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re we really happy here
with this lonely game we play looking for words to say
-
- Searching but not finding
understanding anywhere We're lost in a masquerade
-
- Both afraid to say
we're just too far away from being close together from the start
-
- **
- (We) tried to talk it over
But the words got in the way We're lost inside this lonely game we play
- Thoughts of leaving disappear
Each time I see your eyes
- No matter how hard I try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we carry on this way We're lost in a masquerade
-
- ** Repeat
-
- We're lost in a masquerade
-
|
-
- 해야 할 말을 찾으며
- 이런 외로운 게임을 하는동안
우리는 정말로 행복을 느끼는가요
-
- 찾아보지만 어디에서도
- 우리의 이해가 일치하는 점을 못찾고 있어요
- 우린 가면을 쓰고서 방황하고 있군요
-
- 우린 둘 다 처음부터
서로가 가까워짐으로서 우린 멀리 떨어질 운명이라는걸 말하기를 두려워하고 있어요
-
- **
- (우린) 우리의 문제에 관해 얘기해보려 하지만
- 말이 막혀 해결이 보이지 않아요
우린 우리의 이 외로운 사랑게임 속에서 헤메고 있는거예요
- 당신의 눈을 바라볼 때면 언제나
떠나야겠다는 생각은 사라지고 마는거예요
- 우리가 어떻게 이런 상황까지 왔는지
- 그 이유를 이해하려고
아무리 애를 써봐도 우린 여전히 가면을 쓴 채 방황하고 있어요
-
- ** 반복
-
- 우린 여전히 가면을 쓴 채 방황하고 있어요
-
|
-
NOTES...
-
-
-
- :::: This Masquerade ::::
-
- 두 연인이 오랜 시간을 서로 이해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모습을 자신을 속이고 가면을 쓰고 있다고 노래하고 있는 이 곡은 Carpenters가 부른 곡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원래는 레온 러셀이 1972년에 작사·작곡한 발라드로, 그의 걸작 앨범 『카니』에 수록해 발표하여 많은 가수들이 불러 왔는데, 그 중 기타 주자 조지 벤슨이 분위기 있는 재즈 풍으로 부른 레코드가 1976년 여름에 히트하여, 빌보드의 Hot 100 에서는 8월에 10위까지 상승했다. 벤슨은 이것으로 그래미상의 1976년도 최우수 팝 보컬 남성 가창상 후보로 추천되고, 가수로서도 인기를 높였다. 그 외에도 카펜터즈를 비롯하여 레온 러셀, 헬렌 레디, 카멘 맥레에 등이 불렀다.
-
-
- :::: Carpenters ::::
- Karen Carpenter와 Richard Carpenter의 남매로 구성된 카펜터스는 3인조로 시작된 그룹으로 60년대 후반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미국 Connectict의 클럽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던 Richard는 Wes Jacobs를 베이스 주자로 하여 그의 누나인 Karen의 백업 밴드로 나선다. Karen은 이 두 명의 멤버와 함께 활동하며 캘리포니아 지역 레이블인 Magic Lamp와 계약을 맺는다. 첫 싱글들은 실패작이었지만 이들은 1966년 Band Contest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주목을 받고 월드 레이블인 RCA로 소속을 옮기기에 이른다. RCA로 소속을 옮긴 이들의 이름은 The Richard Carpenter Trio였다. 다양한 음악적 토대를 가지고 있었던 Richard Carpenter의 능력이 그룹을 주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다.
