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혼례의 의혼(議婚)과 혼서(婚書) 혼인의 조건 우리의 예법에 따라 행해진 혼례 절차는 다소 번거로웠다. 그것이 역사적 변천과 생활 양식의 변모에 따라 오늘날 혼례 문화는 서양 문화에 가까워지고 말았다. 전통 혼례식을 하던 현대식 혼례식을 하던, 혼례식은 일생의 뜻깊고 중요한 행사인 만큼, 형식에 치우치기보다는 혼례의 진정.. ▒ 관혼상제집 ▒ 2007.07.27
한가위는 사랑으로 송편빚는 날 한가위는 사랑으로 송편빚는 날 다시 생각하는 한가위의 뜻과 세시풍속 우리 겨레의 3대 명절하면 설, 단오, 한가위를 꼽는데 그 가운데에서 ‘한가위’는 가장 큰 명절이다. 조선 순조 때 김매순이 열양(洌陽), 곧 한양(漢陽)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책인 ‘열양세시기’에는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 ▒ 관혼상제집 ▒ 2007.07.25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세시풍속 보름달 보며 비손 하는 날, 정월 대보름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세시풍속 ▲ 정월대보름 달맞이를 하는데 맨먼저 본 사람에게 행운이 온다고 믿었다. ⓒ 이무성 하늘에 보름달이 휘영청 떠 있다. 구름 타고 천천히 운명을 항해하는 저 보름달을 본다. 뒷동산에 올라 너그럽고 따뜻한 달빛에 온몸을 맡긴 .. ▒ 관혼상제집 ▒ 2007.07.25
통과 의례 출생, 삼칠일, 백일, 첫돌, 관례, 혼례, 회갑, 희년, 회혼, 통과 의례 통과의례는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생을 마칠 때까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의례를 말하고,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자기의 지위를 인정받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 의례에는 각각 규범화된 의식이 있고, 그 의식에는 음식이 따르는데, 각 의례음식에는 의례를 상징하는 특별한 양식이 .. ▒ 관혼상제집 ▒ 2007.07.22
추석의 유래 추석[秋夕] 한국 4대 명절의 하나인 음력 8월 15일 (中秋節)·가배(嘉俳)·가위·한가위라고도 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유래는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했으며 일종의 추수감사절에 해당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유리왕(儒.. ▒ 관혼상제집 ▒ 2007.07.18
외국의 매장풍습 미국의 장지는 대개 공원묘원을 이용하는데, 그레이브(grave)로 분양된다. 1그레이브의 면적은 가로 66cm, 세로 220cm(약 1/2평)로 그곳에 한 사람만 매장하는 것이 아니라, 대도시에는 3명, 소도시· 농촌에서는 1∼2명을 겹장으로 모신다. 매장 순서는 사망 순이며 법에 규정된 깊이는 3층의 경우 지하 3.3m, 2.. ▒ 관혼상제집 ▒ 2007.07.18
계촌법 직 계 (直 系) 현 조 부 玄 祖 고 조 부-----------------------------------------------------------종 고 조 高 祖 從 高 祖 치촌기준 置寸基準 증 조 부---------------------------------------------종증조-------- 재종증조 ♠ 4 - 5촌☞ 종 曾 祖 從曾祖 再從曾祖 ♠ 6 - 7촌☞ 재종 ♠ 8 - 9촌☞ 3종 조 부------------------------------ 종 조----.. ▒ 관혼상제집 ▒ 2007.06.14
족보용어풀이 주요 족보 용어 . 시조(始祖) : 제일 처음 선조로서 첫번째 조상 cf 관조 . 비조(鼻祖) :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중 가장 높은 사람 . 중시조(中始祖) : 시조 이하에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을 모든 종중의 공론에 따라 추존한 사람 cf 중흥조 . 선계(先系) : 시조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일컫는.. ▒ 관혼상제집 ▒ 2007.06.14
현대인이 알아야 할 조문 예절 현대인이 알아야 할 조문 예절 ***** 가까운 친지가 상을 당하였을 경우 가까운 친척 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한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의준비를 함께 하는 것이 좋다.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로하고 장의 절차, 예산 관계 등을 상의하고 할 일을 서로 분담하여 책임.. ▒ 관혼상제집 ▒ 2007.06.02
