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학옥섬의 삼공도에 제하다[題郝玉蟾三公圖]

천하한량 2007. 3. 9. 18:35
학옥섬의 삼공도에 제하다[題郝玉蟾三公圖]

강·절(江浙) 사이의 여사(女史)로서 그림을 잘한 사람은 이를테면 손벽오(孫碧梧)·낙패향(駱珮香)·조묵금(曹墨琴)·귀패산(歸珮珊)·여정부인(如亭夫人)·분여부인(分如夫人)·청미도인(淸微道人)·장정인(張凈因)·굴완선(屈宛仙) 등 여러 사람이 있는데 모두 규합(閨閤) 사이의 명승(名勝)들이며 죽서여사(竹西女史)는 바로 그 중의 하나이다.
그림은 백운외사(白雲外史)를 법받아 자못 그 신수(神髓)를 전했으며 혼빙여사(惲氷女史)에게 내리지 않는다. 왕석곡(王石谷)·왕녹대(王麓臺) 같은 그림은 얻기 쉽지만 이 그림은 얻기가 쉽지 않다. 눌러 제하여 장진(藏珍)으로 삼는다.

[주D-001]손벽오(孫碧梧) : 손운봉(孫雲鳳)은 여(女)인데 청 인화인(仁和人)으로 자는 벽오요, 원수원(袁隨園)의 여제자(女弟子)이다. 시에 능하며 화훼를 잘 그렸다. 그의 매(妹) 운학(雲鶴)·운난(雲鸞)·운홍(雲鴻)·운한(雲鷳)이 모두 시화에 능하여 일문(一門)의 성함이 족히 송약화(宋若華) 자매(姉妹)에게 짝할 만하였음. 《墨林今話》
[주D-002]낙패향(駱珮香) : 청의 여(女)로 상원인(上元人)인데 기선(其先)은 본디 금릉인(金陵人)으로 뒤에 경구(京口)에 교우(僑寓)하였다. 이름은 기란(綺蘭), 자는 패향, 호는 추정(秋亭)인데 원간재(袁簡齋)·왕몽루(王夢樓)가 모두 여제자로 삼았다. 사생(寫生)에 공(工)하여 소작(所作)의 작약삼타화도권(芍藥三朶花圖卷)에 대하여 말하는 자는 구향(甌香)을 쓰러뜨렸다고 함. 《隨園詩話》
[주D-003]조묵금(曹墨琴) : 청의 여로 오인(吳人)인데 자는 묵금, 왕기손(王芑孫)이 실(室)이다. 서(書)에 공(工)하여 종·왕(鍾王)을 본받고 매화를 잘 그렸음. 《耕硯田齋筆記》
[주D-004]귀패산(歸珮珊) : 청의 여로 상숙인(常熟人)인데 이름은 무의(懋儀), 자는 패산이다. 상양(上洋) 이씨(李氏)에 출가하여 서(書)에 공하고 그림을 잘 그렸음. 《福耕田齋筆記》
[주D-005]장정인(張淨因) : 이름은 인(因)인데 청의 여로 감천인(甘泉人)이요, 자는 정인이다. 황씨(黃氏)에게 출가하여 능시 선화(能詩善畫)하였음. 《名媛詩話》
[주D-006]굴완선(屈宛仙) : 이름은 병균(秉筠), 자는 완선인데 청의 여(女)이다. 원수원(袁隨園)의 여제자로서 소문(昭文) 조자량(趙子梁)에게 출가하여 부부가 다 시에 능하였으며 백묘화훼(白描花卉)를 만들어내어 전고(前古)에 있지 아니하니 당시 사람들이 규합(閨闔) 중 이용면(李龍眠)이라 일렀음. 《墨林今話》
[주D-007]혼빙여사(惲氷女史) : 청의 여인데 혼수평(惲壽平)의 족증손녀(族曾孫女)로 자는 청여(淸如), 호는 호여(浩如), 일호는 난릉여사(蘭陵女史)이다. 화과(花果)를 잘 그려 그 족증조의 법을 터득하여 천면온자(芊眠蘊藉)하며 분(粉)을 씀이 정절(精絶)하였다.
[주D-008]왕석곡(王石谷) : 청 상숙인(常熟人)으로 이름은 휘(翬), 자는 석곡, 별호는 경연(耕煙)인데 산수화를 잘 그려 청초(淸初) 네 왕씨의 하나였음. 혼수평(惲壽平)과 제명(齊名)하여 세상에 왕혼이라 칭함.
[주D-009]왕녹대(王麓臺) : 청 태창인(太倉人)으로 이름은 원기(原祁), 자는 무경(茂京), 호는 녹대인데 연객(煙客) 시민(時敏)의 손(孫)이다. 강희(康熙) 진사로서 벼슬은 호부 시랑에 이르렀으며, 그 산수화는 의경(意境)이 고광(高曠)하여 그의 조(祖) 및 왕감(王鑑)·왕휘(王翬)와 더불어 아울러 사왕(四王)이라 칭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