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지바고 / Doctor Zhivago 리뷰 (Behind The Scenes) + 음악
1965년/ 공동제작 + 감독: David Lean/주연: Omar Sharif + Julie Christie +
Geraldine Chaplin/음악: Maurice Jarre/ 197분
(한 두 나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좌우의 이념갈등이 사라진
지금 생각해보면, 도대체 자국에서 자기가 심혈을 기우려 쓴 소설을 출판조차도
하지 못하고, 또 외국에서 간신히 출판을 한 소설로 그 영광스러운 노벨상까지
받게 되었는데, 그나마도 정권의 압력으로 그 상을 받을 수 없었으며,
오히려 그 일로 해외추방의 위기까지 겪었다는 게 도대체 사실로 믿어지기나 할까?
그러나 1957년에 이태리에서 처음 출판이 된 소설, 닥터 지바고의 저자,
Boris Pasternak (1890-1960, 러시아 모스코바)에게는
이 모든 것이 (서글픈) 현실이었고 사실이었다.
러시아 혁명의 나쁜 점만을 강조하여 자국의 치부를 드러내었고, 당시의 혁명의 주체
이었던 인민들을 중상모략 하였다는 것이 1958년에 있었던 ‘Pasternak 탄핵운동’의
요지였지만, 주겠다고 한 노벨상(1958 년) 수상은 고사하고, 작가동맹에서도 퇴출
시켰으며, 국외로 추방시키자면서 먹고 사는 길마저 막아, 2년 후,
결국 남의 집에서 자신이 쓴 마지막 소설의 주인공, 지바고처럼 외롭고 쓸쓸하게
병사하도록 만든 그 서슬이 시퍼렀던 사회주의 종주국의 공산당 정권 역시 이제는
모두 세월의 뒤안길로 사라져 갔다.
그러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고 했던 당시의 그 사람들이 그렇게 반대하였던
닥터 지바고는 1959년, 파스테르나크가 와병중일 때,
의외로 브라질에서 먼저 TV 시리즈(‘Doutor Jivago’)로 방영이 되면서
일반인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또 그가 죽은 지 5년 후, 1965년에 발표가 된
이 데이빗 린감독의 대작 영화, 닥터 지바고 로 해서
대부분의 전 세계인들이 알게 되는 명작으로서 또 한편으로는 (서글픈)역사의
증거물로서 영원히 우리들 곁에 남게 되었다.
젊은 시절에는 경찰이었다가 지금은 장군이 된
Yevgraf Zhivago (Alec Guinness, 1914-2000, 영국)(위의 사진)가
자기의 조카를 찾는 첫 장면이 바로 이 영화의 크나 큰 문을 열고 닫는 열쇠가 된다.
그리고 그 조카(소녀)의 부모인
Yuri Zhivago (Omar Sharif, 1932,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와
Lara Antipova (Julie Christie, 1941, 인도/ 영국국적)의
기구한 운명의 사연들이 소년, 유리 지바고가 어머니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것으로
부터 (회상의 형식으로) 시작이 되는데, 나중에 부인이 되는
토냐(Tonya/Geraldine Chaplin, 1944, 미국 CA) 의
부모의 도움으로 커서 의사가 되는 지바고는 시인으로서도 명성을 날리게 된다.
한편, 죽은 아버지의 친구로서 홀어머니를 도와주던
Victor Komarovsky (Rod Steiger, 1925-2002, 미국 뉴욕)에게
처녀성을 상실한 17세의 라라는 러시아의 혁명을 적극 지지하는 좌파 대학생,
파샤(Pasha/Tom Courtenay, 1937 영국)를 사랑하고
또 결혼까지 하게 되는데, 이런 와중에서 (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대전은
이들 주인공 모두를 엄청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밀어 넣게 된다.
(우랄산맥에 있는) 그라도프(Gradov)에서 소박한 결혼 생활을 하던 라라.
