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트랜드] 치솟는 물가 어디까지?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9월에 비해 0.3% 올랐다. 전월 대비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월 0.2%를 시작으로 9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0월 대비 상승률은 3.4%를 기록해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 측은 “원유, 구리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공산품 가격이 오른 데다 물동량 증가에 따른 외항 화물 운임 상승 등으로 서비스 가격도 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생산자물가가 이처럼 오르면 소비자물가도 상승할 수밖에 없다.
농축산물이나, 가스·수도·전력 등은 해당 월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고 공산품도 2~3개월 안에 소비자가격에 전가된다. 때문에 10월 생산자물가의 급상승은 2~3개월 뒤 소비자물가 상승을 유발하게 된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도 지난해 10월보다 3.0% 올랐다. 9월(2.3%)에 비해 0.7%포인트 높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줄곧 2.0∼2.5%에 머물러 왔으나 지난달에는 당국의 물가 목표(2.5∼3.5%)를 위협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반면 소비자기대지수는 7개월째 긍정적으로 나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10월 중 소비자기대지수는 103.3으로 4월 이후 기준치 100을 넘었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6개월 뒤의 상황이 지금보다 나아진다고 보는 가구가 나빠진다고 보는 가구보다 많다는 뜻이다.
인플레이션 위험은 없을까.
송준혁 KDI거시·금융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은 “현재 물가 상승은 지난 8~9월 유가 상승의 영향이 크다. 9월 이후에도 유가가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에 연말 물가 상승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 IMF, 국내 가계 부채비율 경고 ■
당국도 위기를 공감해 11월 콜금리는 5.0%대로 동결했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3%보다 조금 높은 수준에서 움직일 것”이라며 “당장 3.5%를 넘지 않겠지만 물가에 좀 더 관심을 갖고 둘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때맞춰 제럴드 시프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부국장이 방문해 국내 높은 가계 부채율을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부채비율은 미국이나 일본보다 높은 수준이다. 높은 가계 부채율은 결국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친다. 만약 이자율이 높아지면 부채 비용 부담도 커진다. 그렇게 되면 한국도 미국과 같은 금융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충일 기자]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431호(07.11.21일자)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경제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락하는 달러 유가상승에 기름 붓다 (0) | 2007.11.22 |
---|---|
기름값 치솟는데 왜 전같은 ‘오일 쇼크’ 없을까요 [중앙일보] (0) | 2007.11.22 |
"'유령아파트'에 사는 느낌" 지방의 한숨 소리 (0) | 2007.11.21 |
‘미분양 대란’ 자초하는 ‘뻥튀기 분양’ (0) | 2007.11.21 |
끝이 안보이는 서브프라임 터널‥신뢰 잃은 美금융주 또 급락 (0) | 2007.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