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읍성(韓山邑城) 종 목 문화재자료 제134호 (서천군) 명 칭 한산읍성(韓山邑城) 분 류 수량/면적 일원 지 정 일 1984.05.17 소 재 지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10 시 대 소 유 자 서천군 관 리 자 서천군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서천군 문화관광과 041-950-4225 설 명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 ▒ 한산자료실 ▒ 2006.12.11
건지산성(乾芝山城) 종 목 사적 제60호 명 칭 건지산성(乾芝山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160,549㎡ 지 정 일 1963.01.21 소 재 지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3 시 대 삼국시대 소 유 자 국유,사유 관 리 자 서천군 설 명 건지산의 정상부근을 에워싼 말안장 모양의 내성과 그 서북쪽 경사면을 둘러싼 .. ▒ 한산자료실 ▒ 2006.12.11
건지산 전경 건지산에서 바라본 일출 건지산 누각 건지산 전경 건지산 가을 전경 건지산 겨울 전경 건지산 전경 건지산은 한산면 호암리와 성외리 그리고 기산면 영모리 경계에 우뚝 솟은 산이 건지산이다. 풍왕자가 백제부흥군을 이끌고 다시 백제를 세우기 위해 투쟁하였던 임시 왕도같은 산이다. 산 높이는 160m.. ▒ 한산자료실 ▒ 2006.12.11
한산소곡주 종 목 시도무형문화재 제3호 (서천군) 명 칭 한산소곡주(韓山素穀酒) 분 류 무형유산 / 음식제조/ 민가음식/ 향토술빚기 수량/면적 지 정 일 1979.07.03 소 재 지 충남 서천군 한산면 호암리 67 시 대 백제 소 유 자 관 리 자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서천군 문화관광과 041-950-4225 설 명 한산소곡주는 한산지방의 .. ▒ 한산자료실 ▒ 2006.12.11
월남 이상재(月南 李商在) 일생 월남 이상재(月南 李商在) 월남 휘 상재 선생은 자가 계호, 호는 월남 입니다. 목은의 16대손, 휘 종덕 문양공의 15대손, 휘 맹진 판중추공?의 14대손으로 고향인 충남 한산군 서천면 종지리에서 철종 원년 1850년에 출생하였습니다. 아버지는 휘 희택이고 어머니는 밀양박씨로 농사를 짓던 중농 살림의 한 .. ▒ 월남이상재 ▒ 2006.12.08
월남 이상재 선생 생가 월남 이상재 선생 생가 이상재선생 생가 월남 이상재 선생 생가 이상재 선생 유물 전시관 월남 이상재선생(1850~1929) 본관 한산(韓山). 호 월남(月南). 본명 계호(季皓). 충청남도 서천(舒川)에서 출생하였다. 1867년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낙방하고, 서울에서 박정양(朴定陽)과 사귀어 l0여 년 간 그의 집에.. ▒ 월남이상재 ▒ 2006.12.08
목은 이색 선생의 가계도 및 행력 형태서지 권수제 牧隱藁 판심제 詩藁ㆍ文藁 간종 목판본 간행년 1626年刊 권책 目錄 3권ㆍ詩藁 35권ㆍ文藁 20권 합 25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3×15.5(㎝) 어미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奎4277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3~5 저자 성명 이색(李穡) 생년 1328년(고려 충숙왕 15) .. ▒ 목은자료실 ▒ 2006.12.08
한산읍내시장. 매월 1, 6일 (월6회) 개시. 1770년00월00일 (음) AD 1770년00월00일 (음) 내용 한산읍내시장(韓山邑內市場). 매월 1, 6일 (월6회) 개시.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소재. 주제어 장시(5일장) 출전 《東國文獻備考》, 1770 ; 徐有榘, 《林園經濟志》, 19세기 초 ; 度支部司稅局, 《韓國各府郡市場狀況調査書》, 1909년 9월 ; 京城商工會議所, 〈朝鮮に於け.. ▒ 한산의역사 ▒ 2006.12.08
한산 시대별 연표 날짜 1868년 05월 11일 제목 韓山郡 庇仁縣의 대동미 운반중 함몰시킨 선주 南士連, 내용 韓山郡 庇仁縣의 대동미 운반중 함몰시킨 선주 南士連, 효수. 출전 연표로보는현대사 p. 25. 날짜 1907년 03월 일 제목 韓山郡의 金商翊·노명호·홍준유 등, 호서국채보상기성의무사 내용 韓山郡의 金商翊·노명호.. ▒ 한산의역사 ▒ 2006.12.08
한 마리 새가 되어 한 마리 새가 되어 한 점 티조차 없는 맑고 높푸른 하늘을 본다 이런 날이면 나는 해맑은 내 사랑을 찾아 거침없이 날아가는 한 마리의 새이고 싶다 가다가 지쳐 가벼운 깃 차림이 천근의 무게로 짓눌리고 혹여 매서운 바람을 만나 두 날개 갈기갈기 찢기어 맥없이 퍼덕이다 추락한들 어떠하리 몸뚱아.. ▒ 좋은시모음 ▒ 2006.12.08
