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은자료실 ▒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천하한량 2006. 12. 8. 00:44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항목명(한자) 이색(李穡)
 
소표제 정의/가계/활동사항
 
주제어 문신/위화도회군/성리학/도첩제/유교/시무책
 
성격1 인물
 
성격2 문신
 
시대 고려
 
생몰년 1328(충숙왕 15)∼1396(태조 5)
 
본관 한산(韓山)
 
자 영숙(穎叔)
 
호 목은(牧隱)
 
시호 문정(文靖) 
  
관련이미지 
    
  
소표제  내용
정의  1328(충숙왕 15)∼1396(태조 5). 고려 말의 문신•학자. 
 
가계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 찬성사 이곡(李穀)의 아들이다. 
 
활동사항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1341년(충혜왕 복위 2)에 진사가 되고, 1348년(충목왕 4) 원나라에 가서 국자감의 생원이 되었다. 부친상을 당하여 귀국한 뒤 1352년(공민왕 1) 전제의 개혁, 국방계획, 교육의 진흥, 불교의 억제 등에 관한 시무책을 올렸다. 다시 원나라에 가서 1354년 제과(制科)의 회시(會試);에 1등, 전시(殿試)에 2등으로 합격하여, 응봉한림문자승사랑동지제고겸국사원편수관(應奉翰林文字承事郞同知制誥兼國史院編修官)을 지내고 귀국하여 전리정랑(典理正郞)•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다시 원나라에 가서 한림원에 등용되었고, 귀국하여 이부시랑한림학사(吏部侍郞翰林學士)가 되어 개혁을 건의하여 정방(政房)을 폐지토록 하였다. 1357년 우간의대부가 되어 삼년상제도를 건의, 시행하였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이 침입하였을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공신에 봉해졌다. 이후 좌승선•지병부사•우대언•동지춘추관사•대제학•판개성부사 등을 지내고 1367년 대사성이 되었으며, 1373년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지고 이듬해 예문관대제학•지춘추관사 겸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였다. 1375년(우왕 1) 왕의 요청으로 다시 벼슬에 나아가 정당문학•판삼사사를 역임하고 1377년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推忠保節同德贊化功臣)의 호를 받고 우왕(禑王)의 사부가 되었다. 1389년(공양왕 1) 위화도회군으로 우왕이 강화로 쫓겨나자 조민수(曺敏修)와 함께 창왕(昌王)을 즉위하게 하고, 명나라에 가서 창왕의 입조(入朝);와 명나라의 고려에 대한 감국(監國)을 주청하여 이성계(李成桂) 일파를 제재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성계가 권력을 장악하자 오사충(吳思忠)의 상소로 장단에 유배되었고, 이듬해 함창으로 이배되었다가 이초(李初)의 옥(獄)에 연루되어 청주의 옥에 갇혔으나 수재(水災)로 함창에 안치되었다. 1391년에 석방되어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에 봉해졌지만 이듬해 정몽주(鄭夢周)의 피살을 계기로 다시 금주 등지로 유배되었다. 석방된 뒤 1395년(태조 4) 한산백(韓山伯)에 봉해지고 관직에 나올 것을 요청받았으나 끝내 고사하고 이듬해 죽었다. 그의 문하에서 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김종직(金宗直) 등을 배출하여 조선 유교의 주류를 형성하였다. 장단의 임강서원(臨江書院), 청주의 신항서원(莘巷書院), 한산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영해의 단산서원(丹山書院) 등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 ≪목은문고(牧隱文藁)≫•≪목은시고(牧隱詩藁)≫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