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157

한산읍내시장. 매월 1, 6일 (월6회) 개시. 1770년00월00일 (음)

AD 1770년00월00일 (음) 내용 한산읍내시장(韓山邑內市場). 매월 1, 6일 (월6회) 개시.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소재. 주제어 장시(5일장) 출전 《東國文獻備考》, 1770 ; 徐有榘, 《林園經濟志》, 19세기 초 ; 度支部司稅局, 《韓國各府郡市場狀況調査書》, 1909년 9월 ; 京城商工會議所, 〈朝鮮に於け..

尋隱者不遇 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갔다 못 만나고(가도 779~843)

尋隱者不遇 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갔다 못 만나고 賈島 가도 779~843 松下問童子 송하문동자 소나무 밑에서 아이에게 물으니 言師採藥去 언사채약거 스승은 약을 캐러 갔다,고 只在此山中 지재차산중 이 산 속에 있기는 한데 雲深不知處 운심부지처 구름이 깊어서 있는 곳을 알 수가 없네

寄白閣默公 기백각묵공 흰누각에 기대어 말없이 그대에게(가도 779~843 )

寄白閣黙公 기백각묵공 흰누각에 기대어 말없이 그대에게 賈島(唐) 가도 779~843 已知歸白閣 이지귀백각 이미 백각봉으로 돌아와 깨달으니 山遠晩晴春 산원만청춘 산은 멀고, 저녘의 맑은 봄날이구나 石室人心靜 석실인심정 석실안에 이 마음은 고요하고 氷潭月影殘 빙담월영잔 언 못엔 달 그림..

월남 이상재 선생 (을사조약이 체결되던 날 고종의 어명을 거역하며)

월남 이상재 선생 영정 (을사조약이 체결되던 날 고종의 어명을 거역하며) 「…신(臣)은 비록 만번 주륙을 당할지라도 이런 매국의 도적들과는 조정에 같이 설 수 없사온 즉, 폐하께서 만일 신이 그르다고 생각 하시면 신의 목을 베이사 모든 도적들에게 사례하시고 만일 옳다 여기시면 모든 도적의 목..

문헌서원에 있는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의 문집 판목.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충남유형문화재 제77호. 문헌서원에 있는 가정 이곡(李穀:1298∼1351)과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의 문집 판목. 지정번호 충남유형문화재 제77호 지정연도 1978년 3월 31일 소장 문헌서원 소재지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312 시대 조선시대 분류 전적류 본문 1978년 3월 31일 충..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금남사(錦南寺)

금남사(錦南寺)에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232호 (하동군) 명 칭 목은이색선생영정(牧隱李穡先生影幀) 분 류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1983.08.12 소 재 지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시 대 소 유 자 금남사 관 리 자 금남사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하동군 문화관광과 055-880-236..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목은영당본(牧隱影堂本)

목은 이색(牧隱 李穡)선생의 영정 종 목 보물 제1215호 명 칭 이색영정(李穡影幀)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인물화/ 초상화 수량/면적 5폭 지 정 일 1995.03.10 소 재 지 서울 종로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한산이씨대종회 관 리 자 한산이씨대종회 설 명 고려말 3은(三隱) 중의 한사람인 목은 이색(1328∼13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