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산의역사 ▒

충남 서천군 한산 연혁(沿革)

천하한량 2006. 12. 7. 21:23

  

건지산과 한산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창이 닫힙니다

한산 면사무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창이 닫힙니다

한산 초등학교 앞길

 

 

*******************

 

한산면(韓山面)

 

위치  충남 서천군 남동부

인구  4,361명(2001)
면적  25.05㎢
문화재  건지산성(사적 60), 한산 세모시짜기(충남무형문화재 1), 한산 소곡주(충남무형문화재 3), 서천 저산팔읍 길쌈놀이(충남무형문화재 13), 서천 부채장(충남무형문화재 21), 한산향교(충남기념물 131) 
   
 

면적 25.05㎢, 인구 4,361명(2001)이다. 21개 리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으로 금강을 경계로 전북 군산시 나포면(羅浦面), 동쪽으로 여사천(餘士川)을 경계로 부여군 양화면(良化面), 서쪽으로 기산면(騏山面)·화양면(華陽面)에 접하며 북쪽으로 마산면(馬山面)과 경계를 이룬다.

동·서부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평야지대로 경지정리가 잘 되어 있다. 단상천(丹上川) 상류의 축동지를 이용한 관개시설도 잘 정비되었다. 쌀·보리 중심의 주곡농업이 성하다. 저마를 원료로 생산하는 한산모시는 예로부터 으뜸가는 여름 옷감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근래에는 외국으로도 수출한다.

문화재로는 건지산성(乾芝山城:사적 60), 한산 세모시짜기(충남무형문화재 1), 한산 소곡주(충남무형문화재 3), 서천 저산팔읍(苧産八邑) 길쌈놀이(충남무형문화재 13), 서천 부채장(충남무형문화재 21), 한산향교(충남기념물 131), 지현리 삼층석탑(芝峴里三層石塔:충남문화재자료 128), 한산읍성(韓山邑城:충남문화재자료 134), 이상재(李商在)추모비 등이 있다. 
 
본관지 한산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韓山面) 은
본래 한산군의 땅으로서 한산읍내의 북쪽이 되어 북부면이라 하여 고촌, 죽동, 신동, 종지, 호암, 산성, 외상, 외하, 동자, 유산, 내하, 산음, 교촌, 서외, 서내, 내상의 16개 동리를 관할.
일제 대인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동상면의 원산, 야인, 신곡, 여사, 사곡, 나교, 동지, 토산, 송림, 축산, 송상, 송중, 송하, 오곡, 단상, 단중, 단하, 단서, 갈마, 녹양의 20개 동리와 동하면의 상동, 하동, 하서, 온동, 신후, 화산, 용두, 신성의 8개 동리와 임천군 홍상면의 포촌리, 교항리, 고읍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한산면이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 하여 죽촌, 종지, 호암, 성외, 동산, 지현, 원산, 여사, 나교, 동지, 송림, 축동, 송산, 송곡, 단상, 단하, 마양, 연봉, 온동, 용산, 신성의 21개리로 개편 관할.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하여 송림리를 떼어 마산면에 넘겨주고, 화양면의 구동리를 병합해서 현재 21개리를 관할하게 됨.
동쪽은 부여군, 양화면, 남쪽은 화양면과 금강 건너 전라북동 옥구군, 나포면, 서쪽은 기산면, 북쪽은 마산면에 닿음.한사모시로 유명한 고장이다

 

***************



   ■서천군연혁

*선사 ∼ 마한시대
서천군 내에는 비인면, 종천면 등지에 고인돌이 분포해 있어
청동기시대 부터 이 지역에 주민들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마한시대에는 54개국중 소국으로,
 ※서천지역 → 兒林國 (아림국)
 ※한산지역 → 致利鞠國 (치리국국 - 천관우설)
 ※비인지역 → 卑彌國 (비미국)
이러한 소국(小國)은 마한의 연맹체의 일원으로 결속관계를 성립하면서
3세기 이후까지 개별적으로 성장해 오다가 백제에 부속되었다.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마한 54소국(小國) 중 하나이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의 한전(韓傳)에는 우리 나라 고대 삼한의 여러 읍락국가(邑落國家)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이들 나라 이름은 당시의 중국 상고음(上古音)에 따라 표기되어 있는데, 중국 고대의 북방음은 대체로 우리 한자음에 가까우므로 이들 나라의 위치 비정에 도움이 된다.

