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은 이색 선생의 친필시 (고석의 깊은 골) 孤石深洞 平野行將盡。 回峯望更高。 一區幽僻處。 梵刹本來孤。 고석심동(孤石深洞) 평평한 들판이 장차 다하려는데, 회봉(回峯) 바라보니 다시금 높구나. 한 구역 궁벽한 곳에, 절간이란 본래 외롭네. -牧隱詩藁卷之三 韓山八詠- ▒ 목은자료실 ▒ 2007.02.03
목은 이색 선생의 친필시 (일광 석벽) 日光石壁 崔嵬揷平野。 縹緲俯長天。 翠壁僧窓小。 佛燈空半懸。 일광석벽(日光石壁) 우뚝히 평야에 서서, 저 까마득히 긴 하늘 굽어보네. 푸른 석벽 작은 승방(僧房)에, 불등(佛燈)이 반공(半空)에 걸렸네. -牧隱詩藁卷之三 韓山八詠- ▒ 목은자료실 ▒ 2007.02.03
목은 이색 선생의 친필시 (숭정산 바위 위의 소나무) 崇井巖松 峯頭蒼石聳。 松頂白雲連。 羅漢堂寥闃。 居僧雜敎禪。 숭정암송(崇井巖松) 봉우리 위엔 푸른 돌 솟아났고, 소나무 이마 언저리엔 흰구름 연하였네. 나한당(羅漢堂) 적적도 한데, 거주하는 중들은 교와 선이 섞였네. -牧隱詩藁卷之三 韓山八詠- ▒ 목은자료실 ▒ 2007.02.03
목은 이색이 지은 <보제존자진당시병서>에 의하면 창건과 사찰명의 유래 예로부터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신륵사는 신라 진 평왕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어느 날 원효대사의 꿈에 흰 옷을 입은 노인이 나타나 지금의 절터에 있던 연못을 가리키며 신성한 가람이 설 곳이 라고 일러준 후 사라지니,그 말에 따라 연못을 메워 절 을 지으.. ▒ 목은자료실 ▒ 2007.02.03
목은 이색 선생의 친필시(浮碧樓 부벽루 ) 牧隱先生의 親筆詩 浮碧樓 부벽루 李穡 이색 1328~1396 昨過永明寺 작과영명사 어제 영명사를 찾아 갔다가 暫登浮碧樓 잠등부벽루 잠시 부벽루에 올랐네 城空月一片 성공월일편 성은 텅 비어 있고, 달 한 조각 떠 있고 石老雲千秋 석로운천추 바위는 늙어 천 년 두고 구름이 흐르네 麟馬去不返 기마거불.. ▒ 목은자료실 ▒ 2007.02.03
목은 이색 선생과 매화 고려시대의 대 정치가요, 문장가이며, 학자였던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은, 저물어가는 고려를 매화를 통해 이렇게 읊었다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흘에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가?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고려의 국운(백설)이 다 기울어져 간 곳에 간신(구름)들이.. ▒ 목은자료실 ▒ 2007.02.03
목은 이색 선생과 이야기들 수목을 분(盆)에 심어 가꾸고 즐기는 일. 분재는 분에 심은 수목의 줄기·가지 등을 다듬고, 수형을 인위적으로 변형시켜 자연 경관의 축소판을 연출하는 데에 그 묘미가 있다. 따라서 단순히 식물체 본래의 모양·색조 등을 직접 관상하는 분식(盆植)과는 달리, 작은 분속에 노수거목의 모습이나 산야.. ▒ 목은자료실 ▒ 2007.02.03
목은 이색(李穡)선생과 성리학 성리학이란 1. 성리학의 수용 고려 후기에는 신진사대부들에 의하여 새로운 유학인 성리학의 수용을 보게 되었다. 권문세가의 횡포와 불교의 폐해는 신진사대부로 하여금 새로운 지도 이념을 추구하게 하였는데, 때마침 원나라로부터 들어온 성리학은 그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성리학은 우주의 .. ▒ 목은자료실 ▒ 2007.02.02
인천안목(人天眼目) (이색(李穡)선생의 서(序) 종 목 보물 제640호 명 칭 인천안목(人天眼目)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간본 수량/면적 3책 지 정 일 1978.12.07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강태영 관 리 자 강태영 설 명 송나라 승려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 5개 종파의 기본사상과 창시자들의 행적을 요약하여 정리한 내용을 .. ▒ 목은자료실 ▒ 2007.02.02
인천안목(人天眼目)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1094호 명 칭 인천안목(人天眼目)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3권1책 지 정 일 1991.09.30 소 재 지 서울 종로구 (삼성출판박물관) 시 대 소 유 자 김종규 관 리 자 김종규 설 명 송나라 승려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의 5개 종파의 기본사상과 창시자들의 행적을 요약하여 .. ▒ 목은자료실 ▒ 2007.02.02
장승법수(藏乘法數)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703호 명 칭 장승법수(藏乘法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이건희 관 리 자 호암미술관 설 명 법수는 일종의 사전을 가리키는 말이며, 이 책은 불교에 관한 책 전체를 모아서 기록.. ▒ 목은자료실 ▒ 2007.02.02
장승법수(藏乘法數)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704호 명 칭 장승법수(藏乘法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조병순 관 리 자 조병순 설 명 법수는 일종의 사전을 가리키는 말이며, 이 책은 불교에 관한 책 전체를 모아서 기록한 대장경에 수록된 .. ▒ 목은자료실 ▒ 2007.02.02
