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記)
운헌기(雲軒記)
화엄종의 중 의공(宜公)이 저번에 나에게 시(詩)를 보내 왔다. 그 시를 음미하고 나는 시 잘 짓는 중을 만났다고 생각하였다. 서로 헤어진 지 오래되었더니 옥천사(玉泉寺)에 머무르면서 나에게 수백 마디의 말을 쓴 편지를 부쳐 왔다. 뜻하는 바와 표현이 바로 문인(文人)과 더불어 거의 차이가 없었다. 나는 곧 의공(宜公)이 시문(詩文)에 뜻이 매우 두텁다는 것을 알았다. 만나서 그의 말을 듣고 싶은 지 오래였다.
금년 여름에 서울로 찾아와서 말하기를, “나는 구름으로 나의 마룻방의 이름을 붙였으니, 선생의 기문을 청합니다.” 하였다. 내가 이미 그의 논의를 들으려고 하였으므로 곧 운헌(雲軒)이라고 이름을 지은 뜻에 대해 묻기를, “공은 어찌 색ㆍ수ㆍ상ㆍ행ㆍ식(色受想行識)의 장애를 받아 뜬구름을 쓸어버리려고 생각한 것입니까?” 하니, 그가 “아닙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공은 어찌 마음대로 가고 향하는 것을 사모하여 법운(法雲)으로 올라가시려 하십니까?” 하니, “아닙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나는 여기에서 갑자기 깨달았다. 이 구름이라고 한 것은 반드시 그가 누워서 보는 구름일 것이다.
누워서 몸을 편안히 할 수 있는 것은 산속의 구름이며, 앉아서 멀리 바라볼 수 있는 것은 하늘의 구름이다. 마루가 어두워지면 구름이 모인 것을 알고, 마루가 밝으면 구름이 지나간 것을 안다. 마루가 시냇가에 있으니 꽃이 곁에 있음을 사랑하고, 마루가 소나무와 마주 대하니 뜬구름이 사랑스럽다. 달이 마루에 들 때 구름이 가렸다가 지나가면 맑은 달빛이 더욱 좋고, 바람이 마루로 불 때 구름이 따라오면 찬 기운은 더욱 더한다. 의공(宜公)이 그 안에서 시를 읊고 노래를 부르면, 시는 더욱 문채가 나고 가사(歌詞)는 더욱 오묘한 경지에 들어갈 것이니, 절로 유익됨이 매우 많을 것이다. 그 구름이 뭉게뭉게 모여서 비를 만들면, 은택은 살아가는 백성들에게 흡족하게 되고, 공(功)은 제전(祭典)을 받들 만큼 높을 것이니 어찌 세상의 교화에 크게 도움되지 않겠는가. 우리 스님이 사물까지 파급하는 마음이 여기에 드러난다. 사물에 파급하는 마음이 먼저 이처럼 정해지면, 뜬구름을 헤치고 법운(法雲)에 올라 자애의 구름으로 삼천 세계를 고루 덮을 것을 곧 기다릴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기문으로 삼는다.
'▒ 목은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記) 중녕산 황보성기(中寧山皇甫城記) -이색(李穡)- (0) | 2007.04.21 |
---|---|
기(記) 엄곡기(嚴谷記) -이색(李穡)- (0) | 2007.04.21 |
기(記) 청주목 제용재기(淸州牧濟用財記) -이색(李穡)- (0) | 2007.04.21 |
기(記) 남양부 망해루기(南陽府望海樓記) -이색(李穡)- (0) | 2007.04.21 |
기(記) 중방 신작공해기(重房新作公?記) -이색(李穡)- (0) | 2007.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