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이재가 소장한 운종산수정에 제하다[題彝齋所藏雲從山水幀]

천하한량 2007. 3. 9. 18:35
이재가 소장한 운종산수정에 제하다[題彝齋所藏雲從山水幀]

동향광으로부터 그 이후로 왕연객(王煙客)·녹대(麓臺)·석곡(石谷) 등 여러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다 대치(大痴)의 문경(門徑)에서 깊이 비오(祕奧)로 들어갔다. 그러나 각기 자가의 풍치로써 약간 면목을 변동하여 일가를 성취하였다.
이 그림은 곧장 대치를 따르고 자기의 뜻은 쓰지 아니하여 모발이 다 같은 것이 마치 당인(唐人)이 모한 진첩(晉帖)과 같다. 소·황·미·채(蘇黃米蔡)도 오히려 당모에 비하여 일주(一籌)가 모자라는 것은 그것이 진적(眞迹)과 한 등만 낮은 까닭이라. 옥적산방(玉篴山房)에서 중구일(重九日)에 완당은 이재와 더불어 함께 정정하고 인하여 제하다.
이 그림을 들어 현재(玄宰) 여러 사람보다 낫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는 영양(羚羊)이 뿔을 나무에 건 것과 같다면 이 그림은 향상(香象)이 하(河)를 건넌 것과 같다. 동쪽 사람은 대치의 진본을 얻어보지 못했으니 처음 배우는 자는 이 그림으로부터 배워 들어가면 가히 하수할 만하다. 그러나 이 그림의 상일반(上一半)은 또 측량 못할 신변(神變)이어서 필묵의 혜경으로는 미쳐갈 바 아니다. 완당은 또 정정하다.
고모의 난화분은 기이한 정섭이요 / 高帽花盆奇鄭燮
성한 수풀 빈 누각은 절묘하다 우망일레 / 茂林虛閣妙虞望
오늘날 진면목을 동참한 게 다행인데 / 今日同參眞面目
하물며 또 두고광의 그림마저 겸했구려 / 況又兼之杜古狂
이날에 판교(板橋)·고광(古狂) 두 그림을 보고 아울러 기록하여 산방의 고사로 삼는다. 완당은 세 번째 제한다.

[주D-001]소·황·미·채(蘇黃米蔡) : 송조(宋朝) 서가의 사대가로서 곧 소식(蘇軾)·황 정견(黃庭堅)·미불(米芾)·채양(蔡襄)을 이름.
[주D-002]영양(羚羊)이……것 : 《비아(埤雅)》에 "영양은 양(羊)과 같은데 뿔이 커서 밤에 잠잘 때는 뿔을 나무 위에 매달아 외환(外患)을 막는다." 하였음. 《전등록(傳燈錄)》에 "설봉(雪峯)은 이르기를 '我若東道西道 汝卽尋言逐句 我若羚羊掛角 汝向什麽處捫摸'라 하였는데, 《창랑시화(滄浪詩話)》에는 이를 끌어다 시(詩)의 묘처(妙處)를 비유하여 말하기를 "羚羊掛角 無跡可求"라 했다.
[주D-003]향상(香象)이……것 : 《열반경(涅槃經)》에 "如彼駛河 能漂香象"이라 했는데, 지금 문자의 투철함을 평론하여 향상도하라 이른다. 이는 불가어를 써서 비유한 것임.
[주D-004]두고광(杜古狂) : 명 나라 화가 두근(杜菫)임. 산수를 잘 그리고 인물화 역시 백묘(白描)의 고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