급암선생시집(及菴先生詩集)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708호 명 칭 급암선생시집(及菴先生詩集)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관판본 수량/면적 5권1책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조병순 관 리 자 조병순 설 명 『급암시집(及菴詩集)』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민사평(1295∼1359)의 개인 시집이다. .. ▒ 목은자료실 ▒ 2007.02.02
불조삼경(佛祖三經)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1224호 명 칭 불조삼경(佛祖三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권1책 지 정 일 1995.07.19 소 재 지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2가 180 한솔종이박물관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한국노스케스코그(주) 관 리 자 한국노스케스코그(주) 설 명 불조삼경은『불설사십이장경』,.. ▒ 목은자료실 ▒ 2007.02.0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974호 명 칭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1988.12.28 소 재 지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소 유 자 서울역사박물관 관 리 자 서울역사박물관 설 명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르기도 하.. ▒ 목은자료실 ▒ 2007.02.02
천노금강경(川老金剛經)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1127호 명 칭 천노금강경(川老金剛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권1책 지 정 일 1992.04.20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설 명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도 불리며 우.. ▒ 목은자료실 ▒ 2007.02.02
호법론(護法論)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702호 명 칭 호법론(護法論)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조병순 관 리 자 조병순 설 명 호법론(護法論)은 송나라에서 불교배척론이 일어나자 장상영이라는 사람이 유교·불교·도교의 학설을 내세.. ▒ 목은자료실 ▒ 2007.02.02
설곡시고(雪谷詩藁) (이색(李穡)선생의 서문) 종 목 보물 제709호 명 칭 설곡시고(雪谷詩藁)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관판본 수량/면적 2권1책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조병순 관 리 자 조병순 설 명 『설곡시고(雪谷詩藁)』는 고려 후기 문신이었던 정포(鄭포 1309∼1347)의 개인 시집이다. 정포 선생은 문.. ▒ 목은자료실 ▒ 2007.02.02
나옹화상어록<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語錄<懶翁和尙歌頌>)(이색(李穡)선생의 서(序) 종 목 보물 제697호 명 칭 나옹화상어록<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語錄<懶翁和尙歌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권1책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이건희 관 리 자 호암미술관 설 명 나옹화상어록은 고려의 승려 나옹.. ▒ 목은자료실 ▒ 2007.02.02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木版本)(이색(李穡)선생의 서문(序文) 종 목 보물 제1132호 명 칭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木版本)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2권1책 지 정 일 1992.04.20 소 재 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5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시 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설 명 『백.. ▒ 목은자료실 ▒ 2007.02.02
남은유서분재기부남재왕지(南誾遺書分財記附南在王旨) 종 목 보물 제1173호 명 칭 남은유서분재기부남재왕지(南誾遺書分財記附南在王旨)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민간문서/ 분재기류 수량/면적 2종2점 지 정 일 1993.09.10 소 재 지 경기 용인시 시 대 소 유 자 의령남씨문충공파종중 관 리 자 의령남씨문충공파종중 설 명 남은 선생의 유서와 남재 선생의 왕지.. ▒ 목은자료실 ▒ 2007.02.02
범망경·금강반야바라밀경합본(梵網經·金剛般若波羅密經合本)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919호 명 칭 범망경·금강반야바라밀경합본(梵網經·金剛般若波羅密經合本)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1987.07.16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강태영 관 리 자 강태영 설 명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범망경과 금강반.. ▒ 목은자료실 ▒ 2007.02.02