향수 향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빈 밭에 밤바람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조름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돌아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 좋은시모음 ▒ 2006.12.08
고향의 산 양지바른 무덤가 망개나무 얼크러지고 검은 족두리 쓴 찔레가 빨갛게 익어가는 가을 산 메뚜기 징검다리타기 하던 풀 포기 꽃대마다 붉은 석양에 긴 그림자 그려내는 저녁나절 지나면 소나무 강을 향해 우거진 산비탈 그 너머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미지의 산기슭에서 밤이면 소쩍새 애달피 짝을 찾는 .. ▒ 좋은시모음 ▒ 2006.12.08
현대시 모음 - 가- 산에 언덕에(신동엽) 가난한 사랑 노래(신경림) 가는길(김소월) 산유화(김소월) 가을에(정한모) 살구꽃 핀 마을(이호우) 가을의 기도(김현승) 살아있는 것이 있다면(박인환) 가정(박목월) 상리과원(서정주) 가정(이상)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김춘수) 간(윤동주) 새(박남수) 갈대(신경림) 새들도 세.. ▒ 좋은시모음 ▒ 2006.12.08
南野 남야 남쪽 들판(가도 779~843) 南野 남야 남쪽 들판 賈島 가도 779~843 治田長山下 치전장산하 긴 산 아래에 밭을 만들어 놓고 引流坦溪曲 인류탄계곡 계곡을 평평히 하여 물을 댄다 東山有遺瑩 동산유유영 동쪽산에 남겨진 옥돌이 있어 南野起新築 남야기신축 남쪽 들판에 새로 집을 지었다 家世素業儒 가세소업유 집안에서는 본래 .. ▒ 한시모음집 ▒ 2006.12.08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7권 한산군(韓山郡) 충청도(忠淸道) 한산군(韓山郡) 동쪽으로는 임천군(林川郡) 경계까지 15리이고, 남쪽으로는 전라도 임피현(臨陂縣) 경계까지 14리, 같은 도의 함열현(咸悅縣) 경계까지 13리이고, 서쪽으로는 서천군(舒川郡) 경계까지 19리이고, 북쪽으로는 홍산현(鴻山縣) 경계까지 29리이고, 서울과의 거리는 4백 59리이.. ▒ 한산의역사 ▒ 2006.12.08
尋隱者不遇 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갔다 못 만나고(가도 779~843) 尋隱者不遇 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갔다 못 만나고 賈島 가도 779~843 松下問童子 송하문동자 소나무 밑에서 아이에게 물으니 言師採藥去 언사채약거 스승은 약을 캐러 갔다,고 只在此山中 지재차산중 이 산 속에 있기는 한데 雲深不知處 운심부지처 구름이 깊어서 있는 곳을 알 수가 없네 ▒ 한시모음집 ▒ 2006.12.08
寄白閣默公 기백각묵공 흰누각에 기대어 말없이 그대에게(가도 779~843 ) 寄白閣黙公 기백각묵공 흰누각에 기대어 말없이 그대에게 賈島(唐) 가도 779~843 已知歸白閣 이지귀백각 이미 백각봉으로 돌아와 깨달으니 山遠晩晴春 산원만청춘 산은 멀고, 저녘의 맑은 봄날이구나 石室人心靜 석실인심정 석실안에 이 마음은 고요하고 氷潭月影殘 빙담월영잔 언 못엔 달 그림.. ▒ 한시모음집 ▒ 2006.12.08
월남 이상재 선생의 연보 이상재(李商在) 1850. 10. 26~1927. 3. 29 호:월남(月南) 충청남도 서천(舒川)군 한산(韓山)면 종지(種芝)리에서 태어났다. 1881년에 정부가 일본에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을 파견할 때에 박정양(朴定陽)의 추천으로 그의 수원이 되어 일본의 국정을 시찰하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개화사상을 갖게 되었다. 이 .. ▒ 월남이상재 ▒ 2006.12.08
월남 이상재 선생 (을사조약이 체결되던 날 고종의 어명을 거역하며) 월남 이상재 선생 영정 (을사조약이 체결되던 날 고종의 어명을 거역하며) 「…신(臣)은 비록 만번 주륙을 당할지라도 이런 매국의 도적들과는 조정에 같이 설 수 없사온 즉, 폐하께서 만일 신이 그르다고 생각 하시면 신의 목을 베이사 모든 도적들에게 사례하시고 만일 옳다 여기시면 모든 도적의 목.. ▒ 월남이상재 ▒ 2006.12.08
목은집 1.2권 원본 목은집 이미지제목 목은집 본문 이미지부분명칭1 2 이미지부분명칭2 본문 문화재지정사항 * 요약설명 고려 말기 학자 이색(李穡)의 시문집. 시문류와 산문류 구분해 편집. 권수에 권근(權近)·이첨(李詹)의 서문, 연보, 교서(敎書), 행장, 신도비명(神道碑銘) 등 수록. 시고목록(詩稿目錄)과 문고목록(文.. ▒ 목은고자료 ▒ 2006.12.08
