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묵암고에 제하다[題黙庵稿]

천하한량 2007. 3. 9. 18:37
묵암고에 제하다[題黙庵稿]

묵암(黙庵)의 고(稿)는 도연명(陶淵明)·두자미(杜子美)의 격조와 구양수(歐陽脩)·증공(曾鞏)의 구규(矩規)로써 따진다면 실로 미진한 점이 있으나 그 충효의 면에 뜻을 세우고 예법의 자리에 몸을 단속하여 일어 일묵(一語一黙)이 낙·민(洛閩 정·주(程朱)를 말함)을 따르고 반구(半句)의 척자(隻字)가 진제(眞際)와 실지(實地)를 밟아감에 있어서는 남음이 있고 부족은 없다.
이를테면 누금(鏤金)·착채(錯采)·공청(空靑)·영홍(靈汞) 같은 것에는 미칠 여가 없으니 부주(跗注)의 군자로서 극곡(郤穀)의 유풍에 실로 부끄러움이 없으며 그는 문인으로서 스스로 나타내려 하지 않고 시를 여사로 삼아 지묵(紙墨)의 능각(稜角)에 넘실넘실 발로되는 것에서 대개 볼 수 있다.
어찌 그 함부로 바르고 어지러이 점을 찍은 맹점할비(盲拈瞎批)로써 경구(謦句)로 지목하고 절창(絶唱)으로 정하기를 김성탄(金聖歎)의 무리와 같이 방자하고 기탄이 없어 사람들에게 한번 웃음거리를 이바지하는 데에 있을까보냐. 이것은 묵함이 즐겨 받지도 않을 것이요, 나 역시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일찍이 고시 19수를 읽어 보았지만 어디 한 마디 말의 경구와 한 편의 절창이 있어서 뒷사람으로 하여금 뽑아내게 하였던가. 사 선성(謝宣城)의 "큰 강은 낮과 밤에 흘러만 간다.[大江流日夜]"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경구의 지목이 있었으니 말세가 점점 요리(澆漓)해감에 따라 부득불 한번 변하게 되어 이런 말이 있는 것이요, 문(文)의 지극은 아니다.
문의 아름답고 궂은 것은 그대가 스스로 알 것이니 또 어찌 반드시 남의 말을 기다리겠는가. 이런 때문에 자구의 사이에 글월로써 착예(着穢)하지 않고 돌려보내니 거의 인가하리라 믿거니와 다만 한번 알려주지 않아서는 안 될 것이 있으니 세상에 선재(仙才)가 없어서 스스로 귀굴(鬼窟)에 돌아가고 세상에 용재(庸才)가 많아서 선뜻 성문(聖門)에 의탁한다 하였은즉 이는 몰라서는 안 될 것이다.
문의 묘체(妙諦)는 변화가 헤아릴 수 없어 방박(磅礴)하고 혼망(混茫)하여 하늘로부터 개려와 부사(父師)를 말미암지 아니하고 신성(神聖)에 입참(立參)하며 웅기(雄奇)가 극하면 도리어 정정당당으로 돌아오게 된다.
내가 두렵게 여기다 끝내는 사랑하게 되는 것이 또 한 경지요 황홀하고 유현(幽玄)하여 어느 시대를 기억 못하고 마주 대한 잠깐 사이에 사람이 화하여 벽(碧)이 되는 것이 또 한 경지이다. 적의(適宜)함을 따라 변하여 곡진의 징정(徵情)이 있고 숨으면 그림자 사라지듯 하다 다니면 반드시 소리가 일어나는 것이 이 또 한 경지이니 이것을 다 알아야 한다. 또 혹시 인가해 주겠는가 아닌가.
세속에 두 가지 병이 있으니 하나는 바로 나귀를 타고 나귀를 찾는 것이요, 하나는 바로 나귀를 타고 선뜻 즐겨 내리려 하지 않는 것이다. 이미 나귀를 알고도 즐겨 내리지 않는 것은 이야말로 가장 고치기 어려운 것이다. 모르괘라 나귀의 다리가 또 묵암의 다리와 어떤지.
이 문의 아랫단에 경조(輕佻)한 곳이 있으나 윗단이 있었기 때문에 부득불 아랫단의 일착(一着)이 있게 된 것이다. 문의 격식이 이 일단의 문경이 있기는 하나 이로써 법을 삼아서는 안 될 것이니 삭고(削藁)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 만약 내 글이 이와 같다고 여긴다면 나를 아는 것이 아니며 더구나 자손이 이것을 내 글이라 한다면 역시 내 자손이 아니니 빨리 버리는 것만 못하다.

[주D-001]부주(跗注)의 군자 : 부주는 융복(戎服)임. 《좌전(左傳)》 성공(成公) 16년에 "有韎韋之跗注"라 했고 그 주(注)에 "바지와 같은데 발등에 닿는다." 하였음.
[주D-002]극곡(郤穀) : 진(晉) 나라 장수임. 진 문공(晉文公)이 초(楚)를 치려 하면서 여러 신하에게 "누구를 원수(元帥)로 삼아야 하는가?" 하고 묻자, 조쇠(趙衰)는 말하기를 "극곡은 예악(禮樂)을 즐기고 시서(詩書)에 돈독하니 맡길 만합니다." 하였음.
[주D-003]맹점할비(盲拈瞎批) : 안목이 밝지 못한 사람이 비평한 것을 이름.
[주D-004]김성탄(金聖嘆) : 명말(明末) 장주인(長洲人). 본성은 장(張), 이름은 채(采)였으나 뒤에 성을 김으로 이름을 위(喟)로 고쳤는데 성탄은 그의 자이다. 사람됨이 광오(狂傲)하여 기기(奇氣)가 있었다. 일찍이 말하기를 "천하에 재자(才子)의 서(書)가 여섯이 있는데 1은 《장자(莊子)》, 2는 《이소(離騷)》, 3은 《마사(馬史)》, 4는 《두율(杜律)》, 5는 《수호(水滸)》, 6은 《서상기(西廂記)》이다." 하여 각서(各書)에 대한 비평을 지었는데 그중 《수호》·《서상기》 두 종(種)이 자못 세상에 전송(傳誦)하는 바 되었음.
[주D-005]사 선성(謝宣城) : 사조(謝眺). 남북조 시대 남제(南齊)의 양하인(陽夏人)으로 자는 현휘(玄暉)인데 젊어서부터 학을 좋아하여 아름다운 이름을 가졌으며, 문장이 청려(淸麗)하고 초서와 예서를 잘 했는데 특히 오언시(五言詩)에 장점이 있었다. 일찍이 선성태수(宣城太守)를 지냈으므로 세상에서 사 선성이라 칭함.
[주D-006]착예(着穢) : 불두착예(佛頭着穢)의 약칭임. 주 참조.
[주D-007]사람이……것 :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萇弘死於蜀 藏其血三年 化而爲碧"이라 하였고, 그 주(注)에 "벽(碧)은 석(石)이다." 하였음.
[주D-008]나귀를……것이요 : 본시 지닌 것을 잊어버리고 다른 데서 구하는 것에 비유한 말임. 황정견(黃庭堅)의 시에 "騎驢覓驢但可笑 以馬喩馬亦成痴"라는 구가 있음.