어린 딸, 카차를 남겨두고 입대한 남편, 파샤를 찾기 위해, 종군 간호사로 자원을
하게 되고,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군의관 지바고를 만나 6개월간을 함께 지내며
서로 사랑을 느끼게 되지만 1917년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으로 그만 헤어지게 된다.
한편, 부인, 토냐와 아들, 사샤가 기다리는 모스코바로 돌아온 지바고는
인민위원회가 접수를 하여 13가구가 함께 사는 집에서 변한 시류에 적응을 하지 못해
고생을 하다가, “부르주아의 방종”같다는 그의 시에 대한 악평 때문에 숙청의 대상이
되자, 이복 형, 예브그라프의 도움을 받아 우랄산맥에 위치한 도시, 유리아탄(Yuriatan)
인근의 바리키노(Varykin)로 피신을 하게 된다.
(이 때의 10일간의 대륙횡단 열차여행 장면들 역시 이 영화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기구한 운명은 유리아탄의 도서관에서 지바고와 라라를 재회하게 만들고
토냐 에게 죄의식을 느끼면서 마치 두 집 살림을 하듯 왕복을 하던 지바고는
어느 날 갑자기 의사가 필요한 (좌파)빨치산에 의해 납치가 되면서
또 다시 기나 긴 이별의 시간, 2년을 더 보내게 된다.
한편, 이 사이에 토냐 와 식구들은 빠리로 추방이 되고, 좌파인 赤軍의 사령관이
된 파샤(Strelnikov 장군)의 갑작스런 숙청으로 라라역시 위기에 처하게 된다.
빨치산부대에서 탈출을 하여 흰 눈벌판을 걸어서 라라에게로 다시 돌아온 지바고.
바리키노의 집에서 함께 지내며 라라를 위한 시집 집필을 하는 등,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잠깐, 자신의 아이를 임신한 라라를 평생을 그녀를
괴롭혀 온 코마로프스키와 함께 극동으로 또 다시 떠나보내지 않을 수가 없게 된다.
(얼음궁전 같은 이층으로 얼른 뛰어가 창문을 깨고 흰 지평선 위로 사라져가는 썰매를
쳐다보던 이때의 장면은 참으로 인상적인 이 영화의 명장면이 아닐 수 없다./아래사진)
1920년에 내전이 모두 끝나고, 8년의 세월이 흘러간 어느 날의 모스코바.
가족이 있는 빠리로 가지 않고 사랑하는 조국에 그냥 남아 모스코바의 한 병원에서
근무를 하던 건강이 약화된 지바고는 우연히 라라를 길에서 발견하고
그녀를 급히 뒤쫓아 가다 심장마비를 일으켜 그만 쓰러지고 만다.
제1차 세계대전(1914년 7월 - 1918년 11월)이 발발하고, 또 전쟁 중인 1917년에
일어난 2월과 10월의 두 차례의 러시아 혁명으로 야기된 내전,
즉, Lenin(1870-1924) 과 Trotskiy(1879-1940)가 주도하던 적군(Red/좌파)과
서방국가가 지원하던 백군(White/우파)이 싸우던 내전(1917-1920)과 같은 시대적
배경을 참조 하면, 그 우랄 산맥의 눈부신 설원을 배경으로 피어나는 사랑과 이별
그리고 재회 등이 더욱 쉽게 이해가 되는 이 대하드라마는 놀랍게도 바로 비운의
작가, 파스테르나크자신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약 80%) 담겨져 있다.
