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 태권도 인들의 대표자, 이사회 이대로 괜찮은가?
이처럼 국기원 이사회가 전 세계 태권도 인들의 마음을 읽지 못하고 발전적인 대안 심의 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첫째는 이사진들의 자질부족이다. 태권도는 알지만, 태권도의 미래의 비전과 발전방향을 설계할 능력과 열정을 갖춘 자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 국기원을 전 세계 태권도인들을 위한 선진 서비스 조직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서는 태권도의 기술 뿐 아니라, 기획, 홍보, 마케팅, 영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돼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전문가 풀이 이사회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는 이사진들의 고령화이다. 나이가 많다고 무조건 비판을 받아서는 안 된다. 하지만 현재 국기원 이사진의 평균 나이는 60세가 넘는다. 일반 사회로 치면, 모두 정년퇴직을 했어야 하는 나이. 한마디로 일을 벌이고 추진할 만한 역동적인 조직이 아니라는 반증이다. 경륜과 인덕을 갖춘 노장들과 일을 벌이고 추진할 젊은 장수들의 조합이 건강한 조직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조직구성의 상식이다. 현재 국기원은 이 상식을 뛰어넘은 조직체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도덕의 불감증이다. 현재 이사들 중 각종 태권도와 관련 비리혐의 등으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자가 7명 정도나 된다. 형사 처분을 받아도 국기원의 이사가 되는 데는 아무 지장이 없다. 세계태권도본부라고 자부하는 재단에서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도덕성마저 결여된 인물들을 이사로 대거 이사로 선임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 태권도인들을 대변하고, 기원을 움직이는 이사회 멤버들이 그런 인사들이라고 하는 것은 전 세계 태권도인들에 대한 모욕이다.
네 번째는 이사진의 운용이다. 이점은 정말 해도 너무하다. 이미 정관에 따라 해임된 자가 이후 1년 만에 정관 개정을 통해 재선임이 되기도 하고, 태권도와 관련해 비리혐의로 구속 수감이 된 자도 선임이 되고, 국기원 직원 재임시절 공금횡령으로 퇴출된 자를 이사로 선임하는 것이 현재 국기원의 이사 선임의 현 주소다.
이사 선임은 이사회에서 선출한다. 선출에 가장 큰 영향력은 이사장(엄운규 원장)이 갖고 있다. 자연스럽게 이사장 핵심 측근들이 대거 위촉될 수밖에 구조. 간혹 이해관계에 얽혀 ‘압박’과 ‘안배’의 차원에서 선임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다섯 번째는 상근이사들의 능력에 비해 과도한 처우와 연봉. 국기원의 상근이사는 원장을 제외하고 부원장 2명과 교학처장 1명이다. 이들의 업무는 봉사직도 아니고 실질적인 국기원의 업무성과에도 거의 영향을 주고 있지 못하다. 어찌 보면 직책상 봉사 직이 더 어울려 보인다. 그럼에도 이들에게는 최저 8천만, 최고 1억 원이 넘는 연봉이 지급된다. 게다가 활동비와 차량도 지급되고 있다. 상근이사 한명의 급여와 처우비용은 젊고 유능한 인재를 최소 3명에서 4명까지 채용할 수 있는 금액이다.
|
|
|
이젠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
국기원을 움직이는 이사회가 이러한데, 전 세계 태권도인들이 무슨 비전과 희망으로 태권도의 미래를 이야기하겠는가? 변해야 한다. 발전을 위한 변화가 아닌 생존을 위한 변화를 시작해야할 시기이다.
먼저 이사회에 젊고 일할 수 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이사로 대거 선임하여 신구의 조화를 이뤄내야 하다. 비 태권도 인들이 봐도 떳떳한 최소한의 도덕성을 갖춘 이사들을 선임. 자신의 ‘새끼’ 챙기기 보다는 태권도를 위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위주의 선임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상근이사진들에게 지급되는 높은 고임금도 과감하게 봉사 직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젊은 인재에 투자해야 한다. 이사진들의 임기도 최대 2회 연임으로 제한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공유될 수 있는 ‘순환시스템’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20년 전, 삼성 이건희 회장이 미국 내에 한 마트에서 팔리지 않는 먼지 쌓인 삼성 VTR 을 보고 글로벌 경쟁의 위기를 자각, 처자식만 빼고 다 바꾸라는 비장한 선언을 하고 숨 가쁘게 달려온 결과 삼성은 현재 세계에서 존경받는 기업으로 성장해 있다. 그와는 반대로 위기를 자각하지 못한 무수히 많은 거대 기업들이 사라져가기도 했다.
국기원은 전 세계를 맨주먹으로 뛰며 글로벌화를 이루어낸 훌륭한 사범들과 7,000만 명의 태권도 수련인구와 함께 하고 있다. 태권도계도 이건희 회장과 같은 위기와 변화를 자각하고 태권도의 초 일류화를 이뤄낼 지도자를 갈망하는 것은 욕심일까?
20년 후 국기원이 세계의 초일류 무도 중앙도장 및 행정 서비스 기관으로 자리 잡을지, 아니면 역사 속에 사라진 초라한 역삼공원으로 변할지는 태권도계 최고 수장인 엄운규 이사장의 결연한 의지와 결단에 달려있다.
[다음은 탐사기획 1-2 ‘신이내린 직장 국기원? 방만 운영으로 위기 자초!’가 보도될 예정입니다.]
- harrison@mookas.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