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자료실 ▒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木版本)(이색(李穡)선생의 서문(序文)

천하한량 2007. 2. 2. 18:26
종    목 보물  제1132호
명     칭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木版本)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2권1책
지 정 일 1992.04.20
소 재 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5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시     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설     명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불조직지심체요절’또는 ‘불조직지심체’라고도 부르며, 역대 여러 부처와 고승들의 법어, 대화, 편지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서 편찬한 것이다. 중심주제인 직지심체는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백운화상이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원나라에서 받아온 불조직지심체요절 1권의 내용을 대폭 늘려 상·하 2권으로 엮은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21.4㎝, 가로 15.8㎝이다.

간행기록에 의하면 고려 우왕 4년(1378) 6월에 백운화상이 입적한 여주 취암사에서 제자 법린 등이 우왕 3년(1377)년에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한 금속활자본을 바탕으로 간행한 것이다. 서문은 1377년에 성사달이 쓴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앞부분에 1378년에 이색이 쓴 서문을 추가하여 간행하였다.

흥덕사에서 찍어낸 금속활자본을 다시 목판으로 간행한 이유는 지방 사찰의 금속활자 인쇄술이 미숙하여 인출 부수에 제한을 받아 많이 찍어 널리 퍼뜨릴 수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일한 판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있으나, 이 판본이 인쇄상태가 좋은 편이고 두 개의 서문이 붙어있어 완전한 형태이다.
문화재명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
이 책은 백운화상(白雲和尙) 경한(景閑)(1298∼1374)이 75세때(1372), 임제종(臨濟宗) 18대손(代孫)인 원나라 석옥청공화상(石屋淸珙和尙)에게서 받아 온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1권(卷)을 대폭 증보(增補)하여 상(上) ·하권(下卷)으로 성편(成編)한 것이다. 그 내용은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데 요체(要諦)가 되는 과거(過去) 7불(佛)로부터 석옥(石屋)의 제자(弟子)인 법안선사(法眼禪師)에 이르는 역대제불(歷代諸佛)과 조사(祖師)들의 법어(法語), 게송(揭頌)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은 본시 백운화상이 입적(入寂)한 3년(年)후인 우왕(禑王)3년(1377) 7월에 석찬달담(釋璨達湛)의 주도아래 비구니(比丘尼) 묘덕(妙德)의 시주(施主)를 얻어 청주목(淸州牧)의 흥덕사(興德寺)에서 주자(鑄字)로 인쇄(印刷)했다함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 판본(版本)은 우왕(禑王)4년(1378)에 백운화상(白雲和尙)이 입적(入寂)한 여주(驪州) 천령현(川寧縣) 취암사(鷲巖寺)에서 제자(弟子)인 법린(法隣)등이 모연(募緣)하고 흥덕사(興德寺)의 주자본(鑄字本) 인출(印出)때 시주자(施主者)였던 묘덕(妙德)등이 조연(助緣)하여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 김계생(金繼生)등의 시주(施主)를 받아 판각(板刻)하고 전년(前年)에 쓴 성사달(成士達) 서문(序文)에 이색(李穡)의 서문(序文)을 새로 덧붙여 펴낸 것이다. 이때 판서본(板書本)은 일암, 선화(禪和), 천선 등이 썼고 각수(刻手)로는 종건(宗乾), 참, (창(昌))여(如), 신명(信命)등이 참여하였다.

이 판본(版本)은 이보다 일년 앞서 인시(印施)한 흥덕사(興德寺)의 주자본(鑄字本)이 인출부수(印出部數)에 제한이 있었고 또 후쇄(後刷)해 낼 수 없는 제약(制約)으로 인해 널리 펼 수 없었기 때문에, 이렇듯 다시 판서본(板書本)을 마련하여 새겨낸 목판본(木版本)이다. 이와 동일한 판본(版本)이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소장되어 있으나, 이 판본이 인쇄상태가 좋은 편이고 두 개의 서문(序文)이 붙어 있어 완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