'68년 Jacob은 그룹을 탈퇴하고 Richard의 친구인 John Bettis가 그 자리에 들어왔으며 그룹의 이름은 Spectrum으로 바뀐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Bettis도 그룹을 떠나고 이들은 남매만이 남아 결국 듀오로서 데뷔 앨범 작업에 들어간다. '69년 이들은 The Carpenters라는 이름을 걸고 데뷔 앨범 [Ticket To Ride]를 발표한다. Karen의 차분하고 가녀린 보컬은 데뷔 앨범을 통해 주목받기 시작했고, 70년 발표된 이들의 두 번째 앨범 [Close To You]는 Dionne Warwick의 음악 동료로서 유명한 Burt Bacharach가 참여하면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게 된다. 수록곡인 '(They Long To Be) Close To You'는 이들에게 첫 번째 No.1을 안겨 주었으며 이 앨범을 통해 이들은 Grammy에서 2개 부문을 수상하는 영예를 누리게 된다. 이들은 70년대의 출발과 동시에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75년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당시의 팝과 록은 화려하고 복잡한 음악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글램록이라고 하는 화려한 음악의 인기가 극에 달했고, 다른 한 쪽에서는 프로그레시브라는 난해한 장르가 인기를 얻고 있었다. 하지만 다수의 대중들은 쉬운 음악과 달콤한 사운드를 필요로 했고, 카펜터스는 이런 흐름 속에서 Easy Listening, Contemporary로 불리는 쉽고 달콤한 팝 음악으로 대중에게 어필했다. 두 멤버의 모습은 단정했으며 리처드의 곡조와 연주는 난해하지 않았고, 카렌의 목소리는 차분하고 밝았다. 또한 카렌의 영어 발음은 지금까지도 가장 교과서적인 발음으로 대접받고 있다.
대중에게 거부감 없이 다가선 이들은 3곡의 No.1과 12곡의 Top 10 히트곡을 만들어 내며 인기를 이어나간다. 71년 발표한 [The Carpenters]에서는 'Rainy Days And Mondays', 'Superstar'(이후 이들의 Tribute 앨범인 [If I Were A Carpenter]에서 Sonic Youth가 재해석하여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가 히트했으며 72년 작 [A Song For You]에서는 'Hearting Each Other', 'Top Of The World'가 히트했다. 73년에 내놓은 [Now & Then]에서도 히트 행진은 이어져서 George Benson 원곡의 'This Masquerade'와, 국내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Yesterday once More'가 히트를 기록했다. 하지만 75년 [Horizon] 이후 이들의 인기는 쇠퇴하기 시작한다. Richard는 마약의 수렁에 빠져 78년부터 갱생 치료를 받기에 이르렀고, Karen 역시 지나친 다이어트로 거식증에 걸려 차츰 고통 속으로 빠져들기 시작한다. 결국 이들의 히트 행진은 멈추었고, Karen은 다시 인기를 얻고자 79년 솔로 앨범인 [Phil Ramone]를 발표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앨범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81년 이들은 두 멤버 모두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힘을 모아 앨범을 내놓는다. 'Touch Me When We're Dancing'을 차트 16위에 올리며 이들은 자신들의 Come Back을 알리지만 이 곡이 수록되어 있는 [Made In America]는 83년 Karen의 죽음으로 인하여 마지막 앨범이 되고 만다. 거식증으로 고통받던 Karen이 심장 이상으로 세상을 떠난 이후 Richard는 Dusty Springfield, Dionne Warwick과 같은 거물급 여가수들과 함께 87년 자신의 솔로 앨범인 [Time]을 발표하여 인기를 얻었다. [ From Aod.nate.com ]
-
-
- *masquerade : 가면(가장) 무도회, 가장(가면) 파티. 가면, 가장. 기만, 거짓말
- - 가장무도회(masquerade) :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서양에서도 옛날엔 춤추고 노래하는
- 건 귀족들이 아닌 일반 상민들이나 즐기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귀족들도 항상 점잔
- 만 빼며 따분한 일상을 살고 싶진 않아 그들도 이런 춤추는 파티에 오고 싶었는데
- 체면상 얼굴 내밀고 올 수가 없어서, 가면을 쓰고 신분을 숨긴 채 참가한데서 가면
- 무도회가 유래했다고 함. 유명한 쉐익스피어의 'Romeo & Juliet' 에서도 등장함.
- *talk over : …에 관해 상담(이야기)하다(discuss). [남〕을 설득하다. [전화 따위로]
- 이야기하다 (to...).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다
- - Why don't you talk it over with your parents?
- 그 일을 부모님께 얘기해서 해결해보도록 하지 그래?
- *in the(or a person's) way : 도상에. 방해가 되어.
- He is always in my way. 그는 언제나 나를 방해한다 - I do not want to stand in the way of your advancement.
- 너의 승진을 방해하고 싶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