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여론조사 이어 국민 여론조사 실시
KBS "디지털 전환 위해 더 미룰 수 없어"
일부 시민단체 "감량경영ㆍ공정성 선행돼야"
KBS가 수신료 인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KBS는 최근 정부가 마련한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방송의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안'에 '방송사업자의 디지털 전환 비용 부담에 따른 수신료 현실화와 광고제도 개선 등 지원방안을 마련해 국회 등 관련기관에 건의한다'는 내용이 포함됨에 따라 수신료 인상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
KBS는 9월 정기국회에서 수신료 인상안을 통과시킨다는 것을 목표로 관련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앞서 KBS 이사회는 18일 임시이사회를 열어 수신료 인상 문제를 논의한 뒤 23일 정기이사회에서 이를 의결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수신료 인상은 KBS 이사회와 방송위원회를 거쳐 국회 문화관광위와 본회의에서 통과돼야 하는 사안. KBS 이사회가 인상안을 의결하면 60일 안에 방송위가 검토를 마친 뒤 국회로 제출해야 한다. KBS는 이사회 의결을 마무리한 뒤 6월 중 인상안을 방송위로 보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최병찬 KBS 홍보팀장은 "디지털 전환을 위해 해마다 4천억~5천억 원의 추가비용이 들어가는데, 만일 올해 수신료 인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2012년까지 지상파TV의 디지털 전환을 완료한다는 정부의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면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인상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KBS는 4월30일까지 수신료 인상에 대한 사원 의견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현재 대국민 여론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KBS 사원 1천254명(전체의 23.7%)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신료 인상 방식에 대해서는 '공영적 재원이 상업적 재원보다 많아질 때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물가와 연동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508명(43%)으로 주를 이뤘다. 수신료 인상 폭은 '1천원 인상+물가연동제'라는 응답이 384명(33%)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KBS 사원들은 외부에서 요구하는 수신료 인상 전제조건에 대해 '경영정보 공개 등 경영투명성 보장'(30%), '임금피크제 도입'(19%), '명예퇴직이나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15%) 등의 순서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답했다.
'만약 수신료가 인상된다면 인상된 금액을 주로 어느 부문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가'라는 질문에는 '공익적 프로그램 제작 확대'(24%)와 '디지털 전환 사업'(23%)을 가장 많이 꼽았다.
TV 수신료는 81년 이후 27년째 월 2천500원으로 묶여 있어 KBS를 비롯한 방송계에서는 수신료 인상과 함께 물가 연동 방식으로 바꾸는 것을 추진해왔으며, 방송위와 정보통신부 등으로 구성된 디지털방송위원회는 4월26일 수신료 현실화 등이 포함된 디지털 전환 특별법안을 확정했다.
그러나 일부 시민단체 등에서는 KBS의 감량 경영과 공정성 확립 등이 수신료 인상에 선행돼야 한다고 요구해왔으며, 전기료에 병과하는 징수방식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된다고 주장해왔다.
출처 : 미디어다음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검색을 통한 개인 정보 유출이 여전히 심각하다. (0) | 2007.05.08 |
---|---|
고려장' 횡행…학대당해도 쉬쉬하는 노인 (0) | 2007.05.08 |
집중력이 내 아이의 인생을 결정한다’ (0) | 2007.05.07 |
[슬픈 어버이날] ‘고장난 기계’ 취급에 설자리 잃은 아버지 (0) | 2007.05.07 |
美2사단장 코긴 소장..3년간 수련 태권도 단증 취득해 화제 (0) | 200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