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고자료 ▒

가정목은선생문집판(稼亭牧隱先生文集板)

천하한량 2006. 12. 8. 00:54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77호 (서천군)
명     칭 가정목은선생문집판(稼亭牧隱先生文集板)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목판각류/ 판목류
수량/면적 975판
지 정 일 1978.03.31
소 재 지 충남 서천군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한산이씨종중
관 리 자 이향규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서천군 문화관광과 041-950-4225
설     명 고려 후기의 대학자인 가정 이곡(李穀,1298∼1351)과 그의 아들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이곡은 이제현의 문인으로 도첨의찬성사를 지내고 한산군으로 봉해졌다. 이색은 성균관 대사성을 지낸 성리학자로서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가 망할 때 태조 이성계에 굴하지 않고 절개를 지킨 삼은(三隱)으로 불린다. 현존하는 목판은 975판이 있으며, 문헌서원 장판각에 보존되어 있다.

이 목판은 한국 문화사 뿐만 아니라 국문학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명 가정목은선생문집판

이 판각은 고려말(高麗末)의 대학자(大學者) 가정 이곡(李穀)과 그의 아들인 목은 이색(李穡)의 문집인 가정·목은 선생 문집을 간행(刊行)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이곡(1298∼1351)의 자(字)는 중부(仲父), 호(號)는 가정, 본관(本貫)은 한산(韓山)이다. 이제현(李齊賢)의 문인(門人)으로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지내고 한산군(韓山君)으로 봉(封)해졌다. 시호(諡號)는 문효(文孝)이며 백이정(白 正)·우탁(禹倬)과 함께 경학(經學)의 대가(大家)로 손꼽히는 분이다. 이색(1328∼1396)은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성리학자(性理學者)로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함께 삼은(三隱)으로 불린다. 가정집은 목은이 편집(編輯)하였으나 그후 없어진 것도 있고, 또 다시 발간한 것이 많지 않아서 조선(朝鮮) 현종(顯宗) 3년(1662) 후손(後孫) 태연(泰淵)이 사간(四刊) 발행(發行)한 것이며, 목은집은 인조(仁祖) 4년(1626)에 8대손(八代孫) 덕수(德洙)가 유고(遺稿)를 추가(追加)하여 중간(重刊)한 것이다. 현존(現存) 판목(板木)은 975매가 전해오고 있으며, 문헌서원(文獻書院) 장판각(藏板閣)에 보존되어 있다.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충남유형문화재 제77호. 문헌서원에 있는 가정 이곡(李穀:1298∼1351)과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의 문집 판목.

 

 

 

 
지정번호  충남유형문화재 제77호
지정연도  1978년 3월 31일
소장  문헌서원
소재지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312
시대  조선시대
분류  전적류
 
 
 
 
본문

1978년 3월 31일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되었다. 이 판목은 고려 말의 대학자 가정 이곡과 그의 아들인 목은 이색의 문집인 가정·목은 선생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것이다. 현존 판목은 975매로 문헌서원 장판각(藏板閣)에 보존되어 있다.

이중 가정집은 목은이 편집하였으나 그뒤 없어진 것도 있고, 다시 발간한 것이 많지 않아서 조선시대인 1662년(현종 3)에 후손 태연(泰淵)이 사간(四刊) 발행한 것이며, 목은집은 1626년(인조 4)에 8대손 덕수(德洙)가 유고(遺稿)를 추가하여 중간(重刊)한 것이다.

이곡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부(仲父), 호는 가정이다. 이제현(李齊賢)의 문인(門人)으로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지내고 한산군(韓山君)으로 봉해졌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며 백이정·우탁(禹倬)과 함께 경학(經學)의 대가로 꼽힌다.

이색은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성리학자로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함께 삼은(三隱)으로 불린다.
 

 

 


 목은집 [牧隱集]  
  
  
요약
고려 말의 학자 이색(李穡)의 유고집.
 
구분  유고집, 활자본
저자  이색(李穡)
시대  조선 중기(1626년) 
 
 
본문
활자본. 55권 25책. 손자 계전(季甸)이 시(詩)만을 뽑아 6권으로 편찬했던 것을 1626년(인조 4)에 10대손 덕수(德洙)가 증보 간행하였다. 시고(詩稿) 35권, 문고(文稿) 20권으로 되고, 기(記) •설(說) •서(序) •표(表) •전(箋) •교서(敎書) •송(頌) •찬(贊) •명(銘) •잠변(箴辨) •답문(答問) •제(題) •발(跋) •제문(祭文) •탑명(塔銘) •묘문(墓文) •전(傳)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색의 시문은 문학작품으로서 큰 값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 말의 지식인 사회와 정치사회를 알아보는 사료로도 귀중하다. 책머리에 연보(年譜) •행장(行狀)이 수록되고, 권근(權近) •이첨(李詹)의 서문과 이덕수의 발문이 있다. 1959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大東文化硏究院)에서 《여계명현집(麗季名賢集)》에 영인 •수록하였다.

 

'▒ 목은고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牧隱稿Ⅲ(목차)  (0) 2006.12.11
牧隱稿Ⅱ(목차)  (0) 2006.12.11
牧隱稿Ⅰ(목차)  (0) 2006.12.11
목은집 1.2권 원본  (0) 2006.12.08
문헌서원에 있는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의 문집 판목.  (0) 2006.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