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구서 화도사비첩 뒤에 제하다[題歐書化度寺碑帖後]

천하한량 2007. 3. 9. 18:33
구서 화도사비첩 뒤에 제하다[題歐書化度寺碑帖後]

구비(歐碑)는 지금 현재 해내(海內)에 보존된 것이 일곱인데 이것이 그 중의 하나이며 다만 원석(原石)은 이미 담계(覃溪) 노인을 기다려 송탁(宋拓)의 제본을 합교(合較)하여 제녕학원(濟寧學院)에 모각(摹刻)한 바 있다.
일찍이 성친왕(成親王)이 임서(臨書)한 일본(一本)을 보았는데 이 본과 비교하여 잔자(殘字)의 많고 적음이 하나같지 않으니 성친왕이 임한 것은 바로 남해 오씨(南海吳氏)의 본이다.
이 본은 합교할 때에 미처 수합하지 못한 것 같다. 구법(歐法)은 방(方)하고 굳세기가 쉬운데 이 본이 가장 원신(圓神)을 얻었으니 구법에 깊은 노인이 아니면 이를 알아볼 사람이 뉘랴. 더욱 보중(寶重)할 만한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구법을 소중히 여겨 신라 시대로부터 고려 중엽까지는 다 발해의 유법(遺法)을 정성껏 따랐는데 고려 말 및 본조(本朝) 이래로 오로지 송설(松雪)만을 익히어 차츰 서가의 옛법을 잃음과 동시에 구서(歐書)는 어떤 양식이 되는지조차 몰랐다.
그 뒤에 또 높이 스스로 표치(標致)하여 마침내 집마다 진체(晉體)를 부르고 호마다 종·왕(鍾王)을 내세워 아이 때부터 익히는 것이 다 악의론(樂毅論)·황정경(黃庭經)·유교경(遺敎經) 등이며 당첩(唐帖) 이하는 낮게 여겨 돌아보지 않으니, 모르괘라, 그 익히는 악의·황정·유교는 마침내 이것이 무슨 본이던가.
근자에는 우리나라 한 서가가 ‘만호제력(萬毫齊力)’이라는 한 말을 뽑아내어 모든 사람들을 그릇 지도하며 현완도 익히지 아니하고 엽(擫)·압(壓)·구(鉤)·게(揭)의 칠자(七字)도 익히지 아니하고 구궁간가(九宮間架)도 익히지 아니하고 이 만호제력만 가지고서 서법을 익히고자 하니 너무도 요량 모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미 만호제력이라는 한 말을 택했을진대 왜 또다시 그 윗구절의 ‘장심색농(漿深色濃)’을 뽑아 들지 않았는가? 나도 모르게 붓을 놓고 한번 허허 웃는다.

[주D-001]엽(擫)·압(壓)·구(鉤)·게(揭) : 서법의 운필(運筆)에 대하여 칠자(七字)의 법이 있는데 즉 엽·압·구·게·저(抵)·도(導)·송(送)이다. 또한 발등법(撥鐙法)이라고도 이른다. 남당(南唐) 이후주(李後主)의 《서술(書述)》에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