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영구동토서 탄소 매년 17억톤 방출..'시한폭탄' 불은 댕겨졌다 [경향신문] https://news.v.daum.net/v/20191117205149616 알래스카에 생겨난 ‘메탄 호수’와 초콜릿처럼 녹아내린 ‘얼음땅’ 과학 관측용 항공기로 2017년 미국 알래스카주 접경 지역인 ‘놈(Nome)’ 일대를 촬영한 모습. 영구동토층이 넓게 분포해 있다(위). 알래스카주에 있는 빅 트레일 호수. 주변.. ▒ 코로나정보 ▒ 2019.11.18
암억제" 8년전 보고서 찾았다..'사람구충제' 갈아타는 암환자 https://news.v.daum.net/v/20191116060128696 2011년 '알벤다졸 항암효과' 연세대 보고서, 복용 근거로 삼아 연구자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규명..항암제로 먹으란 뜻 아냐" “말하고 싶어도 하지 못했던 구충제 이제는 드셨으면 좋겠습니다. 사람 구충제이니 드시라고 해도 뭐 아무 문제가 없지요.” .. ▒ 건강자료실 ▒ 2019.11.16
강아지 구충제, 펜벤다졸의 항암 작용에 관한 미국의사의 생각 https://news.v.daum.net/v/20191114141602960 [서울신문]동아대병원 소화기내과 연구팀 분석 구충제 ‘알벤다졸’ 복용 20대 환자 피로·황달 증상 나타나 병원 입원 간수치 최대 3배로 상승해 수액치료 2008년에도 20대 환자 간손상 보고 위생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해마다 기생충 양성률(감염률).. ▒ 건강자료실 ▒ 2019.11.15
홈루덴스족(族)'의 금·토·일 "혼자 노는 게 제일 좋아!" 신동아] ●밀레니얼 세대 70% 이상 ‘홈루덴스족’ ●홈무비, 홈카페, 홈트레이닝… 집에서 다 해결! ●늘어나는 1인 가구, 나도 소확행! ●배달 앱·새벽배송 증가도 한몫 ●외롭냐고? 독립적 이미지 좋아! [GettyImage]올해 서른넷인 직장인 김지연(가명) 씨는 자칭 타칭 '홈루덴스족(族)'이다.. ▒ 새로운소식 ▒ 2019.11.05
스마트폰·TV 많이 본 아이, 언어 능력 떨어져..뇌 구조 변화 탓" (연구) 서울신문 나우뉴스] “스마트폰·TV 많이 본 아이, 언어 능력 떨어져…뇌 구조 변화 탓” (사진=아이클릭아트)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또는 TV 등 디지털 기기의 화면을 오랜 시간 본 아이들은 뇌의 구조적인 형태가 바뀔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신시내티 아동병원 의료센터(CCHM.. ▒ 새로운소식 ▒ 2019.11.05
2050년 한국, '인구 재앙' 덮친다..대통령도 놀란 '인구 逆피라미드' 노인 40% vs 14세 이하 9% 90세 인구가 20세보다 많아 인구 자연감소 '초읽기' 돌입 <인구감소로 폐교된 의성 신평중학교> 한때 학생 수가 250명에 달했던 경북 의성 신평중학교는 인구 감소를 버티지 못하고 결국 2007년 폐교했다. 학교 운동장이 있던 자리에 비닐하우스와 고추밭이 들어서.. ▒ 은퇴와귀농 ▒ 2019.11.04
50대 아빠는 '햄버거'를 살 수 없었다 프로불편러 박기자]무인화 흐름에 올라타지 못한 '디지털 소외계층' [편집자주] 출근길 대중교통 안에서, 잠들기 전 눌러본 SNS에서…. 당신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 일상 속 불편한 이야기들, 프로불편러 박기자가 매주 일요일 전해드립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대학생 A씨(23)는 아빠에.. ▒ 은퇴와귀농 ▒ 2019.11.04
