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혀진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 경로 |
---|
미국과 네덜란드 학자들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에이즈 바이러스인 HIV-1의 전염 초기경로에서 핵심역할을 하는 단백질 물질을 밝혀냈다 고 CNN 방송이 6일 보도했다. 전문지‘셀’3월 3일자에 실린 이 연구결과는 에이즈 바이러스가 어떻 게 인체에 침투해 면역세포를 공격하는지를 밝히는데 주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라면서 현재로서는 이 발견을 적용한 의학적 처방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다소 시기상조지만 학자들은 이를 통해 에이즈 백신이나 새로운 약물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 성행위를 통해 HIV-1이 전염될 때 이 바이러스는 여성의 질, 자궁경부 또는 직장의 점막조직과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이들 점막조직에는 나무가지(수상돌기) 세포로 알려진 세포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나무가지 세포가 에이즈 바이러스를 받아들여 CD4+T로 불리는 면역세포에 전달하는 것으로 학자들은 믿고 있다. 이번 연구팀은 에이즈 바이러스가 나무가지 세포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 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즉 HIV-1 바이러스가 점막조직과 접촉할 때 나무가지 세포 표면에서 배출된 DC-SIGN 이라는 단백질에 들러붙게 되며 DC-SIGN은 이 세 포를 전염시키지 않으면서 에이즈 바이러스가 림프선에 있는 면역세포 까지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DC-SIGN은 네덜란드 네이메헌 대학병원의 이베트 반 코이크 박사가 8 년 전에 처음 발견했으며 이후 네덜란드 연구팀은 뉴욕 대학 의학센터 댄 트만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과 함께 HIV-1이 어떻게 나무가지 세포 에 달라붙는지를 밝히기 위한 연구에 들어갔다. 연구팀은 셀지에 실린 논문을 통해“나무가지 세포는 DC-SIGN과 CD4를 배출해내지만 HIV-1을 붙잡기 위해 선택적으로 DC-SIGN을 사 용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다음 연구단계로 에이즈 전염과정에 대한 동물실험을 실시하 고 있으며 이 연구결과가 인체에 적용될 경우, 에이즈 바이러스의 감염 방지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출처 : 경향신문] |
'▒ 건강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건강] 눈 건강 해치는 주범 - 컴퓨터 전자파 (0) | 2007.05.24 |
---|---|
획기적 천식 치료제 개발 (0) | 2007.05.24 |
산후풍의 주범은 제왕절개 (0) | 2007.05.24 |
정력의 근원은 웃음 (0) | 2007.05.24 |
한약/보약,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 (0) | 2007.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