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한 유골을 외국으로 보낼경우 화장한 유골을 외국으로 보낼 경우 (1)필요 서류 ①화장증명서…시립 화장장 관리소에서 발급해 줌(영문 또는 해당국가 언어로 번역하여 공증을 받아야 함) ② 제적등본(호적등본) : 사망일시가 표기되있는것- 해당국가의 언어로 번역 후 공증 ②(해당국가)영사확인서…사망진단서를 첨부하여 해당국.. ▒ 관혼상제집 ▒ 2007.07.27
死體를 國內外로 入.出入시킬경우 1. 국내에서 사체를 외국으로 보낼 경우 (1)필요 서류 ①사망진단서…사망할 경우 해당 병원에서 발행해 줌 ②방부처리증명서…방부처리허가업체에서 발행함 -현재 한국에서는 미 8군 소속의 외국인 전용장의사만이 사체를 방부처리하고 이에 관한 증명서를 발급함 ③(해당국가)영사확인서…사망진.. ▒ 관혼상제집 ▒ 2007.07.27
전통 제사상에서 금기시 하는 것들 1.복숭아는 예로부터 귀신을 쫓는 과일로 복숭아를 제사상에 올리면 조상의 혼이 올수 없으므로 복숭아를 사용하면 안된다 2.끝자가 치자로 끝나는 고기(멸치,꽁치,갈치)는 하급어종으로 분류하였는바, 조상에 대한예로써 최상의 음식을 대접한다는 예의에서 비롯된 사상이다. 3.마늘이나 고춧가루는 .. ▒ 관혼상제집 ▒ 2007.07.27
장례관련 제반사항을 한눈에 보기 HOME 수의 관(棺) 석물.석재 영구차 상여 제사.고사 장례관련 가격 정보 상.장례 납골묘 묘지이장 납골당 수 의(壽 衣) 마(麻)섬유 생산과정 재 질 윤달수의 준비/보관 입히는순서 국산.중국산 수의가격표 관에 대하여 관의 제작과정 관의 종류 관의 가격표 석물의 종류 석물의 정의 석물의 가격 석물의 .. ▒ 관혼상제집 ▒ 2007.07.27
조문 예절 ▨ 조문가는 시간 가까운 친척 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의준비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로하고 장의 절차, 예산 관계 등을 상의합니다. 할 일을 서로 분담하여 책임있게 수행해 줘야 합니다. 내용도 잘 모르.. ▒ 관혼상제집 ▒ 2007.07.27
인목대비 어머니 光山부부인 예장 95일간 치러진 조선시대 예장 한눈에 장례절차 일기 발견 유석재기자 karma@chosun.com 입력 : 2007.03.03 00:47 “짙은 초록 비단의 치장한 저고리 1점, 짙은 초록 명주 작은 저고리 1점, 백화(白花) 명주바지 1점, 대홍단(大紅段) 큰 띠 1개, 짙은 초록 운문단(雲紋段) 장삼 1점, 남색 운문단 속치마 1점, 흰 비단 적.. ▒ 관혼상제집 ▒ 2007.07.27
건강보험(의료보험)공단, 장례비용 일부 지급 건강보험(의료보험)공단이 보험가입자에게 장례비용 일부를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사실을 몰라 장례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보험가입자가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건강보험공단은 장례비 신청시 7일 이내에 신청자의 예금통장으로 20만∼30만원의 장례비를 지급한다. ▲구비서류 장.. ▒ 관혼상제집 ▒ 2007.07.27
가정의례준칙,바람직한 제례방향 건전가정의례준칙 <대통령령 제16543호('99. 8. 31)>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영은 건전가정의례의 정착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전가정의례준칙의 내용과 그 보급 및 실천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 ▒ 관혼상제집 ▒ 2007.07.27
합동위령제,추도식,현대의 제례 합동 위령제 위령제는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아울러 그들을 추모하는 제사이다. 대체로 전쟁이나 천재지변 또는 사고로 인하여 많은 생명이 희생되었을 때 합동으로 지낸다. 제산에는 향로를 마련하고 고인들의 사진이나 지방을 모시고 식을 거행한다. 일반적으로 의식의 순서는 개회사, 묵념.. ▒ 관혼상제집 ▒ 2007.07.27
산신제(山神祭) , 묘제(墓祭) 성묘, 종교식 추도 의식 산신제(山神祭) 산신제를 후사토(后祀土) 라고도 하는데 조상묘지가 있는 산의 신(神)에게 제사지내는 것이다. 묘사나 차례를 지내는 주인이 제주가 되기도 하고, 주인 이외의 사람이 제주가 되기도 한다. 산신제는 묘지에서 묘사를 지내기 직전에 혹은 지낸 직후에 지내기도 한다. 만일 같은 산곡에 .. ▒ 관혼상제집 ▒ 2007.07.27