불안에는 운동이 약 [사진=LMproduction/shutterstock]살다 보면 누구나 불안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불안이 지속되고, 통제 또한 어렵다면, 그래서 일상에 지장을 받을 정도라면, 불안 장애라고 말할 수 있다. 불안 장애는 피로나 불면증을 동반한다. 때로는 설사나 입 마름 같은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불.. ▒ 건강자료실 ▒ 2019.10.29
없어질 직업'에 매달린 우리의 노동 [경향신문] Pixabay‘인간은 필요 없다.’ 2014년 미국의 유명 유튜버 CGP 그레이가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지는 현실을 고발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 제목이다. 러닝타임 15분에 불과한 영상은 조회수 1100만을 넘어서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인공지능학자 제리 카플란 미 스탠퍼드대 교.. ▒ 새로운소식 ▒ 2019.10.26
미래 사무직 노동자의 흉측한 몰골 굽은등, 거북목, 볼록배, 부은다리 등 장시간 앉은 자세가 신체 기형 불러 연구팀 "규칙적인 산책 휴식" 권고 미래의 사무직 노동자 체형 예측을 토대로 만든 실물 크기 인형 엠마. 출처 PA(PRESS ASSOCIATION)굽은 등, 거북목, 부은 다리, 불룩 나온 배, 충혈된 눈... 영국의 한 연구팀이 지금의 사.. ▒ 새로운소식 ▒ 2019.10.26
여차하면 한국 뜬다..6억짜리 미국 '이민티켓' 구입 행렬 1970ㆍ80년대 고도성장기와 비교하면 한국 경제가 더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이 부족해졌다. 미래가 좀처럼 밝지 않은 한국을 떠나 경제ㆍ정치적으로 안정된 곳에서 살고 싶다.” 지난 5일 서울시 역삼동 신한아트홀에서 열린 미국 투자 이민 설명회에 참석한 은퇴 사업가 김모(60)씨는 이렇.. ▒ 새로운소식 ▒ 2019.10.14
[노인情] "죽음보다 두려운 치매.. 자식에게 폐가 되고 싶지 않아" https://news.v.daum.net/v/20191012100029591 치매 남편 5년째 돌본 70대 "나까지 아프면 우리 가족 어쩌나" 12분에 1명씩 발생하는 치매환자.. 2025년 100만명 넘을 듯 치매안심센터 "치매 예방 위해 센터 방문해야" [편집자 주] '노인情'은 지금을 살아가는 노인들의 이야기를 담습니다. 치매를 앓고 있는 .. ▒ 은퇴와귀농 ▒ 2019.10.12
가장 슬픈 병' 치매, '333'으로 예방하세요 https://news.v.daum.net/v/20191012030351512 치매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병’이라고들 한다. 기억을 잊다 점차 자신도 잃어가기 때문이다. 국내 치매환자는 크게 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에서 발간한 2017년 연차보고서를 보면 국내 치매환자는 7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치매는 예.. ▒ 은퇴와귀농 ▒ 2019.10.12
