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가 오래도록 못 온 탓으로 / 久緣君不到 길 이끼 하도 자라 무더기졌네 / 逕蘚尺成堆 크나큰 옥과 같이 사랑하여라 / 愛是如豐玉 목마를 때 매화처럼 생각한다오 / 思之似渴梅 당 앞에 석류꽃은 불이 빨갛고 / 堂襟榴火迸 사발에 뜬 술 빛깔은 노을이 이네 / 缸面酒霞開 번화로운 지역으로 고개 돌리니 / 回首紛華城 어느 뉘가 옛 세뢰를 만든단 말고 / 誰爲古洗罍 [주D-001]크나큰 옥[豐玉] : 풍년옥(豐年玉)을 말함. 《세설상예(世說賞譽)》에 "세상에서 유량(庾亮)을 칭하여 풍년옥이라 하고 유익(庾翼)을 황년곡(荒年穀)이라 한다." 하였음. [주D-002]목마를 때 매화 : 위 나라 조조(曹操)가 원소(袁紹)와 싸워 패하여 달아날 적에 수하 군사들이 갈증이 나서 견디지 못하므로 조조는 일부러 말하기를 "얼마 안 가면 매림(梅林)이 있다." 하니 군사들이 그 말을 듣고 입에 침이 돌아 위기를 면했다고 함. [주D-003]세뢰 : '洗'는 관기(盥器)이고, '罍'는 술그릇임. 여기서 고세뢰는 질박함을 말한 것임. | ||
'▒ 완당김정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탑(白塔) -완당 김정희- (0) | 2007.03.13 |
---|---|
실제(失題). -완당 김정희- (0) | 2007.03.13 |
객이 풍악을 구경하고 돌아왔다 하기에 함께 짓다[客自楓嶽遊歸 共賦]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이재 엄견의 행을 보내다[送彝齋嚴譴之行]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자다 일어나니 안개가 걷혀 만상이 다 드러나므로 또 전운을 쓰다[睡起霧罷萬象呈露 又用前韻] 2수 -완당 김정희- | (0) | 2007.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