용어,제기와제구(祭具),제사순서,차례와 기제사의 차이점 용어 해설 1. 제사의 용어 신명(神明) : 천지의 신 주자가례(朱子家禮) : 중국 명나라 때 구준이가례에 관한 주자의 학설을 수집하여 만든 책 가신(家神) : 집에 딸려 집은 지킨다는 귀신 사례편람(四禮便覽) : 조선 영조 때의 학자 이재가 관혼상제의 제도. 절차에 관한 요점을 가려 편찬한 책 사대봉사(.. ▒ 관혼상제집 ▒ 2007.07.27
제례의방위,제수음식,진설방법 제례의 방위와 참례자의 위치 제례의 방위 제례의 방위는 자연의 동서남북이 아니라, 신위를 모신 곳을 북쪽으로 설정해 신위를 기준으로 했을때 앞이 남쪽이고 뒤가 북쪽이며, 신위의 왼편이 동쪽이고 오른편이 서쪽입니다. 즉 신위를 마주 보았을 때 신위가 있는 쪽이 북쪽이고, 내가 서있는 곳이 .. ▒ 관혼상제집 ▒ 2007.07.27
지방과 축문 쓰기 지방 쓰는법 1. 종이재단법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전통적으로 지방은 깨끗한 한지에 길이는 주척(周尺)으로 한자(尺) 두치(寸)이고 너비(幅)가 세치(寸)인 바 길이는 22cm 에 너비가 6cm정도이다. 이 크기에 맞.. ▒ 관혼상제집 ▒ 2007.07.27
고사에 대하여 ◆ 고사에 대하여 ◆ 고사 소리 듣기 고사에 대하여 제사 (제례) 우리나라는 옛부터, 무속적인 행사를 중요하게 생각해 왔습니다. 이러한 풍습은 지금까지도 집들이나 안전을 기원하는 기원제 고사등 많은 형태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기원제(고사)는 하늘과 땅을 주제하는 우주섭리에 비하여 너무.. ▒ 관혼상제집 ▒ 2007.07.27
제사의 의미와구분,제주는 누가하는가,장소,시간,복장,참여자 제의례의 의미 예서(禮書)에 의하면 "제왕(帝王)은 하늘을 제사 지내고 제후(諸侯)는 산천을 제사 지내며, 사대부(士大夫)는 조상을 제사 지낸다"고 했다. 이것은 온 세상을 다스리는 제왕에게는 천지(天地)가 절대자이고, 한 지역을 다스리는 제후에게는 산천(山川)이 절대자이며, 그렇지 않은 사인(私.. ▒ 관혼상제집 ▒ 2007.07.27
제사상 차려보기 주황색 타원을 클릭! 제사 모셔오기 (제사이전) 제사를 드리는 사람, 즉 '제주(봉사자)'가 바뀌어 제사를 드리게 되는 경우 '제사를 모셔온다'고 합니다. 제사는 아무때나 옮기시지를 못합니다. 그러므로 명절에 옮기시는 것이 합당합니다.명절에 옮기지 못할 경우에는 기제사날에 조상님께 옮기게 됨.. ▒ 관혼상제집 ▒ 2007.07.27
제사 지내는날(기제일)의 거듭된 강조 기제일(忌祭日)과 재계(齋戒) 별세(別世)하신 전일(前日)이 입제일(入齋日)이고 별세(別世)한 날이 기일(忌日)로서 정재일(正齋日)이고 그 다음날이 타재일(타齋日)이다. 이 삼일간은 재계(齋戒)를 해야한다. 입제일(入齋日)에는 제주(祭主)와 주부(主婦)가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음주(飮酒)를 삼가며 .. ▒ 관혼상제집 ▒ 2007.07.27
제사의 유래 제사의 유래 제사의 유래 제례 수상 제사의 종류 제주와 참사자 제사 음식 준비 기제일 명절차례 제사상 차리는 법 신위 쓰는 법 제사지내는 순서 제사지내는 시간 지방 쓰는 법 축문 쓰는 법 제사(祭祀))의 유래 제사를 지내게 된 동기를 살펴보면 먼 옛날 사람이 원시적인 생활을 할 때 천재 지변이나 .. ▒ 관혼상제집 ▒ 2007.07.27
함보내기및 받기,봉치떡 함(函)을 봉인하여 소창 광목으로 엮었으면 이를 신랑측에게 보냅니다. 함은 반드시 신부측에서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당도하게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을 보낼 때에는 통상 두 사람 이상이 가게 되는데, 함을 이끌고 가는 사람을 신랑측 집사라고 하며, 이는 통상 신랑측 집사 또는 친척이 맡지만.. ▒ 관혼상제집 ▒ 2007.07.27
동심결(同心結)맺는 방법 동심결(同心結)은 장신구로 사용되는 전통매듭의 여러가지 기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동심결 매듭의 가장 큰 특징은 묶여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묶여지지 않는다는 것은 쉽게 풀어낼 수 있다는 반대적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으며,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묶여지지 않고 쉽게 풀어낼 수 있다는 것은 더.. ▒ 관혼상제집 ▒ 2007.07.27
