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혼상제집 ▒ 102

통과 의례 출생, 삼칠일, 백일, 첫돌, 관례, 혼례, 회갑, 희년, 회혼,

통과 의례 통과의례는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생을 마칠 때까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의례를 말하고,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자기의 지위를 인정받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 의례에는 각각 규범화된 의식이 있고, 그 의식에는 음식이 따르는데, 각 의례음식에는 의례를 상징하는 특별한 양식이 ..

생활예절 100문 100답 (유교예절.가족간 칭호.복수.수연례.혼례.상례.제례)

| 100문 100답 |유교와 예절 | 가족간의 칭호 | 복식 | 수연례 | 혼례 | 상례 | 제례| < 생활예절 100문 100답> 1 우리나라의 전통 예절서적은 주로 어떤 것이 있습니까? 1.많은 사람이 많은 책을 썼으므로 일일이 다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가장 많이 읽히고 알려진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⑴ 국조오례..

생활예절(촌수.호칭.배례.상하석.상장례.제례.혼례.등)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명칭 처가와 사위..

제수 진설법 (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

진설의 원칙 제사상차림이란 마련된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제수진설법(祭羞陳設法)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사상차림이 지방마다, 가정마다 각기 달라 일명 '가가례(家家禮)’라 할 만큼 다양하다. 이처럼 제수진설이 다양한 것은 각종 예서에 나타나는..

제례(祭禮)-차례를 지낼 때 降神禮를 하는데 香을 사르고 술을 茅沙器에 붓는 이유등-

제례(祭禮) 문 1. 別世 날이 潤 五月 초하룻날인 경우 제삿날을 며칠로 잡아야 하는지? 답. 윤 오월이라도 오월은 틀림없는 사실이므로 오월에 기일로 모셔야 하며, 다시 윤 오월이 올 때까지는 本 오월 초일일 새벽 子正이 지난 후 三時 이전에 지내면 된다. 문 2. 女子들도 祭祀에 參與하는지? 답. 參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