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운하여 오난설에게 부치다[次寄吳蘭雪] 가존을 대신하여 지음 |
홍삼은 옛 친구가 생각나는데 / 紅衫懷舊雨
백발은 자신이 부끄럽구려 / 白髮愧雌辰
쌍나막신 광려의 게노래라면 / 雙屐匡廬偈
천병 술은 정업호(淨業湖)의 봄날이로세 / 千壺淨業春
금문의 매대은이 이 아닌던가 / 金門梅大隱
철적이라 학의 전신 분명하구나 / 鐵篴鶴前身
알괘라 하늘가의 꿈 있으리니 / 知有天涯夢
동녘 봉에 하나의 각건이로세 / 東峯一角巾
[주D-001]홍삼 : 오난설(吳蘭雪)의 시화(詩話)에 "홍삼배화(紅袗拜花)"가 있으므로 그를 가리킴.
[주D-002]자신 : 퇴장(退藏)의 때를 이름. 《노자(老子)》에 "知其雄 守其雌"가 있음.
[주D-003]광려의 게노래 : 주 16) 참조
[주D-004]금문 : 금마문(金馬門)의 약칭임. 《한서(漢書)》 양웅전(揚雄傳)에 "歷金門上玉堂有日"이라 하였음.
[주D-005]매대은 : 오숭량을 말함. 오숭량이 사인(私印)을 "梅隱中書"라 각하였음.
[주D-002]자신 : 퇴장(退藏)의 때를 이름. 《노자(老子)》에 "知其雄 守其雌"가 있음.
[주D-003]광려의 게노래 : 주 16) 참조
[주D-004]금문 : 금마문(金馬門)의 약칭임. 《한서(漢書)》 양웅전(揚雄傳)에 "歷金門上玉堂有日"이라 하였음.
[주D-005]매대은 : 오숭량을 말함. 오숭량이 사인(私印)을 "梅隱中書"라 각하였음.
'▒ 완당김정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다 일어나니 안개가 걷혀 만상이 다 드러나므로 또 전운을 쓰다[睡起霧罷萬象呈露 又用前韻] 2수 -완당 김정희- | (0) | 2007.03.12 |
---|---|
포사하기 위해 오대산에 오르다[曝史登五臺山]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연경 사행에게 주다[贐燕京使行] 3수. 가존(家尊)을 대신하여 지음.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운석 지원과 동반하여 수락산 절에 함께 놀고 석현에 당도하여 운을 뽑다[同雲石芝園 偕遊水落山寺 到石峴拈韻]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승가사에서 동리와 함께 해붕화상을 만나다[僧伽寺 與東籬會海鵬和尙]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