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보물 제919호 |
명 칭 | 범망경·금강반야바라밀경합본(梵網經·金剛般若波羅密經合本) |
분 류 |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
수량/면적 | 1책 |
지 정 일 | 1987.07.16 |
소 재 지 | 서울 중구 |
시 대 | 고려시대 |
소 유 자 | 강태영 |
관 리 자 | 강태영 |
설 명 |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범망경과 금강반야바라밀경을 한 책으로 묶은 것이다. 세로 24.5㎝, 가로 15.2㎝ 크기로 되어 있으며 목판에 새긴 뒤 닥종이에 찍은 것이다. 범망경의 원래 명칭은 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 또는 범망보살계경으로, 자기안에 있는 부처님의 성품을 계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불경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르며, 조계종의 근본경전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널리 읽히는 경전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에는 천로(川老)가 지은 송(頌:찬양하는 글)이 붙어 있으며, 끝부분에는 고려 우왕 13년(1387)에 유향과 강인부가 왕비에게 청하여 판을 새기게 되었다는 내용의 발문(跋文:책의 끝에 내용의 대강과 그에 관련된 일을 간략하게 적은 글)이 있다. 지담(志淡)이 판을 새기고, 발문은 이색(李穡)이 짓고 글씨는 각지(角之)가 썼다는 기록도 있다. 범망경에는 간행 기록이 적혀있지 않아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으나, 두 불경의 종이질이 같은 것으로 보아 같은 시대에 찍어낸 것으로 보인다. |
| ||
이 판본(板本)은 범망경(梵綱經)과 천로금강경(川老金剛經)을 합본(合本)한 것으로 범망경(梵綱經)에는 발문(跋文)이 없으나 금강경(金剛經)에는 발문이 있어 판각년도(板刻年度)를 알 수 있다. 이 발문(跋文)에 의하면 금강경(金剛經)은 보원군(普原君) 유향(柳珦)과 진천군(晋川君) 강인부(姜仁富)가 왕비(王妃)에게 계청(啓請)하여 우왕(禑王)13년(1387)에 판각(板刻)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지성(志成), 각호(覺毫)의 화주(化主)로 지담(志淡)이 판각(板刻)하고 발문(跋文)은 이색(李穡)이 짓고 글씨는 각지(角之)가 썼다. 이 발문은 보물 제721호로 지정된“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에도 있는데 판본(板本)과 본문(本文)이 다른 점으로 보아 이 발문(跋文)을 붙인 것이다. 범망경(梵綱經)은 금강경(金剛經)과 지질(紙質)이 동일(同一)하므로 동일한 시기에 인출(印出)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목은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木版本)(이색(李穡)선생의 서문(序文) (0) | 2007.02.02 |
---|---|
남은유서분재기부남재왕지(南誾遺書分財記附南在王旨) (0) | 2007.02.02 |
불설42장경합철<불유교경,위산경책>(佛說四十二章經合綴<佛遺敎經,위山警策>)(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0) | 2007.02.02 |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文殊師利菩薩最上乘無生戒經)(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0) | 2007.02.02 |
묘법연화경<권1∼3,4∼7>(妙法蓮華經<卷一∼三,四∼七>) (이색(李穡)선생의 발문(跋文) (0) | 2007.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