치리국국의 ‘치(致)’는 중국 고대음 ‘ti’, 북경음 ‘tsi’이고, ‘이(利)’는 중국 고대음 ‘li’, 북경음도 ‘li’이며, ‘국(鞠)’은 중국 고대음 ‘kiuk’, 북경음 ‘ku’이다.

그 위치에 대해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서산군조에 “지곡폐현(地谷廢縣)은 본시 백제의 지륙현(知六縣)이고, 신라가 지육(地育)으로 고쳐서 부성군(富城郡)에 속하게 하였으며, 고려가 지곡현(地谷縣)으로 고쳤다.”는 기록이 있다. 치리국국의 ‘리국’을 반절(反切)로 표기한 것이라면 ‘륙’이 되어 ‘치리국’은 ‘지륙’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치리국국은 백제의 지륙현, 즉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군 지곡면에 비정하기도 한다. 또 이와는 달리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에 비정하기도 한다. 마한연맹체의 일원으로서 맹주국과 여러 형태의 결속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독자적인 세력기반은 그대로 간직한 채 3세기 이후까지 개별적인 성장을 지속하다가, 백제에 복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 마한

≪참고문헌≫ 三國史記
≪참고문헌≫ 新增東國輿地勝覽
≪참고문헌≫ 三國志
≪참고문헌≫ 韓國古代史의 硏究(李丙燾, 博英社, 1976)
≪참고문헌≫ 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李賢惠, 一潮閣, 1984)
≪참고문헌≫ 馬韓諸國의 位置試論(千實宇, 東洋學 9, 1979)

≪참고문헌≫ Analytic Dictionary of Chinese and Sino-Japanese(Karlgren, K.B.J., 1923))


                                                                                             - 출처 네이트 백과사전 -     


*백제시대
백제가 마한을 정복한 후 서천지역은 1군2현으로 나뉘어 졌다.
 ※서천지역 → 舌林郡 (설림군)
 ※한산지역 → 馬山縣 (마산현)
 ※비인지역 → 比衆縣 (비중현)
특히, 백제시대에 크게 발전한 곳은 한산으로 이곳의 乾芝山城 (건지산성 - 주류성(周留城))은 백제의 서쪽을 지키는 군사적요충지였으며, 백제멸망뒤에도 그 유민들이 이 지역을 중심으로 3년간 부흥운동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충청남도 서천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마산현(馬山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가림군(嘉林郡)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태조 23) 한산으로 고치고, 1175년(명종 5) 감무를 설치하여 홍산(鴻山)을 함께 다스렸으며, 뒤에 승격하여 한주(韓州)가 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한산군이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서천군에 병합되어 한산면이 되었다. 지명의 유래에서 우두산(牛頭山)이나 마산 등은 모두 지형의 생김새를 뜻하는 것으로 넓은 평야 가운데에 있는 건지산(乾止山)·기린산(麒麟山)·숭정산(崇井山)·취봉산(鷲峯山) 등에 둘러싸인 이곳의 생김새에서 나온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이 금강의 하류에 있어 강변에는 우포(朽浦)·와포(瓦浦)·아포(芽浦) 등의 포구와 해창(海倉)이 있었고 홍산·임천(林川)·서천·함열(咸悅임피(臨陂) 등지와 연결되는 도로망이 발달하였다.

이 지방을 중심으로 생산되는 한산모시는 예로부터 알려진 이 지방의 특산물이다. 1,300여년 전부터 전해내려오는 한산소국주(韓山素麴酒)도 예로부터 유명하다.

