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랍인 조르바/ Zorba The Greek(Alexis Zorbas) 음악적인 리뷰+음악모음
1964년/제작+각본+감독: Michael Cacoyannis/주연: Anthony Quinn(공동제작)
+Alan Bates/음악: Mikis Theodorakis/142분, 흑백.
난세에 명장은 자기를 알아주는 군주 한명을 위해서 목숨까지도 바친다는
중국의 오래된 옛말도 있지만, 멕시코 출신의 이 배우,
Anthony Quinn(1915-2001, 멕시코 치후아후아) 의 경우,
아니러니 하게도 할리우드가 아니라 정작 유럽에서 출세작들이 연이어 나오기
시작했다는 것은 역시 당시에 세계 영화계를 빛냈던 재능 있는 (또 자기의
재능을 인정해주던) 인물들이 유럽에 그만큼 많았다는 얘기도 된다. 1954년에
La Strada 를 같이 만든 Federico Fellini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퀸 같이 천의 얼굴을 가진 배우는 정말로 찾기가 쉽지 않다고 하였는데,
‘콰시모토’(Notre Damn De Paris, 1956)같이 흉물스러운 역부터 세계 최대의
재벌(The Greek Tycoon, 1978)역까지 어느 역할이던 맡기만 하면 척척 어울렸던
변신의 천재 앤소니 퀸에게 있어서도 이 작품에서의 그리스인 졸바(Zorba)는
절대로 잊을 수 없는 참으로 위대한 역할이었다.
그리스가 낳은 위대한 시인이며 소설가 (철학가) 였던
Nikos Kazantzakis(1883-1957, 그리스 크레타) 는
1942년에 ‘Alexis Zorbas’라는 소설을 발표하여 전 세계 문단에 참으로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이후 1945년에서 1948년까지 그리스의 내무부장관을 역임하면서
출세도 하였으나, 1948년의 ‘The Greek Passion’, 1950년의 ‘Freedom Or Death’,
그리고 1951년의 ‘The Last Temptation Of Christ’(1988년에 Martin Scorsese 가
영화화하여 큰 문제를 일으킴/ 지금까지 카잔차키스의 총 6편의 소설이 TV극을
포함하여 영화화 됨) 같은 종교적인 색채가 아주 강한 소설들을 쓰기 시작하여
문단뿐만 아니라 종교계에도 큰 물의를 일으켰고, 그리스 정교회를 비롯한 전 세계,
기독교계의 강한 지탄들을 받았으며 아직까지도 몇 권의 소설은 (그들의) 금지도서
목록에 여전히 올라있다고 한다.
여하튼 이렇게 결코 평범하지 않은 인생을 살다간 문인, 카잔차키스의
자전적인 인생경험도 일부 담겨있다는 이 소설의 무대는 그의 고향 인
크레타(Crete)섬인데 그 섬에 살던 이 소설의 주인공 졸바를 가르켜서,
“지금은 비록 돌아가셨지만 나의 인생과 영혼에 길잡이로서
큰 자취를 남긴 사람인 그는 비록 (문명)문화인이 세워놓은 도덕적인 규범과
종교 등의 (인위적인)울타리를 무시하고 또 쉽게 부셔버린 자이긴 하지만
항상 인생을 정열적으로 사랑하되 결코 죽음을 두려워말고 살라고 내게 내내
가르쳐 주었다“라고 한 1940년대 말의 회상은 ‘Zorba The Greek‘이
과연 어떤 사람인가를 쉽게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자 그럼, 1954년에 시나리오 작가와 감독으로 동시에 그리스 영화계에
데뷔하여 10년째의 경력이 있던
Michael Cacoyannis(1922, 싸이프러스) 가
이미 30년의 영화 경력을 자랑하며 명예와 부를 걸머지고 있던 세계적인 거장,
앤소니 퀸 과 공동으로 제작을 한 이 영화는 ‘Zorba The Greek’을
과연 어떻게 묘사했는지(각본 역시 카코야니스) 한번 살펴보자.
새로운 인생경험을 하고 싶어 하는 젊은 영국인 작가,
Basil(Alan Bates, 1934-2003 영국) 은 유산으로 상속받은
폐광이 있는 그리스의 Crete 섬을 방문한다. 그리고 비가 쏟아지는 부둣가에서
술주정꾼 같이 보이지만 그러나 결코 평범하지 않아 보이는 중년의 희랍인,
Alexis Zorbas(Anthony Quinn, 1915-2001, 멕시코 )을
만나게 되고, 넉살좋은 그를 즉석에서 고용하게 된다.