함 내용물을 봉(封)하는 방법 납폐절차에 쓰이는 함(函)은 형편이나 가풍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어떤 재질을 써야 한다거나, 어떤 용도의 함을 써야만 된다는 등의 제한 사항이 전혀 없습니다. 그저 채단을 넣을 수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그렇다고 라면상자등이나 나무궤짝 등을 사용하는 어리석은 사람은 .. ▒ 관혼상제집 ▒ 2007.07.27
함에 들어가는 내용물및 물목단자 '함'은 납폐(納幣)가 행해질 때, 신랑 측에서 신부측에 혼서(婚書)와 함께 보내는 혼수 예물이 담겨진 함(函)을 말합니다. 혼인은 평생에 한번 치르는 대례(大禮)로써 이를 깃점으로 하여 신부가 친가를 떠나 남의 가문 낯선 시댁에 들어가 평생 살아야 하는 중대사였으므로, 신부를 맞아오는 신랑측이.. ▒ 관혼상제집 ▒ 2007.07.27
혼서(婚書)- 예장지 쓰기 혼서(婚書)는 예장지(禮狀紙)라고도 합니다. 납폐(納幣)의식, 즉 '함을 보내는' 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근래에도 전통적 격식절차에 따라 신랑측에서 혼인 전에 신부특에 납폐의 예를 행하기 위해 함을 보내긴 하지만, 대개의 경우 예물만을 보낼 뿐 혼서를 함께 보내는 경우는 드뭅니다. 또.. ▒ 관혼상제집 ▒ 2007.07.27
납폐(納幣)- 함 보내는법 납폐(納幣)는 연길을 받은 신랑측에서 신부측에게 혼인 전에 혼서(婚書)와 예물(禮物)을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즉, 납폐로써 신랑신부의 양가는 실질적인 혼인단계에 접어들게 됩니다. (납폐는 혼인식 후 행해지는 폐백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납폐는 신랑측이 보내는 것이긴 하지만, 아무때나.. ▒ 관혼상제집 ▒ 2007.07.27
연길장(涓吉狀) 작성 연길(涓吉)은 길(吉)한 날짜를 택한다는 뜻입니다. 연길장(涓吉狀)은 신랑측의 납폐, 즉 납채서와 사주단자를 받은 신부측에서 신랑의 사주와 신부의 사주를 맞춰본 후 (즉, 궁합을 본 후), 혼인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회신하는 서신을 말합니다. 연길장은 납채서에 대응하는 서신이며, 혼인날짜는 사.. ▒ 관혼상제집 ▒ 2007.07.27
사주단자(四柱單子)작성과 포장 사주(四柱)란 태어난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네가지를 함께 말하는 것입니다. 이때의 사주는 반드시 양력이 아닌 음력이 되며, 생년은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태어난 해의 간지(干支), 즉 갑자년 을축년 등으로 표시합니다. 또한 생시(生時) 역시 숫자로 나타내지 않으며, 1일 24시간을 간.. ▒ 관혼상제집 ▒ 2007.07.27
납채(納采) ,납채서(納采書) 작성법 납채(納采)는 납폐(納幣)와 다릅니다. 납폐(納幣)는 혼인 전에 신랑측에서 신부측에게 혼사당일 신부에게 소요되는 여러가지 물품을 보내는 절차를 말합니다. 근래에는 함(函)을 보낸다는 표현으로 쓰여집니다. 납채(納采)는 이와 달리, 의혼(議婚)과정이 완전히 끝난 후에 혼인을 확정시키는 의미로써.. ▒ 관혼상제집 ▒ 2007.07.27
허혼서 한문서식 읽기 : 전주(본관) 이○○ 존좌하. 복유맹춘지제. 존체후 근지만중 앙위구구지지. 복지차녀 ○○(당사자 이름)지친사 불비한루. 여시근권 감불청종. 약채납즉 비문경행 여불비 복유. 존조 근배상장. 년 월 일 김해(본관) 김 ○○ 배상. 주의 : ① '전주(본관) 이○○존좌하'에서 전주는 신랑측 본관을 쓰.. ▒ 관혼상제집 ▒ 2007.07.27
혼인의 청첩,단자 ,예식장,폐백,혼인신고,신혼여행,종교식 혼례 혼인의 청첩 청첩하는 방법에는 청첩장을 보내거나 구두로 알리거나 전화로 알리거나 인편으로 통보하는 경우도 있다. 혼인 예식에 친지나 손님을 청첩하기 위하여 청첩장을 내게 되는데 청첩장에서 청첩자가 누구냐에 따라 문맥의 내용이 많이 달라지게 된다. 청첩인이 혼주일 수도 있고 청첩인이 .. ▒ 관혼상제집 ▒ 200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