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자료실 ▒

목은 이색 선생의 가계도 및 행력

천하한량 2006. 12. 8. 21:12
형태서지
권수제  牧隱藁
판심제  詩藁ㆍ文藁
간종  목판본
간행년  1626年刊
권책  目錄 3권ㆍ詩藁 35권ㆍ文藁 20권 합 25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3×15.5(㎝)
어미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奎4277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3~5
 저자
성명  이색(李穡)
생년  1328년(고려 충숙왕 15)
몰년  1396년(조선 태조 5)
 穎叔
 牧隱
본관  韓山
시호  文靖
 가계도
 李自成
 都僉議贊成事
 李穀
 大提學
 가정집(稼亭集)
 金氏
 咸昌郡夫人
 李穡
 
 安東權氏
 知密直司事 權仲達의 女
 李種德
 知密直司事
 李種學
 簽書密直司事
 인재유고(麟齋遺稿)
 李種善
 知製敎
 女
 
 朴尙衷
 

기사전거 : 行狀(權近 編) 등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충숙왕 15 1328 무진 天曆 5 1 5월 9일, 경북 寧海 槐市村에서 태어나다.
충숙왕 복위 4 1335 을해 至元 1 8 韓山 崇井山 산사에서 독서하다.
충혜왕 복위 2 1341 신사 至正 1 14 가을, 金光載가 주관한 成均試에 합격하다.
충혜왕 복위 3 1342 임오 至正 2 15 樵隱 李仁復선생을 방문하다.
충혜왕 복위 4 1343 계미 至正 3 16 5월, 別將에 보임되다. ○ 九齋都會에 참석하여 刻燭賦에서 1등을 하다.
충혜왕 복위 5 1344 갑신 至正 4 17 한양 삼각산과 양주 紺獄山ㆍ靑龍山에서 독서하다.
충목왕 1 1345 을유 至正 5 18 韓山 大芚山에서 독서하다.
충목왕 2 1346 병술 至正 6 19 平山 牧丹寺에서 독서하다. ○ 安東 權氏와 결혼하다.
충목왕 4 1348 무자 至正 8 21 부친 稼亭公이 원 나라의 中瑞司 典簿였기 때문에 朝官의 자제로 원 나라에 가서 國子監 生員이 되다.
충정왕 2 1350 경인 至正 10 23 여름, 上都에서 分學하다. ○ 가을, 歸覲하다. ○ 겨울, 국자감으로 돌아가다.
충정왕 3 1351 신묘 至正 11 24 1월, 부친상을 당하여 본국으로 돌아오다.
공민왕 2 1353 계사 至正 13 26 전제개혁 및 국방, 교육, 불교 정책에 대한 〈陳時務書〉를 올리다. ○ 5월, 을과 제1인으로 급제하다.(지공거 益齋 李齊賢) ○ 肅擁府丞이 되다. ○ 가을, 征東省鄕試에 장원급제 하다. ○ 서장관으로 원 나라에 가다.
공민왕 3 1354 갑오 至正 14 27 2월, 원 나라 會試에 급제하다. ○ 3월, 殿試에서 급제하여 應奉翰林文字承仕郞 同知製誥 兼國史院編修官이 되다. ○ 본국으로 돌아오다. ○ 11월, 通直郞典理正郞 藝文應敎 知製敎 兼春秋館編修官이 되다.
공민왕 4 1355 을미 至正 15 28 1월, 內書舍人 知製敎가 되다. ○ 5월, 典儀副令으로 옮기다. 서장관으로 다시 원 나라에 가다. ○ 8월, 원에서 翰林院의 일을 보다. ○ 겨울, 經歷을 맡아보다.
공민왕 5 1356 병신 至正 16 29 1월, 본국으로 돌아오다. ○ 7월, 관제 개혁으로 吏部侍郞 翰林直學士가 되다.
공민왕 6 1357 정유 至正 17 30 2월, 試國子祭酒 翰林直學士가 되다.
공민왕 7 1358 무술 至正 18 31 2월, 樞密院右副承宣이 되다.
공민왕 9 1360 경자 至正 20 33 3월, 樞密院左副承宣 知禮部事가 되다.
