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사(流水辭)
이색(李穡)
물은 오직 아래로만 흘러 / 水之趨兮惟下
백 번 꺾여도 그냥 내리네 / 日百折兮不舍
바다에 들지 않곤 어느 웅덩이엔들 멈추리 / 不入于海兮何科之停
웅덩이를 채우고는 나아가니 / 盈必進兮
누가 그 멍에를 풀어 쉬게 할꼬 / 誰稅其駕
길가 구덩이에 고인 물도 근원이 없지 아니하여 / 彼行?之靡不源兮
한 여름 비에 위력을 뽐내나니 / 尙逞威於大雨之炎夏也
금방 말라질 듯하다가 곧 이어지니 / 勢暫似兮旋踵
어리석은 자에 자랑할 만하네 / 猶足?於鄙者也
우물을 쳐 깨끗이 한 물을 내 어이 먹지 않으랴 / 吾寧不食於井之渫兮
하늘의 해와 별이 거꾸로 비쳤구나 / 大虛日星之倒寫也
더러운 잡물이 안 섞인 물을 / ?雜穢之不?兮
왜 쳐 내며 왜 쏟아버릴꼬 / 夫何滌而何瀉也
막다른 항구에 항행치 마소 / 毋航斷港兮
막힐까 두려워하네 / 恐其窒也
약수를 밟지 마소 / 毋踵弱水兮
빠질까 두렵네 / 恐其溺也
이에 종장(終章)으로 이르노니 / ?從而亂之曰
천성이 하나인데 선ㆍ악이 어찌나 상대되나 / 性一兮淑慝之胡形
재주는 하나인데 취하고 버림에 걸리누나 / 才一兮取舍之是?
시냇물 샘물은 졸졸 / 澗泉之幽幽
강과 바다는 출렁출렁 / 江海之冥冥
내 그 가운데 노래하니 / 我歌其中兮
귀밑 털 희끗희끗 / ?毛之星星
천 년 뒤에 오는 사람 / 千載有人兮
귀 있거든 들으소 / 有耳其聆
[주B-001]사(辭) : 시(詩)도 아니요, 산문(散文)도 아니면서 운문(韻文)이다. 말하자면 시와 병려문(騈儷文)의 중간에 속한다 할 수 있다. 부(賦)와 비슷하나, 사가 음절(音節)과 정서(情緖)를 위주로 한데 대하여, 부는 서술(敍述)을 위주로 한 점이 다르다.
[주D-001]웅덩이를 …… 나아가니 : 물은 웅덩이에 찬 뒤에 나아간다[盈科而後進]. 과(科)는 구덩이[坎]의 뜻. 《맹자》
[주D-002]누가 …… 할꼬 : 달리는 말의 멍에를 풀어 쉬게 함. “사물이 극하면 쇠하나니, 나는 멍에를 풀 바를 모르노라[物極則衰 吾未知所稅駕也].” 《사기》
[주D-003]우물을 …… 물[井渫] : 우물이 이미 준설(浚渫)됨. 스스로 몸가짐을 깨끗이 함의 비유. 설(渫)은 더럽고 흐린 것을 쳐 버려 깨끗이 함이다. 《주역》 정괘(井卦)에 “깨끗한 우물 물 먹지 않으니 마음 슬프다[井渫不食 爲我心惻].” 하였다.
[주D-004]약수(弱水) : 부력(浮力)이 약하여 새 털도 가라앉는다 한다.
'▒ 목은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송사(自訟辭) -이색(李穡) - (0) | 2007.02.01 |
---|---|
일본국에 사신 떠나는 정몽주(鄭夢周 字는 達可)를 보내며[東方辭]- 이색(李穡)- (0) | 2007.02.01 |
영개사(永慨辭) - 이색(李穡)- (0) | 2007.02.01 |
민지사(閔志辭) -이색(李穡) - (0) | 2007.02.01 |
산중사(山中辭) -이색(李穡) - (0) | 2007.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