그러나 근엄한 영국식 (문명)교육을 받은 소심한 베이질 에게 (시간이 감에 따라
본색을 드러내며) 자유분방하고 제멋대로 세상을 사는 듯한 졸바의 무분별한
말과 행동은 참으로 아슬아슬하게 보이고 거칠기 짝이 없다.
심지어 자재를 사러 읍내에 간다고 하고서는 며칠째 술과 여자에 빠져
소식조차 없는 경우도 있으니 베이질 같은 문명인의 관점으로 보면 도저히
이해가 쉽지 않은 사람임에는 틀림이 없다.
“혼자 자는 여자를 그냥 내버려두는 것은 모든 남자의 큰 수치”(If A Woman
Sleeps Alone, It Puts A Shame on All Man)
졸바는 프랑스에서 건너와 읍내에서 여인숙을 하는
Madame Hortense(Lila Kedrova, 1918-2000, 러시아) 와
가까워지기도 하면서, 베이질 에게도 읍내에서 혼자 사는 어느
‘미망인’(Irene Papas, 1926, 그리스) 과 사귀어보라고
권하기도 하는데, 황량한 곳에서 외로운 그도 차츰 마음이 쏠리기 시작한다.
하지만 동네주민들이 이 미망인에게 가한 집단 린치에서 큰 충격을 받은 베이질.
[위의 사진/ 돌로 여인을 치는 신약의 성경구절에서 인용하였다고 하는데,
우리는 여기서 카잔차키스가 어느 날 갑자기 ‘예수의 마지막 유혹’(1951)같은
소설을 쓴 것이 아님을 알 수가 있다.]
이후, 졸바를 통해 이렇게 사는 인생도 있구나 하는 깨달음 속에서 자신도
차츰 라이프스타일 과 사상을 바꾸게 되고, 또 가진 걸 모두 투자하여 설치한 광산의
케이블 리프터가 한 순간에 무너져 내리는 그 절망적인 순간에도 바닷가에서
‘Hasaposerviko’(또는‘Hasapico’/ 터키에서 시작이 되었으나 집시들에 의해
유럽전역으로 퍼진 춤의 한 형태) 라는 고대적 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춤을 추는
졸바에게 나도 그 춤을 배워서 함께 추고 싶다고 말하게 된다.
(앤소니 퀸은 이춤을 배우다가 발목을 다쳐 한동안 걷지를 못했다고 한다.)
그리고 둘이는 어깨를 나란히 하고 그 ‘Syrtaki’(‘Hasapico’ 춤의 하나)의 리듬에
맞춰 함께 춤을 춘다.(아래 사진)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의 폐막식에서도 들을 수 있었던 이 그리스 전통음악
(‘Old Rebetika Song’)을 절묘하게 잘 인용한 이 영화의 OS는
1960년의 Never on Sunday 의 음악으로 아카데미상까지 수상한 유명한
Manos Hadjidakis(1925-1994, 그리스)와 단짝이면서,
그와 함께 그리스 음악계의 쌍벽을 이루 워 오다, 1962년의 Phaedra 의
영화 음악으로도 전 세계적으로 실력을 인정받은
Mikis Theodorakis(1925, 그리스) 가 맡았다.
(그의 자세한 설명은 1962년의 훼드라 의 리뷰 참조)
특히 이미 Melina Mercouri 가 부른 ‘Never on Sunday’의 주제곡에서도
등장을 한바 있는 그리스의 전통 민속악기, ‘부주키’(Bouzouki) 의 독창적이고
특이한 연주의 이 Main Theme 은 이 영화의 영원한 명장면으로 손꼽히는 끝 장면,
‘Zorba's Dance’에서 큰 기둥 역할을 하여 이 영화가 성공한 3대요인
(원작, 연기, 음악) 중의 하나로 아직까지도 인정을 받고 있다.
(이곡은 이 영화 개봉이후, 멜리나 메르꾸리가 부르기도 하였다/아래 노래)
'▒ 1960년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부르의 우산/ Les Parapluies De Cherbourg 음악적인 리뷰 + 동영상 (0) | 2007.07.17 |
---|---|
야성의 엘자/ Born Free 음악적인 리뷰 + 음악모음 (0) | 2007.07.17 |
닥터 지바고 / Doctor Zhivago 리뷰 (Behind The Scenes) + 음악 (0) | 2007.07.17 |
My Fair Lady / 마이 페어 레이디 음악적인 리뷰 + 동영상과 음악모음 (0) | 2007.07.15 |
대 경주 (그레이트 레이스) / The Great Race 음악적인 리뷰 + 음악 (0) | 2007.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