모질지 못한 탓이라 도리어 우습기만 하네. 바로 곧 윤생(尹生)이 찾아옴으로 해서 값진 서한을 ..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2]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2] 수함(手椷)이 접속하여 이르러오니 매우 흐뭇하외다. 요즘도 편안한지요. 《본초(本草)》는 부쳐 보내거니와 이 섬이 생기고 세 성이 나온 이래로 처음 있는 홍보(鴻寶)로서 어버이를 섬길 수 있고 사람을 구제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니 영원히 비장(&.. ▒ 완당김정희 ▒ 2007.03.09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1] 오 진사에게 주다[與吳進士][1] 연달아 수함(手椷)을 받으니 매우 흐뭇하네. 또 이처럼 봄이 다 가고 녹음은 날로 두터워지는데 객지 신상이 다시금 어떠한가 생각이 간절하네. 다만 행사(行事)에 있어서는 뒤로 물리칠 생각을 갖는다니 진실로 뜬 구름은 자취가 없어서 잡아매기 어렵다는 것은 .. ▒ 완당김정희 ▒ 2007.03.09
이 농장인 재규 에게 주다[與李農丈人 在奎] 이 농장인 재규 에게 주다[與李農丈人 在奎] 단산(丹山)이라 벽수(碧水)라 옛비 이젯구름에 바라보고 쳐다보길 삼십여 년이었소. 신선에 비열(比列)하는 유가(儒家)로서 의당 구름처럼 유연하고 솔처럼 청고하여 세상에 머물러 긴 수명을 누리며 반드시 날리는 다붓과 흐르는 마름이 표류하고 전전하.. ▒ 완당김정희 ▒ 2007.03.09
장 병사 인식 에게 주다[與張兵使 寅植][20] 장 병사 인식 에게 주다[與張兵使 寅植][20] 겨우 안부를 부친 일이 있었는데 이윽고 혜서를 받드니 침개(鍼芥)의 서로 응함이 우연은 아닌 듯하외다. 서녘 바람이 다순 기운을 돌리어 주는데 영감 신상의 묵은 병이 아직도 쾌유를 못 보셨다니 염려됨이 실로 많구려. 다시 원습의 사이에 나가 우울을 풀.. ▒ 완당김정희 ▒ 200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