공간의 이야기를 담은 서울국제건축영화제 [SIAFF] 2019년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서울국제건축영화제[SIAFF]' 가 진행되었다. 일반상영영화는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특별프로그램 행사 및 포럼은 윤동주 문학관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에서 진행되었다. 25일 이화여대 ECC극장에서 진행된 개막식에서 집행위원장은 건축과 영화의 문화적.. ▒ 건축자료실 ▒ 2019.10.03
국민 85% "사회갈등 심각"..세대·계층·젠더 대립 심화 [2019 쟁점 분석] (17)갈등 공화국 [서울신문] 서울대 재학생들이 지난 19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학생회관 앞 광장 아크로에서 ‘공정’을 요구하며 촛불시위를 하고 있다. 386세대와 2030세대 간 세대갈등이 불거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서울DB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을 둘러싼 갈등은 대한.. ▒ 새로운소식 ▒ 2019.09.27
은폐논란' 트럼프 탄핵,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1부: 워싱턴, 이제 탄핵의 폭풍 속으로>며칠 전, 워싱턴 정가에서는 큰 사건이 터졌다. 아니, 트럼프 행정부에서 보는 흔한 사건들 하나로 보였던 사건이 특급 태풍으로 발전해버렸다. 그 결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몇 시간 전 드디어, 드디어 트럼프 탄핵 절차에 들어가겠다고 선.. ▒ 새로운소식 ▒ 2019.09.27
폭스바겐, 5년간 10조 쏟아부어 소프트웨어 만드는 이유는 [서울신문] 폭스바겐의 전기차 ID3.EPA 연합뉴스세계 1위 완성차 업체 폭스바겐 그룹이 앞으로 최대 5년간 80억 유로(10조 5000억)를 쏟아부어 그룹 산하 12개 브랜드의 IT(정보통신) 소프트웨어를 일원화한다. 이 프로젝트가 현실화되면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벤틀리, 포르쉐, 아우디, 스코다 등.. ▒ 경제자료실 ▒ 2019.09.14
가을날에 님 그리워하며 (추사 秋思 - 李梅窓 이매창) 가을날에 님 그리워하며 秋思(추사)-이매창(李梅窓) 昨夜淸霜雁叫秋(작야청상안규추) 擣衣征婦焉登樓(도의정부언등루) 天涯尺素無緣見(천애척소무연견) 獨倚危欄暗結愁(독의위난암결수) 어젯밤 찬 서리내려 가을 날씨에 기러기가 울어대니 님의 옷 다듬질하던 아낙네는 누대에 올랐어라 하늘 끝까지 가신 님은 편지 한 장도 없으니 높다란 난간에 홀로 기대인 채 남모를 시름 그지없어라. ▒ 한시모음집 ▒ 2019.09.13
부디 다음 밤 꿈에는… 꿈에 선친을 뵙다[夢拜先君] 부디 다음 밤 꿈에는… 꿈에 선친을 뵙다[夢拜先君] 죄 많은 이 목숨 살아 있으니 풍수의 슬픔 견디기 어려워라 무단히 선친을 모셨더니 병환이 있어 치료가 시급해 보였네 목소리는 생전이나 똑같건만 체구는 옛날보다 줄어드셨구나 깨어보니 쓸쓸한 객관의 새벽 비몽사몽간에 눈물만 .. ▒ 한시자료실 ▒ 2019.09.09
마음이여 잠들지 마오 마음이여 잠들지 마오 눈은 자도 마음은 자지 말라 宜睡眼勿睡心 의수안물수심 - 허균(許筠, 1569-1618), 『성소부부고(惺所覆瓿稿)』 제14권 「수잠(睡箴)」 해설 사람은 일생의 삼분의 일을 자면서 보낸다. 숙면은 하루의 피로를 달래주면서 아울러 내일의 활력을 불어넣는다. 그렇기에 잠.. ▒ 한시자료실 ▒ 2019.09.09