공민왕 10 1361 신축 至正 21 34 11월, 홍건적의 침입시에 洪彥博 등 28인과 함께 왕을 호종하여 1등 공신에 봉해지다. ○ 12월, 樞密院 左承宣 知兵部事가 되다.
공민왕 11 1362 임인 至正 22 35 3월, 密直司右代言 進賢館提學이 되다.
공민왕 12 1363 계묘 至正 23 36 원으로부터 征東行中書省 儒學提擧를 宣授받다. ○ 12월, 端誠輔理功臣의 號를 받고 密直提學 右文館提學 同知春秋館事上護軍이 되다.
공민왕 13 1364 갑진 至正 24 37 부친의 유고를 편집하고, 매부 朴尙衷의 도움을 받아 〈稼亭先生文集〉을 간행하다.
공민왕 14 1365 을사 至正 25 38 3월, 簽書密直司事 寶文閣大提學이 되다. ○ 6월, 藝文館大提學 提調銓選事가 되다. ○ 10월, 동지공거가 되어 尹紹宗 등 38인을 뽑다.
공민왕 15 1366 병오 至正 26 39 三司右使 知春秋館事가 되다.
공민왕 16 1367 정미 至正 27 40 11월, 判密直司事가 되다. ○ 12월 判開城府事 兼成均館大司成이 되다.
공민왕 17 1368 무신 洪武 1 41 明 나라로부터 征東行中書省 左右司郞中을 宣授받다. ○ 4월, 親試에서 讀券을 담당하여 李詹 등 7인을 급제시키다. ○ 8월, 三司佐使가 되다.
공민왕 18 1369 기유 洪武 2 42 6월, 三司右使가 되다. ○ 8월, 동지공거가 되어 柳伯濡 등 33인을 뽑다.
공민왕 20 1371 신해 洪武 4 44 봄, 지공거가 되어 金潛 등 33인을 뽑다. ○ 7월, 文忠保節 同德贊化功臣의 호를 받고 정당문학이 되다. ○ 9월, 모친상을 당하다.
공민왕 22 1373 계축 洪武 6 46 11월, 韓山君에 봉해지고 예문관대제학 지춘추관사가 되다.
공민왕 23 1374 갑인 洪武 7 47 12월, 重大匡 韓山君에 進封되다.
우왕 1 1375 을묘 洪武 8 48 8월, 推忠保節 同德贊化功臣에 進封되다.
우왕 5 1379 기미 洪武 12 52 10월, 정당문학이 되다.
우왕 9 1383 계해 洪武 16 56 3월, 三重大匡 韓山君에 봉해지다.
우왕 10 1384 갑자 洪武 17 57 7월, 韓山府院君에 봉해지다.
우왕 11 1385 을축 洪武 18 58 12월, 壁上三韓三重大匡 檢校門下侍中이 되다.
우왕 12 1386 병인 洪武 19 59 4월, 지공거가 되어 孟思誠 등 33인을 뽑다.
우왕 14 1388 무진 洪武 21 61 5월, 輔理功臣의 호를 더하다. ○ 判典理司事가 되다. ○ 10월, 賀正使로 중국에 가다.
공양왕 1 1389 기사 洪武 22 62 여름, 귀국하다. ○ 12월, 長湍으로 流配되다.
공양왕 2 1390 경오 洪武 23 63 4월, 咸昌으로 移配되다. ○ 5월, 淸州獄에 갇혔으나 수재로 풀려나다. ○ 8월, 咸昌으로 유배되다. ○ 12월, 석방되다.
공양왕 3 1391 신미 洪武 24 64 6월, 咸昌으로 유배되다. ○ 12월, 석방되어 韓山府院君에 봉해지다.
태조 1 1392 임신 洪武 25 65 4월, 衿州로 유배되다. ○ 6월, 驪興으로 옮기다. ○ 7월, 長興으로 옮기다. ○ 10월, 석방되어 韓山으로 돌아가다.
태조 3 1394 갑술 洪武 27 67 부인상을 당하다.
태조 4 1395 을해 洪武 28 68 5월, 驪江에서 피서하다. ○ 가을, 關東을 유람하고 오대산에 들어가 머물다. ○ 11월, 태조가 사신을 보내어 輔國崇祿大夫 韓山伯에 봉하였으나 사양하고 받지 않다.
태조 5 1396 병자 洪武 29 69 5월, 여강에서 피서 중 졸하다. ○ ‘文靖’의 시호를 받다. ○ 10월, 韓山 麒麟峯 서쪽 산록에 묻히다.
태종 4 1404 갑신 永樂 2 - 아들 李種善이 문집을 초간하다.
선조 16 1583 계미 萬曆 11 - 후손 李增이 洪州에서 「牧隱文藁」를 간행하다.
인조 4 1626 병인 天啓 6 - 후손 李德洙가 順天에서 문집을 중간하다.