≪참고문헌≫ 新增東國輿地勝覽
≪참고문헌≫ 增補文獻備考
≪참고문헌≫ 輿地圖書
≪참고문헌≫ 大東地志
≪참고문헌≫ 忠淸南道誌 (忠淸南道誌編簒委員會, 1979))   - 출처 네이트 백과사전 -     



*통일신라시대
이 지역에서 백제부흥운동도 실패로 돌아가고 신라는 경덕왕 15년(756년)행정 구역 개편으로
 ※舌林郡(설림군)-(서천지역) → 西林郡 (서림군)
 ※馬山縣 (마산현)-(한산지역) → 馬山縣 (마산현 → 가림군의 영현이 됨)
 ※比衆縣(비중현)-(비인지역) → 庇仁縣 (비인현 → 서림군의 영현이 됨)

*고려시대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의 통일이후 왕권이 안정되고 제도문물이 정비되었으나 지방통치는 여전히 지방호족이 장악하고 있었다. 이러한 통치속에서 서천지방의 행정조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림군 (西 林 郡)현종 9년(1018년) 嘉林郡(가림군)에 속하였는데, 그후 監務(감무)가 배치되었고, 충숙왕 원년(1314년)에는 이고을 사람 李彦忠(이언충)이 공이 있어 知西州事(지서주사)로 승격되어 西州(서주)라 불렀다.
관할구역은 현재의 서천읍, 장항읍, 마서면, 문산면, 시초면 지역이 해당된다.
 ※한산현 (韓 山 縣)고려초에는 韓山縣(한산현)으로가림군에 속하였는데 明宗(명종) 5년(1165년) 감무를 두고 鴻山縣(홍산현)을 겸임하였으며 그후 知韓州事(지한주사)로 승격하고 韓州(한주)라 불렀다. 관할구역은 현재의 한산면, 화양면, 기산면, 마산면에 해당된다.
 ※비인현 (庇 仁 縣)현종 9년(1018년)에 가림군의 영현이 되었다가 그후 감무가 파견되었다. 관할구역은 현재의 비인면, 종천면, 판교면, 서면지역에 해당된다.

*조선시대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서림군(西 林 郡) ⇒ 서천군(舒 川 郡)으로
 ※한산현(韓 山 縣) ⇒ 한산군(韓 山 郡)으로
 ※비인현(庇 仁 縣) ⇒ 비인현(庇 仁 縣) ⇒비인군(庇 仁 郡)-고종 32년(1895년 5월 28일)으로 개칭하고 洪州府(홍주부)의 관할에 두었다.

*조선시대 이후 현재
 ※1895.5. 28 :칙령 제98호(1895.5. 26공포)로 서천군, 한산군, 비인현으로 독립되었던 군, 현이 군으로 일원화
 ※1914.3. 1 ; 총독부령 제111호(1913. 12. 29공포)로 서천, 한산, 비인 3군을 통합하여 서천군으로 개칭하였고, 관내도서중 개야도,죽도, 십이동파도, 연도를 전북 옥구군에 편입
 ※1914.3. 16 ;충청남도령 제2호로 군 통합에 따른 면 명칭 개정 및 구역 조정
 ※1914.5. 28 ;충청남도고시 제36호로 면 명칭개정 및 구역조정에 따른 동,리 명칭개정, 구역조정
 ※1938.10. 1 ;총독부령 제197호(1938. 9. 27공포)로 서남면과 마동면 일부를 폐합하여 마서면과 장항읍으로 승격 (1읍 12면)
 ※1942.10. 1 ;총독부령 제243호(1942.9. 30공포)로 동면을 판교면으로 개칭
 ※1973.7. 1 ;대통령령 제6542로(1973. 3. 12공포)로 마서면 남산리를 서천면에, 화양면 구동리를 한산면에, 기산면 이사리와 한산면 송림리를 마산면에,종천면 흥림리를 판교면에 편입
 ※1979.5. 1 ; 대통령령 제9409호(1979.4. 7공포)로 서천면이 읍으로 승격(2읍11면)
 ※1983. 2. 15 ;대통령령 제11027호(1983. 1. 10공포)로 문산면 등고리 금덕리를 판교면에 편입
※현  재;1979. 5. 1 서천면이 읍으로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