대중은 우매하지 않다 대중은 우매하지 않다 어리석으면서도 신통한 이들이 백성이니, 무엇이 이롭고 해로운지를 누구보다도 잘 안다. 愚而神者 民也 莫深喩於利害之所在也 우이신자 민야 막심유어이해지소재야 - 홍여하(洪汝河, 1620~1674), 『목재집(木齋集)』 5권 「성지설(城池說)」 해설 언제부터인지 모르.. ▒ 한시자료실 ▒ 2019.09.09
취하나 깨나 다 임금님 은혜 취하나 깨나 다 임금님 은혜 세 해 동안 새긴 경계 가슴에 늘 간직해 왔으니 국화를 마주해도 술잔은 마주하지 않는다오 서성의 달빛 아래 어주(御酒)를 특별히 내리시니 이 몸 취하고 깨는 건 다 임금님 은혜라네 三年銘鏤戒常存 삼년명루계상존 縱對黃花不對樽 종대황화불대준 宮.. ▒ 한시자료실 ▒ 2019.09.09
나는 누구와 대관(大觀)을 이야기하랴! 나는 누구와 대관(大觀)을 이야기하랴! 번역문 한갓 입과 귀만 의지하는 자와는 배움을 이야기할 것이 못 된다. 하물며 평소 정량(생각의 범위)이 미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랴! 공자께서 태산에 올라 천하를 작게 여겼다고 말한다면 속으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입으로는 그렇.. ▒ 한시자료실 ▒ 2019.09.09
누구나 자기 떡 빚으며 살아간다 누구나 자기 떡 빚으며 살아간다 번역문 오서산(烏棲山)의 승려 설오(雪悟)는 예전부터 어울리던 자이다. 오늘 아침에 나를 찾아왔기에 뜰을 거닐며 함께 봄 경치를 감상하였다. 이야기를 나누다가 조용히 설오에게 물어보았다. “산승께서는 집안 걱정이나 자식 걱정이 없겠구려. 길을 .. ▒ 한시자료실 ▒ 2019.09.09
아이를 위한 기다림 아이를 위한 기다림 사랑하여 가르친다는 것이 도리어 해치고 망가뜨리는 방법이 된다. 其所以愛而敎之者, 反爲賊害之術. 기소이애이교지자, 반위적해지술. - 윤기(尹愭, 1741~1826), 『무명자집(無名子集)』 문고(文稿) 10책 「교소아(敎小兒)」 해설 아이들은 사랑스럽다. 웃고 말하고 뛰놀.. ▒ 한시자료실 ▒ 2019.09.09
바람의 절정, 그 '삽시간의 황홀'을 찾아서 바람의 절정, 그 '삽시간의 황홀'을 찾아서 왕손이 대나무를 그린 뜻이 남달라서 누운 잎새 휜 가지 온갖 모습 다 갖췄네 취한 소매 너훌너훌 호걸의 한바탕 춤 풍우 때문에 흥겨움 멈출 수 없다는 듯 王孫繪竹意還殊 왕손회죽의환수 偃葉橫柯衆態俱 언엽횡가중태구 醉袖翩翻豪士舞 취수.. ▒ 한시자료실 ▒ 2019.09.09
별에서 온 고양이 별에서 온 고양이 번역문 고양이를 가리(家狸)라 하기도 한다. 해설하는 사람들은 ‘장건(張騫)이 데리고 온 것인데, 서역(西域) 지방 추운 기후에서 태어났기에 코끝이 늘 차다가 하지(夏至) 때만 잠깐 따뜻해진다.’고 하였다. 내가 실험해 보니, 하지에도 여전히 차가웠다. 어두운 밤중.. ▒ 한시자료실 ▒ 2019.09.09
역사라는 거울 역사라는 거울 사람이 천성이 없다면 사람은 반드시 죽고 국가가 도[신의]가 없다면 국가는 반드시 망한다. 人無此性 則人必死 國無此道 則國必亡 인무차성 즉인필사 국무차도 즉국필망 - 최익현(崔益鉉, 1833~1906), 『면암집(勉菴集)』 권16 「기일본정부(寄日本政府)」 해설 이 글은 면암(.. ▒ 한시자료실 ▒ 2019.09.09
백이 숙제는 고사리를 먹지 않았다 백이 숙제는 고사리를 먹지 않았다 번역문 미(薇)는 야생 완두콩이다. 좌수(坐水)라고도 한다. 도랑 옆에서 자라는 덩굴 식물이기 때문이다. 대소채(大巢菜)라고도 하는데, 소소채(小巢菜 새완두)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소소채는 교요(翹搖)라고도 하며, 합환목(合歡木 자귀나무)과 비슷하.. ▒ 한시자료실 ▒ 201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