기사전거 : 연보, 행장(權近 編), 고려사, 태조실록 등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문집은 1404년(태종 4) 아들 李種善에 의하여 처음으로 간행되었다.《초간본》 태조실록 5년 6월 저자의 卒年기사에 의하면 ‘문집이 세상에 행하여졌다(行于世)’고 하여 傳本이 유통되고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偰長壽(1341~1399)가 正書하였다고 하는 초간본이 아닌가 여겨진다.(「大東野乘」, 용재총화) 현재 後刷本으로 여겨지는 零本이 고려대학교 晚松文庫(貴261)에 소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후로 저자의 시문이 너무 방대한 때문인지 詩集 중에 일부를 정선한 詩選이나, 詩ㆍ文을 분리하여 〈詩藁〉와 〈文藁〉로 나누어 간행하기도 하였다. 손자 李季甸(1404~1459)은 문집 중에서 오ㆍ칠언고율시를 分門類聚하여 6권으로 精選하였고, 그의 아들 全州府尹 李封은 徐居正의 序를 받아 「牧隱詩精選」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精選本》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또 1583년에는 7대손 충청도 관찰사 李增이 詩를 제외한 文만을 再編하여, 洪州에서 牧使 崔興遠의 도움으로 「牧隱文藁」 18권을 간행하였다.《文藁本》 현재 고려대학교 만송문고, 성암고서 박물관에 零本이 소장되어 있다.
그 후 임진왜란을 거치며 傳本이 희귀해지자 1626년(인조 4) 10대손 縣監 李德洙가 詩藁와 文藁의 여러 散本을 收拾하여 全南 順天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중간본》 발문에 의하면 처음에는 「詩精選」과 「文藁」를 합하여 간행하려 하였으나 全集이 전해지지 못할까 염려하여 「詩藁」와 「文藁」를 함께 간행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 중간본은 舊本에서 글자와 자획이 가늘고 촘촘하던 것을 크게 늘렸고, 아들로 하여금 직접 繕寫케 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澗松미술관, 고려대학교 만송문고,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전질 또는 일부 零卷으로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626年刊 중간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장본이다.

기사전거 : 跋(10대손 李德洙 撰)ㆍ牧隱詩精選序(徐居正 撰) 등에 의함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목록 3권ㆍ詩藁 35권ㆍ文藁 20권 합 25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수에는 1404년 초간시의 權近과 李詹의 序, 年譜, 行狀(권근 撰), 神道碑(河崙 撰), 碑陰記(李孟畇 撰), 畫像讚(권근 撰), 賜祭文이 실려 있으며, 목록은 詩藁와 文藁로 구분 정리되어 별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고인 권1~35에는 辭 5편, 操 6편, 小賦 2편을 비롯하여 4360여 題 8천여 수의 시가 실려 있다. 대부분 유가적 소양에 입각한 작품이지만, 佛老文字에도 두루 出入하여 僧侶ㆍ寺刹에 관한 작품들도 많다. 또한 원 나라 制科에 합격하고 編修官을 역임하는가 하면, 후에 書狀官으로 활동하며 원 나라의 여러 文士들과의 交遊ㆍ述懷ㆍ行旅詩들도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권35에 실려 있는 〈長湍吟〉ㆍ〈咸昌吟〉ㆍ〈衿州吟〉ㆍ〈驪興吟〉의 170여 題의 시들은 여말 咸昌ㆍ務州ㆍ驪州 등지에서 流放 생활 중에 남긴 작품들을 모은 것이다.
文藁에는 권1~6에 記 75편, 권7~9에 序 39편, 권10에 說 21편, 권11~13에 表牋 22편, 讚 10편과 箴ㆍ箋ㆍ辨ㆍ銘ㆍ書後ㆍ跋文 등 33편, 권14~20에 碑ㆍ銘ㆍ傳 등 35편의 글이 실려 있다. 그중 記ㆍ碑ㆍ傳 등의 글은 당시의 정치ㆍ사회적인 상황과 아울러 풍부한 전기적 자료를 갖추고 있다.
附錄에는 徐居正이 쓴 〈牧隱詩精選序〉와 李恒福이 지은 〈文獻書院記〉가 실려 있고, 권미에는 10대손 李德洙의 중간시의 발문이 실려 있다.

필자 : 辛容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