관례(冠禮)의凡節. 관례(冠禮)의凡節. 《 관례/冠禮 / 계례/戒禮 》 관례는 어린이에게 성인이 되었다는 사실을 형식화하기 위해서 관건(冠巾)을 씌우는 의식이다. 여자의 경우는 비녀를 꽂기 때문에 계례(戒禮)라고 한다. 남녀가 지금까지 땋아 내렸던 머리를 올려서 남자는 상투를, 여자는 낭자를 틀어 올린다. 이 의식.. ▒ 관혼상제집 ▒ 2007.05.30
한복 입는 법 최근 한복은 예복화되어 특별한 날에만 입는 의상으로 한정되어 가고 있다. 자주 입는 한복이 아니기 때문에 어쩌다 입으려면 입는 법을 몰라 쩔쩔매기 마련이다. 약혼식, 결혼식, 회갑연 등 특별한 날에는 피할 수 없이 꼭 입어야 하는 고유의상이기 때문에, 한복을 제대로 입는 법쯤은 익혀둘 필요가.. ▒ 관혼상제집 ▒ 2007.05.30
생활예절 100문 100답 (유교예절.가족간 칭호.복수.수연례.혼례.상례.제례) | 100문 100답 |유교와 예절 | 가족간의 칭호 | 복식 | 수연례 | 혼례 | 상례 | 제례| < 생활예절 100문 100답> 1 우리나라의 전통 예절서적은 주로 어떤 것이 있습니까? 1.많은 사람이 많은 책을 썼으므로 일일이 다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가장 많이 읽히고 알려진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⑴ 국조오례.. ▒ 관혼상제집 ▒ 2007.05.30
추석 차례상 차림법 1. 시대별 추석의 의미변화 추석(秋夕: 한가위)은 음력으로 8월 15일 입니다. 설, 한식, 단오와 함께 우리 민족의 4대명절로 그중에서도 가장 큰 명절이죠. 추석이란 명칭은 글자그대로 달 밝은 가을밤이란 뜻으로 연중 8월 보름달의 달빛이 가장 좋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농경민족인 우리 선조들.. ▒ 관혼상제집 ▒ 2007.05.30
설날 차례상 차림법 해마다 돌아오는 명절이지만 차례상 차리기는 늘 어렵게 느껴진다. 제수 마련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음식에 조상이 좋아했던 음식을 따로 준비하면 된다.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음식을 뜻하는 전(煎), 고기 생선 두부 등을 기름에 지지거나 석쇠에 구워 꼬치에 꿴 적(炙) 등 품이 들어가는 음식은 차례 .. ▒ 관혼상제집 ▒ 2007.05.30
전통예절 (존대 어휘와 친척에 대한 칭호 등..) 전통예절의 모든 것 예절의 의미 사람은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존재라는 뜻에서 '사회적 동물'이라 하였다. 사람은 동물과는 달리 혼자 생활을 영위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간의 교류와 접촉에는 반드시 지켜야 할 도리가 있게 마련이다. 이 도리를 '예(禮)'라 하며, 서양 문화권에서는 '에티켓(etiquette)'.. ▒ 관혼상제집 ▒ 2007.05.30
한가위 유래 및 풍속 추석(秋夕) 음력 팔월 보름을 추석(秋夕), 한가위, 가배일(嘉俳日), 가윗날, 중추절이라 한다. 설날과 함께 큰 명절로 친다. 가윗날은 한국의 고유한 명절로 신라시대부터 인식되어 왔다.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 중에 하나였고 조선시대에는 설날[正朝], 한식(寒食), 단오(端午), 추석(秋夕), 이에 동지(冬.. ▒ 관혼상제집 ▒ 2007.05.30
생활예절(촌수.호칭.배례.상하석.상장례.제례.혼례.등)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명칭 처가와 사위.. ▒ 관혼상제집 ▒ 2007.05.30
각종 경조사 인사말, 봉투쓰기 (축생신), 祝壽宴(축수연), 祝華甲(축화갑), 祝回甲(축회갑, 61세), 古稀(고희, 70세), 喜壽(희수, 77세), 頌壽(송수, 80세), 米壽(미수, 88세), 九旬(구순, 90세), 白壽(백수, 99세) ▶ 약혼식/결혼식 祝約婚(축약혼), 祝結婚(축결혼), 祝成婚(축성혼), 祝華婚(축화혼) ▶ 결혼기념일 祝錫婚式(축석혼식, 결혼10주년), .. ▒ 관혼상제집 ▒ 2007.05.30
제관의 향사절차와 기타 자료 제관의 향사절차 1. 초헌관 가. 전사감을 수지하고 찬인의 인도로 제상의 제수를 진설점시하고 환출한다. 나. 찬인의 인도로 간세위 간세하고 신위전에 괴하여 상향례하고 전패례를 행한 후 강복위한다. 다. 행 초헌례 - 찬인의 인도로 존소위 서향립하고 잠시 있다가 신실로 들어가 신위전에 괴하여 .. ▒ 관혼상제집 ▒ 2007.05.29