유태인 중산층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나(모스코바/ 화가였던 아버지는 라흐마니노프와
톨스토이와도 친구사이였다는데, 이 톨스토이는 파스테르나크의 생애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어머니는 피아니스트), 27세의 나이에 첫 시집을 내자마자
혁명의 소용돌이에서 지바고같이 (1930년대의 출판금지 처분 등의) 엄청난 시련을
겪었던 파스테르나크 자신도 토냐로 묘사가 된 부인, 지나이다와 함께 살면서,
1946년에 실제의 라라라고 할 수 있는 여인, 올가(Olga Ivinskaya)를 만나게 되고,
그녀에게서 영감을 얻어 1956년도까지 약 10년간에 걸쳐 이 대하소설을 완성하였다고
하는데, 올가는 파스테르나크와의 관계로 인해 두 번씩이나 (대리 처벌로) 감옥에도
갔었다고 한다(1990년대 중반, 서방 언론과 인터뷰한 기록).
‘Il Dottor Zivago’라는 이태리어 제목으로 (1957년에) 출간이 되었던 이 소설은
파스테르나크가 그토록 떠나기 싫어했던 조국에선 고르바초프가 집권을 하고난
1988년에서야 모국어로 정식 출간이 되었다.(이 영화는 1994년에서야 개봉)
‘Lawrence Of Arabia’(1962)의 촬영을 끝내자마자 파스테르나크의 소설을 읽고,
막 바로 다시 (前作과) 같은 팀을 구성해 제작에 착수한
David Lean (1908-1991, 영국) 감독(卿)은
이태리의 명배우, 소피아 로렌의 남편이자 거물 제작자(이 영화의 공동제작자)인
카를로 폰티(Carlo Ponti/1912, 이태리)가 요구한 소피아 로렌의 라라 역 기용을
그 큰 키 때문에 단번에 거절하였다고 하지만, 토냐 가 역에서 입었던 분홍색 코트도
직접 고르는 등, 아주 세밀한 분야까지 일일이 다 신경을 쓰고, 또 700 쪽 분량의
원작소설을 284 쪽으로 각색(Robert Bolt= 미국 아카데미 각본상)하는 데만 1년을
소요할 정도로 모든 작업에 완벽한 준비를 하였다고 한다.
(1964년12월부터 1965년10월까지 촬영, 같은 해 12월22일 처음 개봉)
혁명 같은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사건들 보다는 한 인간, 지바고 의 러브스토리에
더욱 초점을 맞춘 린 감독의 예상은 적중하여 초기의 평단의 악평에도 불구하고
대대적인 흥행성공을 하게 된다. 그리고 1966년, 제38회 미국아카데미상에서,
비록 감독상과 작품상을 사운드 오브 뮤직(1965)에 넘겨주었지만,
5개의 상을 휩쓸면서 데이빗 린 생애의 최고의 대표작이 되었고,
1991년의 그의 장례식에서도 바로 이 영화의 대사가 낭송이 되었다고 한다.
아버지의 뜻을 어기고 타악기 주자로 음악을 시작한
모리스 자르(Maurice Jarre/1924, 프랑스 리옹) 는
데이빗 린 감독과 ‘Lawrence Of Arabia’로 이미 1963년에 손을 맞잡고
아카데미상을 수상한바있지만, 3년 후, 이 영화로 또 다시 그 영예를 누리게 된다.
처음에는 지바고 와 러시아의 이미지로만 작곡을 한 여러 곡의 주제음악들이
전부 린 감독의 불합격 통지를 받자, 포커스를 라라 에게 맞추고 등산을 하면서
산 정상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 드디어 OK 사인을 받은 Main Theme,
'▒ 1960년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성의 엘자/ Born Free 음악적인 리뷰 + 음악모음 (0) | 2007.07.17 |
---|---|
희랍인 조르바/ Zorba The Greek(Alexis Zorbas) 음악적인 리뷰+음악모음 (0) | 2007.07.17 |
My Fair Lady / 마이 페어 레이디 음악적인 리뷰 + 동영상과 음악모음 (0) | 2007.07.15 |
대 경주 (그레이트 레이스) / The Great Race 음악적인 리뷰 + 음악 (0) | 2007.07.15 |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West Side Story 음악적인 리뷰 + 동영상과 음악모음 (0) | 2007.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