불설42장경합철<불유교경,위산경책>(佛說四十二章經合綴<佛遺敎經,위山警策>)(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695호 명 칭 불설42장경합철<불유교경,위산경책>(佛說四十二章經合綴<佛遺敎經,위山警策>)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권1책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이건희 관 리 자 호암미술관 설 명 『불설42장경』.. ▒ 목은자료실 ▒ 2007.02.02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文殊師利菩薩最上乘無生戒經)(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738호 명 칭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文殊師利菩薩最上乘無生戒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3권1책 지 정 일 1982.11.09 소 재 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통도사 관 리 자 통도사 설 명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은 석가모니.. ▒ 목은자료실 ▒ 2007.02.02
묘법연화경<권1∼3,4∼7>(妙法蓮華經<卷一∼三,四∼七>)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960호 명 칭 묘법연화경<권1∼3,4∼7>(妙法蓮華經<卷一∼三,四∼七>)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7권2책 지 정 일 1988.12.28 소 재 지 서울 서초구 시 대 소 유 자 관문사 관 리 자 관문사 설 명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 ▒ 목은자료실 ▒ 2007.02.0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721호 명 칭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1981.07.15 소 재 지 서울 중구 필동3가 26 동국대학교도서관 시 대 시대미상 소 유 자 동국대학교 관 리 자 동국대학교 설 명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 ▒ 목은자료실 ▒ 2007.02.02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別行疏)(목은이색선생의 발문(跋文) 종 목 보물 제1126호 명 칭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別行疏)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 정 일 1992.04.20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설 명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 ▒ 목은자료실 ▒ 2007.02.02
목은문고(牧隱文藁) 권(卷)15의 염제신(廉悌臣) 비명(碑銘)에 보이는 “(공민왕이) 친히 얼굴을 그려 하사했다(친도형사지(親圖形賜之)) 종 목 보물 제1097호 명 칭 전공민왕필염제신상(傳恭愍王筆廉悌臣像)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인물화/ 초상화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1991.09.30 소 재 지 전남 나주시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시 대 소 유 자 파주염씨광주종문회(염홍섭) 관 리 자 . 설 명 고려 후기 문신인 염제신(1304∼1382)의 초상화로 가로 4.. ▒ 목은자료실 ▒ 2007.02.02
목은 이색(李穡)선생의 시가 새겨진 판목이 보관되어 생있는 삼척교수당(三陟敎授堂)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61호 (삼척시) 명 칭 삼척교수당(三陟敎授堂)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당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79.05.30 소 재 지 강원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53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남양홍씨종중 관 리 자 남양홍씨종중 상 세 문 의 강원도 삼척시 문화공보실 033-570-322.. ▒ 목은자료실 ▒ 2007.02.02
목은이색(李穡)선생과 관련된 일화를 가지고 있는 청주압각수(淸州鴨脚樹) 종 목 시도기념물 제5호 (청주시) 명 칭 청주압각수(淸州鴨脚樹) 분 류 수량/면적 1주 지 정 일 1976.12.21 소 재 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92-6 시 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청주시 상 세 문 의 충청북도 청주시 문화관광과 043-220-6162 설 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 ▒ 목은자료실 ▒ 2007.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