관혼상제 예절.(冠婚喪祭 禮節). 관혼상제 예절.(冠婚喪祭 禮節). 1. 관 혼례의 예절 전통의례로서 4대예절(관 혼 상 제 : 冠 婚 喪 祭)을 조상들께서 지켜왔으나 관례는 결혼전에 성인례(成人禮)로서 오늘날 성인의 날과 비유되며 최근 일부지역에서 관례 시연회(試演會)를 통하여 계승 선양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혼례 상례 제례에 대해.. ▒ 관혼상제집 ▒ 2007.05.29
제삿상에 감 밤 대추가 올라가는 의미 감: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입니다. 그러나 감만은 그렇지 않습니다. 감 씨앗은 심은 데서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 가지를 잘라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고 합니다. 이 .. ▒ 관혼상제집 ▒ 2007.05.29
제수 진설법 (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 진설의 원칙 제사상차림이란 마련된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제수진설법(祭羞陳設法)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사상차림이 지방마다, 가정마다 각기 달라 일명 '가가례(家家禮)’라 할 만큼 다양하다. 이처럼 제수진설이 다양한 것은 각종 예서에 나타나는.. ▒ 관혼상제집 ▒ 2007.05.29
상례(喪禮) 장례절차 그림으로 보기 상례(喪禮) 상례는 관·혼·상·제(冠·婚·喪·祭) 사례 중에서도 가장 절차나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예론(禮論)도 많은 편이다. 아직도 초상 상례 때 "집사분정(執事分定)" 즉 호상(護喪), 축(祝), 사서(司書), 사화(司貨), 조빈(造殯), 돈장(敦匠), 일직(日直)등을 정하여 상사 전반을 집행하고 있.. ▒ 관혼상제집 ▒ 2007.05.29
제례(祭禮)-차례를 지낼 때 降神禮를 하는데 香을 사르고 술을 茅沙器에 붓는 이유등- 제례(祭禮) 문 1. 別世 날이 潤 五月 초하룻날인 경우 제삿날을 며칠로 잡아야 하는지? 답. 윤 오월이라도 오월은 틀림없는 사실이므로 오월에 기일로 모셔야 하며, 다시 윤 오월이 올 때까지는 本 오월 초일일 새벽 子正이 지난 후 三時 이전에 지내면 된다. 문 2. 女子들도 祭祀에 參與하는지? 답. 參席.. ▒ 관혼상제집 ▒ 2007.05.29
명 당 명 당 명당이란 조상을 모실 좋은 묘자리를 말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묘자리뿐만 아니라 집터 등의 자리가 좋아도 명당자리라고 말한다. 1) 산세로 본 명당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속에서 살다가 자연으로 돌아가기에 산과 물을 좋아하고 그리워 한다. 산이 높고 물이 깊고 들이 넓.. ▒ 관혼상제집 ▒ 2007.05.29
제관의 향사절차와 기타 자료 제관의 향사절차 1. 초헌관 가. 전사감을 수지하고 찬인의 인도로 제상의 제수를 진설점시하고 환출한다. 나. 찬인의 인도로 간세위 간세하고 신위전에 괴하여 상향례하고 전패례를 행한 후 강복위한다. 다. 행 초헌례 - 찬인의 인도로 존소위 서향립하고 잠시 있다가 신실로 들어가 신위전에 괴하여 헌.. ▒ 관혼상제집 ▒ 2007.05.29
죽은 사람에게는 왜 절을 두 번 하는 것일까? 죽은 사람에게는 왜 절을 두 번 하는 것일까? 설날 같은 명절 때 할아버지나 부모님께 드리는 세배는 한번 절을 합니다. 그에 비해 돌아가신 조상님의 제사를 지낼 때는 절을 두 번 합니다. 이처럼 산사람과 죽은 사람에게 절하는 횟수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것은 음양사상에 따른 것이라고 합.. ▒ 관혼상제집 ▒ 2007.05.29
절하는 법 절하는 법 예절이란 무리지어 사는 사람들이 약속해 놓은 생활방식이다. 그리고 예절은 마음만 있어서는 안되고 반드시 그 마음을 상대편에게 인식시키는 말과 행동이 따라야 한다. 전통예절이란 우리 조상들이 지켜오던 생활방식으로서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도 그것이 좋고 필요해서 실천할 뿐만 아.. ▒ 관혼상제집 ▒ 2007.05.29
신위/신주/위패/지방 신위 신위는 돌아가신 조상의 형체를 표상한 것이다. 모든 제사에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신위를 설치하게 된다. 신위로는 예로부터 시동, 신주, 위패, 사판 ,소상 ,동상, 초상화, 지방 등이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사진도 사용되고 있다. 제사 중에는 이들 신위에 신이 깃들이는 것으로 믿어졌다. 신주 신.. ▒ 관혼상제집 ▒ 2007.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