문헌서원에 있는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의 문집 판목.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충남유형문화재 제77호. 문헌서원에 있는 가정 이곡(李穀:1298∼1351)과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의 문집 판목. 지정번호 충남유형문화재 제77호 지정연도 1978년 3월 31일 소장 문헌서원 소재지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312 시대 조선시대 분류 전적류 본문 1978년 3월 31일 충.. ▒ 목은고자료 ▒ 2006.12.08
가정목은선생문집판(稼亭牧隱先生文集板)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77호 (서천군) 명 칭 가정목은선생문집판(稼亭牧隱先生文集板)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목판각류/ 판목류 수량/면적 975판 지 정 일 1978.03.31 소 재 지 충남 서천군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한산이씨종중 관 리 자 이향규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서천군 문화관광과 041-950-4225 설 명 .. ▒ 목은고자료 ▒ 2006.12.08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항목명(한자) 이색(李穡) 소표제 정의/가계/활동사항 주제어 문신/위화도회군/성리학/도첩제/유교/시무책 성격1 인물 성격2 문신 시대 고려 생몰년 1328(충숙왕 15)∼1396(태조 5) 본관 한산(韓山) 자 영숙(穎叔) 호 목은(牧隱) 시호 문정(文靖) 관련이미지 소표제 내용 정의 .. ▒ 목은자료실 ▒ 2006.12.08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문화재명 이색영정 여말삼은(麗末三隱) 가운데 1인이었던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영정(影幀) 허목(許穆)의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에 의하면, 원래 관복과 평상복의 초상화 2본(本)이 있었는데 원본은 전하지 않고 동형동규(同形同規)의 초상화가 서천 영모.. ▒ 목은자료실 ▒ 2006.12.08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경북 안동시)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171호 (안동시) 명 칭 목은영정(牧隱影幀) 분 류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1983.06.20 소 재 지 경북 안동시 일직면 원리 산9 시 대 소 유 자 이장원 관 리 자 이장원 상 세 문 의 경상북도 안동시 유교문화권개발사업단 054-851-6392 설 명 고려 후기의 문.. ▒ 목은자료실 ▒ 2006.12.08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금남사(錦南寺) 금남사(錦南寺)에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232호 (하동군) 명 칭 목은이색선생영정(牧隱李穡先生影幀) 분 류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1983.08.12 소 재 지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시 대 소 유 자 금남사 관 리 자 금남사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하동군 문화관광과 055-880-236.. ▒ 목은자료실 ▒ 2006.12.08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목은영당본(牧隱影堂本)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종 목 보물 제1215호 명 칭 이색영정(李穡影幀)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인물화/ 초상화 수량/면적 5폭 지 정 일 1995.03.10 소 재 지 서울 종로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한산이씨대종회 관 리 자 한산이씨대종회 설 명 고려말 3은(三隱) 중의 한사람인 목은 이색(1328∼1396) .. ▒ 목은자료실 ▒ 2006.12.08
충남 서천군 한산 연혁(沿革) 건지산과 한산 전경 한산 면사무소 한산 초등학교 앞길 ******************* 한산면(韓山面) 위치 충남 서천군 남동부 인구 4,361명(2001) 면적 25.05㎢ 문화재 건지산성(사적 60), 한산 세모시짜기(충남무형문화재 1), 한산 소곡주(충남무형문화재 3), 서천 저산팔읍 길쌈놀이(충남무형문화재 13), 서천 부채장(충남.. ▒ 한산의역사 ▒ 2006.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